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포스트소비에트 "여성문학" 연구: 페노텍스트(phenotext)에서 게노텍스트(genotext)로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인문사회분야지원일반연구
연구과제번호 2003-074-AS0011
선정년도 2003 년
연구기간 2 년 (2003년 09월 01일 ~ 2005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윤우섭
연구수행기관 경희대학교& #40;국제캠퍼스& #41;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이수연(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이경희(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소콜로프스카야 타찌야나(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박미령(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홍정현(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기존의 페미니즘에 대한 이해는 남녀간의 구조적 불평등을 야기하는 성차(性差)를 거부하고 성에 따른 불평등이 생물학적 필요의 결과가 아니라 문화적 산물이었다는 인식에 바탕을 둔다.
    또한 이항대립적 구도 속에서 여성의 정체성을 찾고자 하는 서구의 페미니즘 이론가들이 여성의 억압적 삶의 원인을 남성 중심의 가부장적 사회에서 찾고 그 질서에 대한 도전에 많은 주의를 기울인 반면에, 포스트소비에트 ‘여성문학’에서의 여성의 정체성은 여성만이 아닌 인간의 정체성 문제로 확대 해석되어야 한다는 것이 본 연구의 핵심적인 내용이다.
    이러한 논지를 기본으로 하여 각각의 연구원에 의해 수행되어진 연구의 내용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1) 러시아 여성문학의 발전과 특성
    2) 포스트소비에트 여성문학에 나타난 문화적 ‘신경증’고찰
    3) 신화 다시 쓰기 : 부정과 메타모르포시스를 통한 자기동일성의 서사전략
    4) Социолингвистический анализ мужского и женского вербального поведения в произведениях женщин-авторов
    5) 포스트소비에트 여성 문학의 문체적 특성
    6) 포스트소비에트 여성문학 텍스트의 언어학적 접근
    2차년도는 일반적 페미니즘의 비평을 넘어 러시아 문학 정신의 계승과 극복이라는 관점을 토대로, 전통문학의 승계와 거부를 동시에 수용하고 있는 현대 러시아 여성작가들이 지향하고자 하는 인간성 회복과 새로운 세계의 구축을 위한 그들 고유의 모색 방안을 고찰해 보았다. 이를 위해 개별적으로는 여성 글쓰기의 과거와 현재, 러시아 전통문학의 주요 테마였던 세계의 종말과 구원의 신화의 구현, 남성작가들과의 차별적 관점에서 읽힐 수 있는 여성작가들의 글쓰기의 특성, 즉 페노텍스트에서 게노텍스트로의 이행과정, 과거 남성 작가들에 의해 왜곡되어 형상화되어 왔던 여성 이미지들에 대한 상호 텍스트성을 바탕으로 한 재조망, 상징적 코드로 읽힐 수 있는 언어의 고정화된 틀을 거부하고 상상의 코드를 지향하는 여성작가들의 독특한 수사법과 기존 문법의 파괴현상과 소통의 전략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연구원에 의해 수행된 연구의 구체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따찌야나 똘스따야의 <밤> 분석 : 페노텍스트에서 게노텍스트로의 이행과 관련하여
    2) 러시아 여성문학의 전통과 현실
    3) 포스트소비에트 여성문학에 나타난 고통과 구원의 시학
    4) 이브의 깨진 거울: 왜곡된 형상 바로잡기
    5) КОММУНИКАТИВНЫЕ СТРАТЕГИИ МУЖЧИН И ЖЕНЩИН
    6) 포스트소비에트 여성 문학에 나타난 문법파괴현상
    7) 포스트소비에트 "여성문학"의 어휘분석
  • 영문
  • First, a common interest about feminism based upon rejection of difference between the sexes, which cause constructional inequality between male and female, and production of sexual inequality by cultural elements.
    In addition, theorists of Western feminism seek after women's identity in confrontation between male and female and origin of women's repressed life in patriarchy. On the other hand, women's literature in the Post-Soviet era stretch the meaning of women's identity to that of human. This is the point of a study.

    1) Progress and Specialty of Russian Women's Literature
    2) A Study of cultural 'neurosis' on the Women's works of Post-Soviet
    3) Rewriting Myth: Narrative Strategy of Self-Identity through Negation and Metamorphosis
    4) Sociolinguistic analysis of male and female verbal behavior in composition of women authors
    5) Literary Styles of Women's Writings in Post Soviet Union
    6) A Linguistic Approach to the Works of Women's Authors in Post

    Russian women's literature is founded on succession and overture of the russian literary spirit, beyond the feministic criticism. Russian female writers of the Post-Soviet era, which are admitting above-mentioned aspects, aim at recovering humanism and constructing the new world, also they intend to considerate a device of their own for that.
    This research is to analyze, firstly, the fast and the present in the writing by the female writers, secondly, eschatology and embodiment of the myth salvation, which were the important theme of the russian classical literature, thirdly, specificity of the writing by the female writers(the transference from phenotext to genotext), review of the women's images, which have been distorted and expressed by the male writers on the basis of the method of "intertextuality", fourthly, the unique expressions, the narrative strategies and lexical linguistic ways written by the female writers in order to disjoint stereotype, fifthly, a deviation phenomenon in the texts of the female writers and a strategic characteristic of communication showed in the dialogues among a heroes and heroines.

    1) A analysis into "Night" of T.Tolstaja : In connection with Genotext and Phenotext
    2) Tradition and Actuality of Russian Women's Literature
    3) The poetics of suffering and salvation on the women's works of Post Soviet
    4) Broken Eve's mirror : Correcting distorted figure
    5) Communicative strategies of men and women
    6) A Grammatical Destruction Phenomenon in Post-Soviet Women's Literature
    7) A Lexical Analysis of the Works of Women's Authors in Post-Soviet Era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기존의 페미니즘에 대한 이해는 남녀간의 구조적 불평등을 야기하는 성차(性差)를 거부하고 성에 따른 불평등이 생물학적 필요의 결과가 아니라 문화적 산물이었다는 인식에 바탕을 둔다.
    또한 이항대립적 구도 속에서 여성의 정체성을 찾고자 하는 서구의 페미니즘 이론가들이 여성의 억압적 삶의 원인을 남성 중심의 가부장적 사회에서 찾고 그 질서에 대한 도전에 많은 주의를 기울인 반면에, 포스트소비에트 ‘여성문학’에서의 여성의 정체성은 여성만이 아닌 인간의 정체성 문제로 확대 해석되어야 한다는 것이 본 연구의 핵심적인 내용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 페미니즘의 비평을 넘어 러시아 문학 정신의 계승과 극복이라는 관점을 토대로, 전통문학의 승계와 거부를 동시에 수용하고 있는 현대 러시아 여성작가들이 지향하고자 하는 인간성 회복과 새로운 세계의 구축을 위한 그들 고유의 모색 방안을 고찰해 보았다. 이를 위해 개별적으로는 여성 글쓰기의 과거와 현재, 러시아 전통문학의 주요 테마였던 세계의 종말과 구원의 신화의 구현, 남성작가들과의 차별적 관점에서 읽힐 수 있는 여성작가들의 글쓰기의 특성, 즉 페노텍스트에서 게노텍스트로의 이행과정, 과거 남성 작가들에 의해 왜곡되어 형상화되어 왔던 여성 이미지들에 대한 상호 텍스트성을 바탕으로 한 재조망, 상징적 코드로 읽힐 수 있는 언어의 고정화된 틀을 거부하고 상상의 코드를 지향하는 여성작가들의 독특한 수사법과 기존 문법의 파괴현상과 소통의 전략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70년대 이후 서구 유럽의 페미니즘 이론을 수용하면서 국내에서는 페미니즘 문학에 대한 새로운 연구들이 본격화되었다. 그러나 남성작가들에 대한 편향적 연구로 말미암아 러시아 ‘여성문학’에 대한 연구는 처녀지에 가까운 영역이었다. 또한 페레스트로이카 이후의 문학 연구는 남성 작가들의 작품조차 연구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재 상황이다.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러시아에서 문화 담론으로 새롭게 떠오른 ‘여성문학’ 연구는 국내의 러시아 문학 연구의 범위를 확대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본다. 더불어 국내의 여성문학 연구의 새로운 접근방식과 다양한 이론적 근거들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또한 ‘여성문학’ 연구는 현 러시아의 전반적 문학의 흐름뿐만 아니라 집단적 이데올로기를 벗어난 러시아의 사회, 문화적 변화의 연구와도 깊은 연관성을 가질 수 있다. 러시아 ‘여성문학’은 미학적 자질을 특징으로만 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현실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과 새로운 사회인식을 가능하게 하는 지표로도 기능하고 있기 때문이다. 러시아 ‘여성문학’을 통해 나타나는 러시아의 현실인식과 그 속에 함축된 새로운 사회로의 비젼은 변화하는 러시아를 올바르게 이해하는 초석이 되었다고 본다.
    무엇보다 본 연구의 활용은 대학 교육을 통해 실현될 것이다. 전통적인 러시아 문학(19세기 혹은 소비에트 문학)에 치중되어 있던 교육 내용을 쇄신하고 시의성 있는 문제들을 소재로 하는 러시아 ‘여성문학’ 연구 결과들을 교육 현장에서 활용함으로써 러시아와 러시아 문학에 대한 이해의 범위를 확대하였다.
    아울러 연구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작품의 번역을 통하여 러시아 ‘여성문학’을 국내의 여성문학 연구진들과 일반독자에게 소개한 본 연구는 지금까지 생소했던 러시아 ‘여성문학’의 이해를 돕는 지침서의 역할을 하였다.
    실제적인 활용 방안의 하나로 러시아 ‘여성문학’을 재료로 한 교재를 개발하였다. 러시아 ‘여성문학’은 일상을 화두로 하고 있는 만큼 실제 생활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실용적인 표현과 어휘들의 보고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그 텍스트를 재료로 한 이 교재는 러시아어를 전공으로 하는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러시아 어휘와 문장을 익히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 색인어
  • 페미니즘, 여성문학, 페노텍스트, 게노텍스트, 신경증, 신화, 메타모르포시스, 자기동일성, 상호텍스트성, 언어유희, 이름짓기, 성범주, 지소형, 구원, 자기부정, 탈규범화, 상징계, 상상계, 성별언어, 타자화, 모성, 서사전략, 민담, 문법파괴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