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비공식 멘토링 네트워크를 통한 효과적인 공식 멘토링 프로그램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멘토링 네트워크에서 프로테제-멘토 특성의 적합 모형에 기초하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기초연구지원인문사회(창의주제연구)
연구과제번호 2007-321-B00056
선정년도 2007 년
연구기간 2 년 (2007년 08월 01일 ~ 2009년 07월 31일)
연구책임자 김민정
연구수행기관 전남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장준호(전남대학교)
오홍석(연세대학교)
김민수(이화여자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비공식 멘토링 네트워크의 효과성에 대한 고찰을 통해서 효과적인 공식 멘토링 프로그램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세부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공식 멘토링 네트워크에서 프로테제의 심리적 특성과 멘토들의 심리적 특성 간의 적합(fit)을 탐구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긍정적 정서성(positive affectivity)과 핵심자기개념(core self-evaluations)이라는 두 가지 심리적 변인에 있어서 프로테제-멘토의 적합 관계를 살펴볼 것이다.
    둘째, 멘토링 네트워크 인지정확성의 선행요인 및 효과에 대해 탐구하고자 한다. ‘네트워크 인지정확성’은 자신과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들 사이의 사회적 연결관계를 인식하는 능력에 관계된다(Casciaro, 1998).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인지정확성이 개인의 심리적 특성과 개인이 지닌 사회구조적 특성, 즉 비공식 멘토링 네트워크 특성이라는 두 범주의 영향을 받아서 형성된다고 제시한다.
    셋째, 앞의 비공식 멘토링의 효과성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공식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를 목표로 한다. 이 탐구는 프로테제와 멘토의 심리적 적합, 멘토 수, 관계강도, 범위 등 기존 연구들에서 탐구되지 않은 공식 멘토링 프로그램의 특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또한 공식 멘토링 프로그램 특성의 효과 상에서 비공식 멘토링 네트워크 특성과 비공식 멘토링 네트워크 인지정확성이 미치는 상호작용효과에 대해 함께 조사함으로써 공식 및 비공식 멘토링의 효과성을 보다 포괄적으로 밝히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이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학문적 차원에서 멘토링 이론 및 심리학 이론, 사회 네트워크 이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멘토링 연구로서, 개인이 동시에 지니고 있는 공식 멘토링관계와 비공식 멘토링 관계를 연결시켜, 효과적 공식 멘토링 구축 방안을 도출하고 멘토링의 효과 메커니즘을 보다 폭넓게 밝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그동안 한 명의 프로테제와 한 명의 멘토라는 양자관계에 국한되어온 멘토링 연구 영역을 복수 멘토들과의 네트워크 영역으로 확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사회 네트워크 연구로서 본 연구는 또한 구조를 개인의 정서적 특성과 자아개념과 같은 심리적 요인에 연결시킴으로써 개인성 회복이 필요하다는 네트워크 연구계의 요구에 부응하며, 자아(ego), 즉 프로테제와 연결대상자(alters), 즉 멘토 사이의 적합 관계를 밝히는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다.
    본 연구의 실무적 및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우선 조직 입장에서 기업 내 공식 멘토링 프로그램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공식 멘토링 구축 전략에 대한 통찰을 제공해 준다. 특히 도출된 연구결과는 멘토-프로테제 연결 기법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아울러 개인 수준에서 효율적 네트워크 구조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개인의 멘토링 네트워크 개발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정부 및 대학들을 포함하여, 국가인적자원개발 목적의 다양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 상의 멘토링 프로그램 설계에도 본 연구 결과가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요약
  • 공식 멘토링 프로그램에 대한 기업의 관심과 효과성이 높은 것은 사실이지만, 왜 공식 멘토링의 효과성이 비공식 멘토링의 경우보다 낮은 것인지, 그리고 어떤 방법으로 공식 멘토링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가의 문제는 활발히 탐구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 네트워크 관점을 멘토링 이론에 접목하여, 비공식 멘토링 네트워크의 효과성에 대한 고찰을 행하며, 이를 토대로 성공적인 공식 멘토링 프로그램 구축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세부 목적은 비공식 멘토링 네트워크에서 프로테제의 심리적 특성과 멘토들의 심리적 특성 간의 적합(fit)을 탐구하여 보다 나은 공식 및 비공식 멘토링 효과를 얻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멘토링 네트워크 인지정확성의 선행요인 및 효과에 대해 탐구하고자 한다. 종합적으로 비공식 멘토링의 효과성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공식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연구하는 것이 연구 목적이며, 이 과정에서 비공식 멘토링 네트워크 특성 및 네트워크 인지정확성이 공식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 하에 2년 기간으로 설계되었다. 1차년도의 주요 연구 내용은 비공식 멘토링 네트워크에서 프로테제 특성과 멘토 특성의 상호작용 및 효과성 연구이며, 2차년도의 주요 연구 내용은 공식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및 비공식 멘토링 네트워크와의 효과성 비교이다. 본 연구는 2개 조직을 대상으로 비공식 멘토링 네트워크 및 공식 멘토링 관계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할 것이다. 현재 국내 두 개 업체를 대상으로 사전 조사가 진행 중이다. 분석에는 사회 네트워크 분석 기법 및 다차항 회귀분석과 반응표면방법론이 사용될 예정이다.
    연구 결과는 사회 네트워크 이론, 멘토링 이론, 심리학 이론 모두에 대해 이론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실무적으로 공식 멘토링 프로그램 구축전략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한글키워드
  • 공식 멘토링 프로그램,사회 네트워크 이론,비공식 멘토링 네트워크
  • 영문키워드
  • Formal Mentoring Program,Social Network Theory,Mentoring Network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에서는 비공식 멘토링 네트워크의 효과성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공식 멘토링 프로그램 구축을 위한 이해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세부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공식 멘토링 네트워크에서 프로테제의 심리적 특성과 멘토들의 심리적 특성 간의 적합 문제를 탐구하고자 한다. 둘째, 멘토링 네트워크 인지정확성의 선행요인 및 효과에 대해 탐구한다. ‘네트워크 인지정확성’이란 자신과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들 사이의 사회적 연결관계를 인식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셋째, 비공식 멘토링의 효과성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공식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를 목표로 한다. 공식 멘토링에 관한 선행 연구들은 대부분 소수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거나, 공식 멘토링에 참가 중인 개인은 비공식 멘토링 관계가 없다는 가정하 에 이루어지고 있다. 사회 네트워크 이론 및 멘토링 이론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공식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개인이 보유한 공식 멘토링과 비공식 멘토링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멘토링 관계 구도를 보다 광범위하게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10개 조직에서 사회 네트워크 자료 및 인지정확성, 개인 속성 자료들을 수집하였으며, 사회 네트워크 분석, 다차항 회귀분석, 반응표면방법론, MRQAP 등의 분석방법이 연구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과제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간략히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테제와 멘토들의 긍정적 정서는 멘토링 네트워크 기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데, 이들 둘 간의 부합에 대한 연구 결과 이들이 독립적으로 멘토링 기능을 예측하고 있음을 밝혔다. 둘째, 멘토링 네트워크 인지정확성은 자기감시성향과 네트워크 관계교체 의향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다. 그러나 멘토링 네트워크 인지정확성과 개인의 성과 간에는 예측과 달리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비공식 멘토링 네트워크 관계는 조직에서 실시하는 공식 프로그램의 수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이는 구성원들의 조직시민행동으로 이어진다. 또한 비공식 멘토들에 대한 만족은 개인특성과 상호작용하여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넷째, 공식 멘토링이 늘 양질의 기능만을 제공해주는 것이 아니라 때로는 멘토 성격의 영향을 받아 부정적 경험으로 이어지기도 하며, 이러한 부정적 경험은 공식 멘토링 프로그램 특성에 의해 조절된다. 다섯째, 비공식 멘토링 기능을 통제하고도 공식 멘토링 기능은 개인의 태도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즉 개인은 동시에 공식 멘토와 비공식 멘토들로부터 효과적인 멘토링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끝으로 멘토링 네트워크에서 프로테제 수와 같은 네트워크 특성은 멘토의 태도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의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 결과는 멘토링 및 사회 네트워크 연구계, 그리고 공식 및 비공식 멘토링에 관심이 있는 기업체 및 관리자들에게 주로 제공될 계획이다. 또한 조직 내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일반 조직구성원에게도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첫째, 개인 수준에서 효율적 네트워크 구조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개인의 멘토링 네트워크 개발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조직 내부에 펼쳐진 타인들 사이의 사회적 세상을 정확하게 지각하는 역량, 즉 네트워크 인지정확성을 배양하는 데에도 본 연구 결과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아울러 본 연구 결과는 대학, 기업체, 공공기관 등 다양한 조직들이 공식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할 경우에도 역시 구체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This research project explores the effectiveness of formal mentoring and informal mentoring networks. The purpose of this project is as follows: First, we examined how a protege's and his or her mentors' positive affectivity combine to affect the mentoring network functions. Second, we investigated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the accuracy in perceiving mentoring networks in the organization. Third, we also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formal mentoring as well as its relationship with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l mentoring network. In addition, we suggested that there can be negative aspects to mentoring relationships and that formal mentoring program characteristics may moder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inidividual characteristics and negative experiences in mentoring. We collected network data, cognitive map, and attribute data from 10 organizations.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the MRQAP, and polynominal regression analysis, we tested related hypotheses and have found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formal mentoring network characteristics, formal mentoring program characteristics, and their effectiveness. Ou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ereas the protege's positive affectivity positively affects mentoring network functions, the mentors' positive affectivity negatively influences mentoring network effectiveness. Regarding the combined effects, the protege's PA and the mentors' PA independently predicted mentoring network functions. Second, the self-monitoring and the intention to leave relationships with current mentors affect positively the accuracy in mentoring network perception. However, the predicted relationship between the accuracy in mentoring network perception and individual performance was not supported. Third, in controlling the effects of informal mentoring network, formal mentoring functions explain the variances in individual attitudes such as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s. In addition, we also found that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informal mentoring affects the acceptance of formal program developed by the organization and that it affects individual behaviors such as OCB in interacting with individual characteristics. Combining mentoring theory with social network theory, social cognitive theory, and psychology, this project contributes to extend the realm of mentoring research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both types of mentoring together. It also has practical implications for managers and organizations who need to create successful formal mentoring program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비공식 멘토링 네트워크의 효과성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공식 멘토링 프로그램 구축을 위한 이해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세부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공식 멘토링 네트워크에서 프로테제의 심리적 특성과 멘토들의 심리적 특성 간의 적합 문제를 탐구하고자 한다. 둘째, 멘토링 네트워크 인지정확성의 선행요인 및 효과에 대해 탐구한다. ‘네트워크 인지정확성’이란 자신과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들 사이의 사회적 연결관계를 인식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셋째, 비공식 멘토링의 효과성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공식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를 목표로 한다. 공식 멘토링에 관한 선행 연구들은 대부분 소수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거나, 공식 멘토링에 참가 중인 개인은 비공식 멘토링 관계가 없다는 가정하 에 이루어지고 있다. 사회 네트워크 이론 및 멘토링 이론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공식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이해하는데 있어 개인이 보유한 공식 멘토링과 비공식 멘토링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멘토링 관계 구도를 보다 광범위하게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조직들을 대상으로 사회 네트워크 자료 및 인지정확성, 개인 속성 자료들을 수집하였으며, 사회 네트워크 분석, 다차항 회귀분석, 반응표면방법론, MRQAP 등의 분석방법이 연구에 사용되었다. 이를 통해 프로테제와 멘토들의 긍정적 정서와 멘토링 기능 간, 자기감시성향 및 네트워크 관계교체 의향과 멘토링 네트워크 인지정확 간에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났으며, 그 밖에도 비공식 멘토링 네트워크와 공식 멘토링 간의 상호작용 및 효과에 있어서도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Drawing on mentoring theory and social network theory, this research project explores the effectiveness of formal mentoring and informal mentoring networks. The purpose of this project is as follows: First, we examined how a protege's and his or her mentors' positive affectivity combine to affect the mentoring network functions. Second, we investigated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the accuracy in perceiving mentoring networks in the organization. Third, we also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formal mentoring as well as its relationship with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l mentoring network. In addition, we suggested that there can be negative aspects to mentoring relationships and that formal mentoring program characteristics may moder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inidividual characteristics and negative experiences in mentoring.
    We collected network data, cognitive map, and attribute data from various organizations.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the MRQAP, and polynominal regression analysis, we tested related hypotheses and have found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formal mentoring network characteristics, formal mentoring program characteristics, and their effectiveness. The results ha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managers who meed to create successful formal mentoring programs.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과제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간략히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테제와 멘토들의 긍정적 정서는 멘토링 네트워크 기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데, 이들 둘 간의 부합에 대한 연구 결과 이들이 독립적으로 멘토링 기능을 예측하고 있음을 밝혔다. 둘째, 멘토링 네트워크 인지정확성은 자기감시성향과 네트워크 관계교체 의향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다. 그러나 멘토링 네트워크 인지정확성과 개인의 성과 간에는 예측과 달리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비공식 멘토링 네트워크 관계는 조직에서 실시하는 공식 프로그램의 수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이는 구성원들의 조직시민행동으로 이어진다. 또한 비공식 멘토들에 대한 만족은 개인특성과 상호작용하여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넷째, 공식 멘토링이 늘 양질의 기능만을 제공해주는 것이 아니라 때로는 멘토 성격의 영향을 받아 부정적 경험으로 이어지기도 하며, 이러한 부정적 경험은 공식 멘토링 프로그램 특성에 의해 조절된다. 다섯째, 비공식 멘토링 기능을 통제하고도 공식 멘토링 기능은 개인의 태도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즉 개인은 동시에 공식 멘토와 비공식 멘토들로부터 효과적인 멘토링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끝으로 멘토링 네트워크에서 프로테제 수와 같은 네트워크 특성은 멘토의 태도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 결과의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 결과는 멘토링 및 사회 네트워크 연구계, 그리고 공식 및 비공식 멘토링에 관심이 있는 기업체 및 관리자들에게 주로 제공될 계획이다. 또한 조직 내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일반 조직구성원에게도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첫째, 개인 수준에서 효율적 네트워크 구조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개인의 멘토링 네트워크 개발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조직 내부에 펼쳐진 타인들 사이의 사회적 세상을 정확하게 지각하는 역량, 즉 네트워크 인지정확성을 배양하는 데에도 본 연구 결과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아울러 본 연구 결과는 대학, 기업체, 공공기관 등 다양한 조직들이 공식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할 경우에도 역시 구체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Our majo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ereas the protege's positive affectivity positively affects mentoring network functions, the mentors' positive affectivity negatively influences mentoring network effectiveness. Regarding the combined effects, the protege's PA and the mentors' PA independently predicted mentoring network functions. Second, the self-monitoring and the intention to leave relationships with current mentors affect positively the accuracy in mentoring network perception. However, the hypothesi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curacy in mentoring network perception and individual performance was not supported. Third, in controlling the effects of informal mentoring network, formal mentoring functions explain the variances in individual attitudes such as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s. In addition, we also found that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informal mentoring affects the acceptance of formal program developed by the organization and that it affects individual behaviors such as OCB in interacting with individual characteristics.
    Combining mentoring theory with social network theory, social cognitive theory, and psychology, this project contributes to extend the realm of mentoring research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both types of mentoring together. It also has practical implications for managers and organizations who need to create successful formal mentoring programs.
  • 색인어
  • 사회 네크워크; 공식 멘토링; 비공식 멘토링; 네트워크 인지정확성 Social networks; Formal mentoring; Informal mentoring; cognitive accuracy in network perception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