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인의 삶에서 인터넷의 사용은 정보의 전달과 이용체계에 있어 지리적인 거리를 극복하고 자료의 전달 시간을 최소한으로 줄여주는 결정적인 기재로 자리잡았다. 인터넷이 지구촌의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정보는 방대한 규모로 지속적으로 생성되는 것이기에 거의 무 ...
현대인의 삶에서 인터넷의 사용은 정보의 전달과 이용체계에 있어 지리적인 거리를 극복하고 자료의 전달 시간을 최소한으로 줄여주는 결정적인 기재로 자리잡았다. 인터넷이 지구촌의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정보는 방대한 규모로 지속적으로 생성되는 것이기에 거의 무한정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정보의 과잉 공급에 따른 이용자의 혼란 또한 정보화 사회의 이용자들이 절대로 간과하지 말아야 할 점이기도 하다. "인문학 전공자들의 위기감" 이 증폭되는 가운데 소위 "수요자 중심"의 교육이 강조되는 오늘날 대학의 풍토에서 멀티미디어 기자재를 사용한 교수법과 교육 컨텐츠의 개발은 여러 연구자들에 의하여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종이에 인쇄된 텍스트를 "읽고 해석하여 설명하는" 전통적인 인문학 교육 방식에서 현재의 교육 수요자들은 텍스트의 내용과 관련 자료를 이미지로 "보여주는 것"에 더욱 익숙한 것도 부정하기 어려운 현실이다. 교육 수요자들의 변화된 수용 방식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면서도 전달되는 기본적인 교육 내용의 적절한 수준을 유지하는 것은 오늘날 교육 현장을 맡고 있는 강의 책임자들이 진지하게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 문제이다. 그런 차원에서 프랑스 문학과 같은 외국 어문학의 강의에서도 소수의 전공자들이나 연구자들에게만 접근이 가능했던 자료를 이제 수강자들 모두가 공유할 수 있는 체계로 변화시킬 필요가 대두되고 있다. 지식 정보와 메시지의 전달에서 이미 현대 사회의 총아가 된 인터넷은 프랑스 문학의 자료를 검색하고 활용하는 수업 현장에서도 정보의 보고가 될 수 있으며 이것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체계적인 시스템의 제공 필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 교육 현장에서 지식의 전달과 수용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중대한 변화에 대한 인식과 이에 부응하는 대안의 하나로 본인은 프랑스문학에 관련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검색, 이용할 수 있는 자료집의 제작을 제안한다. 국내의 연구자들에 의해서 인터넷을 이용한 강의 프로그램의 개발이 그간 꾸준하게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프랑스 문학 전반을 망라하는 정보 체계는 아직 구축되지 않은 것도 본 작업의 필요성을 반증하는 현실이다. < 프랑스문학사 인터넷 자료집 > 제작의 궁극적인 취지는 프랑스 문학 연구자들과 학생들로 하여금 학문적, 자료적 가치가 검증된 문서에 손쉽고 빠르게 접속할 수 있는 체계를 제공하는 것에서 찾을 수 있다.
기대효과
일부 연구자들의 꾸준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내 대학의 외국어문학 교육에서 멀티미디어 자료의 개발은 강의실의 하드웨어적 환경 변화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컴퓨터와 대형 모니터가 구비된 강의실에서 여전히 분필과 칠판이 이용되는 것도 그런 현실을 반영 ...
일부 연구자들의 꾸준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내 대학의 외국어문학 교육에서 멀티미디어 자료의 개발은 강의실의 하드웨어적 환경 변화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컴퓨터와 대형 모니터가 구비된 강의실에서 여전히 분필과 칠판이 이용되는 것도 그런 현실을 반영한다. 컴퓨터라는 하드 웨어는 물적 지원을 통하여 그 양을 얼마든지 증가시킬 수 있으나 그것을 이용한 교육 자료의 개발은 단시간에 대량으로 생산되기 어려운 까닭이다. 그런 맥락에서 본 연구자가 지적하는 것은 기존의 전통적 교육 방식의 낙후성이 아니라 변화된 교육 현장에 필요한 교육 자료의 개발에도 노력이 경주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 프랑스 문학사 인터넷 자료집 > 의 활용 가치는 교육 현장에 있는 연구자들과 학생들은 물론 프랑스 문학에 관심이 있는 일반인들에게도 매우 손쉽게 프랑스 문학의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도구 outil 를 제공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Cd-Rom 형태로 제작될 자료집의 검색을 통하여 프랑스의 어느 검색 엔진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필요한 자료에 접속이 가능해질 것이다. 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이 가능할 경우, 본 연구 작업을 통하여 제작된 자료집은 우선 국내 대학의 도서관과 불어불문학과에 우선적으로 배포될 것이고 학술대회 등의 기회를 이용하여 관심을 가진 연구자들에게 무료로 보급될 것이다. 정보의 공유를 통한 학문의 발전 에 대한 소신을 갖고 있는 필자는 이미 본인의 전공 인 프랑스 연극 분야에서 시청각 자료의 활용을 위한 컨텐츠 목록을 제시한 바 있고, 특히 고전극에 관련된 화상 자료집을 제작하여 일반에 공개한 바 있다. 프랑스 문학사에 대한 인터넷 자료집의 제작도 위에서 밝힌 필자의 일관된 소신에서 출발한 과제로 해석되어야 한다.
연구요약
본 연구 작업은 프랑스에서 자주 이용되는 문학관련 사이트를 일부 소개하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문학 장르별로 유용한 다수의 사이트는 해당 분야의 전공 교수들에 의하여 학생들에게 이미 추천되고 수업에서 이용되고 있다. 이제 우리의 교육현장에서 필요한 것은 시대 ...
본 연구 작업은 프랑스에서 자주 이용되는 문학관련 사이트를 일부 소개하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문학 장르별로 유용한 다수의 사이트는 해당 분야의 전공 교수들에 의하여 학생들에게 이미 추천되고 수업에서 이용되고 있다. 이제 우리의 교육현장에서 필요한 것은 시대적인 차이와 개별적인 장르의 구분을 뛰어넘어 프랑스문학사 전반을 망라하는 정보 체계의 구축이다. 프랑스문학사에 대한 새로운 저술과 역서가 뜸하게 출간되는 학계의 현실에 비추어 인터넷 컨텐츠를 통하여 프랑스 문학에 대한 관심을 새롭게 진작시키는 것도 수요자의 변화된 욕구에 부응하는 대안이 될 수 있다. 프랑스 현지에는 프랑스 문학에 관련된 자료를 유료로 제공하는 학습 사이트가 다수 운용되고 있다. 초, 중고생 등을 대상으로 국내에서 운용되는 교육관련 서비스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문제는 국내의 연구자들과 학생들이 프랑스의 유료 서비스에 접속 할만한 여건이 조성되지 않았고 수요자도 많지 않다는 현실이다. 문학 연구자가 경제적인 부담에서 벗어나면서도 이용하는 문서의 자료적 가치가 대등하거나 전혀 손색이 없는 컨텐츠에의 접속 프로그램을 구축하는 것은 본 연구 작업이 지향하는 또 하나의 목표이기도 하다. 인터넷이 정보 접속과 교환에 있어 물리적인 시간과 공간의 장벽을 극복하게 한 것처럼 프랑스문학에 대한 관심을 프랑스 밖으로 확장시키는 데에도 기여한 바 크다. 소위 프랑스어권 Francophonie 이라고 불리는 국가들에서 개발된 사이트 가운데 프랑스에서 운용되는 사이트에 못지 않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프랑스 문학에 관련된 컨텐츠의 국내 이용이라는 차원을 넘어 이제 프랑스 문학에 대한 지평이 오히려 전세계로 확장될 수 있다는 점을 본 자료집의 이용자들이 확인하게 될 것이다.
< 프랑스문학사 인터넷 자료집 > 은 크게 3부로 구성될 것이다. 문학사의 배경이 될만한 프랑스의 역사와 문화를 다룬 사이트는 1부에서 소개되고 프랑스 문학에 관련된 사이트는 2부에서 정리될 것이다. 본 자료집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문학사에 대한 검색 자료들은 시대별, 장르별, 작가별, 작품별로 정리되어 3부에 포함될 것이다. 문학사의 배경이 되는 자료에서 출발하여 시대별 문학사조로, 개별적인 문학사조에서 필수적으로 언급되어야 할 작가들로 검색의 대상이 좁혀젓염×諍?특정 작가의 대표적인 작품은 무엇인가에 대한 확인 작업에으로 이어지면서 < 프랑스문학사 인터넷 자료집 > 은 프랑스문학사의 시점을 거시적인 관점에서 미시적인 내용으로 이동하는 유용한 도구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것이다. 예시적인 차원에서 본 자료집의 1부와 2부에서 정리될 사이트들을 일부 소개하면 아래와 같다. 여기에서 소개되는 사이트는 프랑스의 역사를 비롯하여 문학 연구에 필요한 상식을 제공하는 사이트들이 우선적으로 선택될 것이다. 2부에서 소개될 프랑스 문학 관련 사이트들은 바깔로레아 Baccalaur at 준비용 수험자료에 가까운 내용이지만 국내의 대학에서 문학사 연구의 자료로 활용하여도 무리가 없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인터넷 사전 또한 문학 사조와 용어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매우 필요한 도구가 되므로 단순한 어휘 검색의 수준을 초월하여 이용될 수 있다.
1) 프랑스 문학사의 배경
Chateaux de la Loire / Moyen Age - http://www.francebalade.com/ 세기별 주요 사건과 쟁점 - http://gallica.bnf.fr/th_themesXVI.htm 프랑스의 중세 - http://www.angelfire.com/pq/litterart/moyen.html 16세기의 프랑스 - http://www.publius-historicus.com/france.html 17세기의 프랑스 - http://www.dpo.uab.edu/~danielou/17thCentFrance_links.html
2) 프랑스 문학 관련 사이트
바칼로레아 준비 - http://www.rabac.com/demo/ELLIT/BABAC.htm 문학사조 및 용어, 텍스트 제공 - http://www.site-magister.com/ 세기별 작가 소개 및 작품 요약 - http://www.alalettre.com/ 세기별 작가 소개 - http://www.chez.com/bacfrancais/biochoix.htm 프랑스 시의 경향과 주요 시인 - http://www.poetes.com/ 텍스트 제공 사이트 : http://cedric.cnam.fr/ABU/BIB/index.html
3) 인터넷 사전
야후 백과사전 - http://fr.encyclopedia.yahoo.com 클럽 인터넷 - http://perl.club-internet.fr/cgi-bin/ehmel/ehmel_navig.pl?fonction_id=F_2861
프랑스 문학사에 대한 구체적인 작가와 작품을 다루게 될 3부는 문학사 소개의 가장 일반적인 특징 가운데 하나인 세기별 구분되어 정리될 것이다. 세기별로 구분된 문학사의 내용은 가장 일반적이면서도 보편적인 항목이 우선적으로 설정된 뒤, 작가와 작품에 대한
한글키워드
인터넷,문학사 교육,인터넷 수업,프랑스 문학사,프랑스 문학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프랑스문학사 인터넷 자료집은 3부로 구성되었다. 1부에서는 문학사의 배경& ...
프랑스문학사 인터넷 자료집은 3부로 구성되었다. 1부에서는 문학사의 배경이라고 할 수 있는 프랑스의 역사와 예술, 서구의 신화와 전설을 소개하는 사이트가 정리되었다. 인문주의에서 초현실주의까지 정리한 프랑스 문학사조는 2부를 구성한다. 본 자료집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작가에 대한 개별적 소개는 세기별로 정리되어 3부에 배치되었다. 특히 가장 핵심적 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3부에는 프랑스문학사에 등장하는 작가들 가운데 200명이 선정되었다. 검색 대상 작가는 4가지 단계 - Biographie, Dossiers, Oeuvres, Liens - 를 통하여 소개하였는데 이 방식은 현재 프랑스에서 운용되는 문학 관련 사이트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이퍼텍스트 문학사 자료를 수업 현장에서 직접 활용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강의실이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강의 담당자가 조작할 수 있는 메인 컴퓨터와 스피커, 모니터상의 자료를 스크린에 투사하는 프로젝터 정도만 있어도 하이퍼텍스트를 이용한 수업은 가능하다. 하이퍼텍스트의 자료는 수시로 변할 수 있으므로 수업 전에 반드시 원문 접속의 가능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프랑스어로 제공되는 원문 내용을 충분하게 숙지하지 않고 강의에 임할 경우, 수강생들에게 해당 자료를 효과적으로 설명하지 못하는 위기를 자초할 수 있다.
영문
Les hypertextes des donn?es internet exigent de porter un nouveau regard sur les textes litt?raires. En effet, l'hypertexte n'est plus soumis au facteur de lin?arit?. Fragmentaire, il permet alors une entr?e qui n'est jamais fix?e dans l'absolu. En se ...
Les hypertextes des donn?es internet exigent de porter un nouveau regard sur les textes litt?raires. En effet, l'hypertexte n'est plus soumis au facteur de lin?arit?. Fragmentaire, il permet alors une entr?e qui n'est jamais fix?e dans l'absolu. En second lieu, le texte ?crit n'est qu'une composante des hypertextes avec l'image et le son. La troisi?me particularit? des hypertextes se trouve dans leur capacit? de liage. La consultation des documents ?crits exige n?cessairement un d?placmenent physique du lecteur alors que la recherche informatique ne n?cessite que le pointage de la souris. Pour utiliser ces nouveaux ressources, il nous est donc recommand? de bien savoir o? se trouvent les sites de qualit? et de recherche approfondie. Dans notre travail, les donn?es internet sont class?es en trois parties. Les contextes historiques et mythologiques constituent la premi?re partie tandis que les mouvements litt?raires et leur esth?tique forment la seconde partie. Enfin, la troisi?me et derni?re partie, noyau central de ce travail, porte sur les 200 auteurs s?lectionn?s. Les donn?es de chaque auteur sont regroup?es en 4 cat?gories : biographie, dossiers, oeuvres et liens. Pour exploiter ces donn?es dans les cours, une salle ultramoderne n'est pas n?cessairement exig?e : il suffirait d'?quiper l'unit? centrale d'un ordinateur, d'un projecteur et d'un ?cran pliable ou fixe. En raion d'un probl?me technique, ces ressources internet ne sont charg?s qu'en version "Hangul 2002".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프랑스문학사 인터넷자료집은 3부로 구성되었다. 1부에서는 프랑스문학의 배경이라고 할 수 있는 프랑스의 역사와 예술, 서구의 신화와 전설을 소개하는 사이트가 정리되었다. 특히 신화와 전설은 유럽의 문학과 예술의 정신적 원형을 형성하는 까닭에 그 중요성을 새삼 ...
프랑스문학사 인터넷자료집은 3부로 구성되었다. 1부에서는 프랑스문학의 배경이라고 할 수 있는 프랑스의 역사와 예술, 서구의 신화와 전설을 소개하는 사이트가 정리되었다. 특히 신화와 전설은 유럽의 문학과 예술의 정신적 원형을 형성하는 까닭에 그 중요성을 새삼 강조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인문주의에서 초현실주의까지 정리된 프랑스 문학사조는 2부를 구성한다. 본 자료집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작가에 대한 개별적인 소개는 세기별로 정리되어 3부에 배치되었다. 인터넷 사용자들의 편의를 고려하여 연구 결과물은 Cd-Rom 에 저장되었다. 자료집을 구상하던 초기에는 Ms-Word 버전으로 저장하는 방식도 고려하였으나 최종단계에서 기술적인 문제가 발견되어 아래아 한글 2002 버전으로 제작되었다. 본 자료집은 두 가지 방식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첫째는 자료집이 저장된 Cd-Rom 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고 두번 째 방법은 강의자의 사용 목적에 따라 필요한 자료를 새로운 문서에 저장하여 편집하는 것이다. 재편집시 아래아 한글은 물론 하이퍼텍스트로 저장하여도 해당 파일로의 접속기능은 유지될 것이다. 본 자료집의 저작권은 필자에게 귀속되지만 이 자료집의 사용은 모두에게 개방되었음을 밝힌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본 자료집 원고는 2005년 2월 25일에 간행된 < 한국프랑스학논집 > 49집에 게재되었으며 부록 형식으로 제작된 < 프랑스문학사 인터넷자료집 > Cd-Rom 은 총 300매가 제작되어 국내의 주요도서관은 물론 개인에게 배부되었다. 본 자료집을 수업현장에서 직접 활용하기 ...
본 자료집 원고는 2005년 2월 25일에 간행된 < 한국프랑스학논집 > 49집에 게재되었으며 부록 형식으로 제작된 < 프랑스문학사 인터넷자료집 > Cd-Rom 은 총 300매가 제작되어 국내의 주요도서관은 물론 개인에게 배부되었다. 본 자료집을 수업현장에서 직접 활용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강의실이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강의담당자가 조작할 수 있는 메인 컴퓨터와 프로젝터, 스크린, 스피커 정도가 최소한으로 요구되는 시설이다. 하이퍼텍스트 자료는 수시로 사라지거나 변경될 수 있으므로 수업전 반드시 원문접속의 가능여부를 확인하거나 중요 문서는 하드 디스크에 저장하여 별도로 관리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대부분 프랑스어로된 원문을 충분히 숙지하지 않고 강의에 임할 경우, 해당자료를 효과적으로 설명하지 못하는 위기를 자초할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
색인어
프랑스문학사 (Histoire de la littérature française), 문학사자료집 (Données de l'histoire littéraire),
하이퍼텍스트 (Hypertexte), 인터넷 (Internet), 멀티미디어 (Multimé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