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국가에서 이슬람과격단체들이 정치적으로 제도권에 진입하면서 각 국가의 미래에 매우 중요한 변수로 등장하고 있다. 2006년 총선에서 팔레스타인의 하마스는 정권을 장악하여 여당으로 변신했으며 레바논의 헤즈볼라도 국회와 내각에 그들의 대표자를 파견했고 현 정 ...
중동국가에서 이슬람과격단체들이 정치적으로 제도권에 진입하면서 각 국가의 미래에 매우 중요한 변수로 등장하고 있다. 2006년 총선에서 팔레스타인의 하마스는 정권을 장악하여 여당으로 변신했으며 레바논의 헤즈볼라도 국회와 내각에 그들의 대표자를 파견했고 현 정치권에서 가장 강력한 정치세력 중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 혼란을 거듭하는 이라크에서도 급진 쉬아 성직자 알 사드르가 이끄는 마흐디 민병대의 지지자가 내각에 6명이 포진하고 있으며 의회에도 32명이 있다. 또한 이집트의 무슬림 형제단도 자타가 인정하는 이집트의 최대 야당으로 정치에 참여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슬람과격단체들이 현재 많은 중동국가의 정치변동에 주 행위자로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헤즈볼라와 하마스는 서구국가들, 특히 미국에 의하여 테러집단으로 규정해놓은 단체들이고 마흐디 민병대는 이라크주둔 미군과 두 차례에 걸쳐 격전을 치른 무장단체이다. 이와 같이 서방국가에 의하여 중동국가에 ‘민주주의 이식’에 방해가 된다고 지명된 이들 무장단체들이 민주주의의 핵심인 의회구성을 위한 선거에서 선전하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과 원인은 학계뿐만 아니라 국가의 정책결정자들에게도 매우 당혹스런 이슈로 등장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들 이슬람과격단체의 정치적인 부상과 제도권진입은 탈냉전시대의 유일한 패권국인 미국의 예측뿐만 아니라 기존의 서구학계의 정치발전이론과도 상반된다. 그 이유는 서구의 시각이 이들 단체들이 소속된 중동국가의 현실과 왜곡된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들의 중동에 대한 예측은 빗나가고 있다. 2006년의 팔레스타인 총선에서 하마스의 승리 그리고 이스라엘-헤즈볼라전쟁에서 이스라엘이 패배한 점은 이러한 근본적인 문제를 대변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이슬람과격단체들에 대한 보다 실증적이고 적실성 있는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그 이유는 이들 단체의 향후 정치행동과 노선이 해당국가의 정치변동에 가장 중요한 변수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또한 그 귀추는 다른 중동국가의 정치변동에도 영향을 줄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주목적은 이들 단체의 무장활동뿐만 아니라 정치변동의 행위자로서의 실체와 역할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또 다른 목적은 이러한 이슬람과격단체들이 해당국가에서 정치제도권으로 진입하는 원인과 과정에 대하여 모델을 구성하는데 있다. 이는 중동국가에서 이들 4개 단체와 유사한 이슬람과격단체들이 향후 어떠한 정치적인 해보를 택할지 예측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모델은 나아가 다른 지역 국가들의 정치변동연구에도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위하여 본 연구는 국내학자뿐만 아니라 2명의 중동현지학자가 공동연구원으로 참여할 계획이다. 그 이유는 특히 헤즈볼라와 하마스는 매우 비밀스러운 조직이고 핵심멤버는 그들의 신변보호차원에서 외국인과의 접촉을 적극 자제하기에 한국학자가 이들을 상대로 심층연구를 하기에는 한계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해당국가의 학자와 공동연구를 수행함으로 그간 부족하였던 이들 조직과 활동에 관하여 보다 효과적인 연구를 할 수 있고 이 점은 한국에서 중동연구의 질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부수적인 목적은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각 단체의 핵심멤버, 현지연구기관, 학교 및 공공단체와의 인적네트워크를 적극적으로 추진데 있다. 이는 학문연구를 위해서 뿐만 아니라 유사시 국익에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는 이라크에 자이툰 부대를 파견하고 있으며 오는 7월에는 한국군이 남부 레바논에 UN평화유지군(UNIFIL)의 일원으로 파견될 계획이다. 이 지역은 전형적으로 헤즈볼라의 대 이스라엘항쟁 근거지이며 현재도 이들이 이 지역을 통치하고 있다. 한국군이 임무를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서도 이들에 관한 연구는 필요하며 혹시 만에 하나 한국군과 헤즈볼라사이에 문제가 생길 경우 이들의 조직과 인적네트워크가 있어야 순조로운 해결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마흐디 민병대는 이라크에서 가장 강력한 무력집단이며 그들의 근거지에서 준 국가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들 단체와의 인적네트워크형성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본 연구는 미국의 이라크 침공이후 국제적으로 고유가 시대를 맞이하여 제2의 중동특수가 진행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한국기업체의 중동진출 전략에도 일조할 목적을 가지고 있다. 특히 노대통령의 빈번한 중동방문에서 강조된 이 지역 국가와의 경제협력뿐만 아니라 우호증진정책의 입안에도 기여할 것이다.
연구요약
본 연구는 이러한 현실에 부합하고자 중동정치변동의 요람이 될 이들 단체들, 즉, 레바논의 헤즈볼라, 팔레스타인의 하마스, 이집트의 무슬림 형제단 및 이라크의 마흐디(Mahdi)군에 대하여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연구를 수행한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거의 연구되지 않고 ...
본 연구는 이러한 현실에 부합하고자 중동정치변동의 요람이 될 이들 단체들, 즉, 레바논의 헤즈볼라, 팔레스타인의 하마스, 이집트의 무슬림 형제단 및 이라크의 마흐디(Mahdi)군에 대하여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연구를 수행한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거의 연구되지 않고 있는 중동국가에서 가장 활동성이 강한 4개 과격 이슬람원리주의 단체의 정치제도권 진입원인, 과정 및 그 후의 문제점들을 연구하며 다음과 같은 문제에 중점을 두고 수행된다.
첫째, 이슬람의 양대 종파인 순니와 쉬아 사상에 뿌리를 둔 각각 2개 과격 이슬람단체를 선택하여 비교연구 한다. 헤즈볼라와 마흐디 민병대는 쉬아 무슬림으로 구성되어있으며, 하마스와 무슬림 형제단은 순니 무슬림으로 조직되어 있다. 이러한 상이한 종파적인 근원이 이들 과격단체의 형성과정과 조직 및 정치행동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연구한다.
둘째, 외부의 적, 즉, 이스라엘을 주적으로 하는 이슬람과격단체(헤즈볼라와 하마스)와 자국 내에서 투쟁하는 과격단체(무슬림 형제단과 마흐디 민병대) 사이의 제도권진입과정과 그 후의 문제점들을 비교연구 한다. 이는 주적의 대상에 따라 그들의 투쟁전략과 노선이 상이할 뿐만 아니라 향후 각국의 정치변동에 중요할 차이를 보였기 때문이다.
셋째, 이슬람테러조직 또는 과격단체로 지명되어 있는 조직이 해당국가에서 민주주의의, 즉 선거를 실시하면서 급부상하는 원인을 연구한다. 특히 9/11테러이후 미국의 대중동정책의 핵심은 권위적이고 부패한 중동국가가 이슬람원리주의와 테러의 온상이 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즉, 억압받고 빈곤에 시달리는 국민들이 테러조직에 가담할 가능성이 높고 미국본토도 이들 테러리스트들로부터 안전할 수 없다는 논리인 것이다. 그러나 중동에 민주주의가 전파되면서 오히려 이들 이슬람과격 또는 무장단체가 득세를 하면서 민주주의 전파에 대한 제동이 걸리고 있다. 이는 미국 부시정부의 ‘중동에 민주주의 이식’ 이라는 정책의 한계점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최대 고민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 해결방법으로 각 국가에서 이들이 선거에서 선전할 수 있었던 원인들을 도출한다.
마지막으로, 과거 테러활동의 양상 그리고 과격이슬람원리주의 단체들이 제도권 진입 후 어떠한 내적인 변화를 겪고 있으며, 기존의 무력투쟁노선을 제도권 안에서 어떠한 형태로 전환하고 있는지 연구한다. 중동의 많은 국가는 장기간에 걸친 정치적 탄압과 권위주의 통치로 인하여 시민사회형성이 극히 초보단계에 머물고 있다. 그러므로 민주화가 추진된다 해도 민주화를 뒷받침할 수 있는 정치세력이 미약한 실정이다. 현재 중동지역에서 가장 큰 잠재력이 있는 세력은 이슬람정당 또는 단체이다. 중동정치변동 과정에서 이러한 이슬람 세력들이 어떻게 작동할 것인가 하는 것은 중동정치연구에서 가장 핵심적 요소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중동정치변동 연구에서는 이슬람과격단체들이 정치변동에 긍정적인 기능으로 작용할 가능성에 대한 연구는 미약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내용에 가장 적합한 4개의 이슬람과격단체를 택하였고 이들의 정치제도권 진입 전과 그 후 과정을 포괄적으로 연구한다.
중동의 아랍국가에서 이슬람과격단체의 정치적인 부상과 제도권진입은 탈냉전시대의 유일한 패권국인 미국의 예측뿐만 아니라 기존의 서구학계의 정치발전이론과도 상반된다. 그 이유는 서구, 특히 미국에서 이들을 단순한 이슬람과격단체 또는 테러조직으로 간주하고 ...
중동의 아랍국가에서 이슬람과격단체의 정치적인 부상과 제도권진입은 탈냉전시대의 유일한 패권국인 미국의 예측뿐만 아니라 기존의 서구학계의 정치발전이론과도 상반된다. 그 이유는 서구, 특히 미국에서 이들을 단순한 이슬람과격단체 또는 테러조직으로 간주하고 이들이 각 소속 국가에서 행하는 활동과 국민들의 지지도를 간과했기 때문이다. 그 결과 미국 부시행정부에서 추진했던 새 중동정책은 의도했던 목표와는 달리 반미, 반 이스라엘 저항단체의 영향력을 증대시켰으며, 나아가 이들이 각 국가에서 가장 강력한 정치세력으로 부상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그러므로 이들 단체의 향후 행보가 각 국가의 정치발전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중동의 대표적인 이슬람과격단체인 헤즈볼라, 하마스, 무슬림형제단 및 마흐디민병대의 형성배경, 성장과정 및 제도권정치로의 진입 전과 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었다.
제1년차 연구는 이들 4개 단체의 형성원인과 성장과정을 연구하는 것이었다. 연구진은 국내연구자 5명과 현지학자로 레바논 아메리카대학교(AUB)의 아흐마드 무살리 교수와 팔레스타인 알-쿠드스(al-Quds)대학교의 무스타파 아부 스웨이 교수가 참여하였다. 국내연구진은 2007년 12월에서 2008년 1월 기간 동안 각 담당 국가에서 현지조사(이라크는 치안불안으로 인접국가에서 대체)를 하였으며 레바논과 팔레스타인에서는 현지 공동연구원과 심도 있는 토론과 현지전문가 인터뷰 및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본 연구에서는 이슬람과격단체의 출현을 하나의 종속변수로 취급하며 비슷한 독립변수들이 주어질 경우에는 중동 또는 타 지역 국가 에서도 이들과 같은 무장저항세력의 등장과 성장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연구결과 도출한 독립변수로는 첫째, 국가내의 구조적인 불균형, 둘째, 이의 개선을 위한 지도자의 등장, 셋째, 내전 또는 국내정세불안으로 인한 중앙정부의 기능마비, 마지막으로 외부세력의 영향 등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4개의 이슬람과격단체의 형성과정을 사례연구로 다루었지만 그 결과를 일반적인 이론형성으로 접목하는 시도를 하였다.
제2년차 연구는 이러한 과격단체들이 해당국가에서 제도권정치에 진입하는 과정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최근 아랍국가에서 이슬람단체들이 제도권정치에 참여하면서 이들의 참여 동기와 그 후 이들 단체의 핵심 정강의 변화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요르단, 쿠웨이트 및 터키에서 이슬람정당들이 적극적으로 선거에 참여하는 경향이 있는데 그 원인들을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은 요인들로 집약할 수 있다. 1) 현 정치체제가 이슬람의 이상과 차이가 있지만 정치적인 편의를 위하여. 2) 조직 내의 민주주의를 앙양하기 위하여. 3) 세속적인 정당과 공동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4) 이슬람운동의 궁극적인 목적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5) 정치적 자유가 확장되면서 가장 큰 이득을 볼 것이라고 예측하기에 참여. 6) 슈라(Shura)의 "consultation(협의)"이라는 개념을 동원하여 선거에 참여 등이다. 연구결과 본 연구 대상인 4개의 이슬람과격단체의 제도권정치참여도 이와 유사한 이유로 제도권에 참여하게 되었다. 그러나 레바논의 헤즈볼라의 경우 외부세력, 특히 이란의 영향력이 큰 이유 중 하나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를 수행하면서 총 18편의 논문이 발표되었고 그중 6개가 국내저명학술지에 게재되었으며, 연구결과물이 한권의 단행본으로 출판되었다. 나머지 논문은 게재를 위하여 현재 수정 보완중이다.
영문
A Final Report for "A Study on the Entry of Radical Islamic Groups into Mainstream Politics: Hezbollah, Hamas, Muslim Brothers and the Mahdi Army"
This study had two primary purposes. One was to clarify the reasons for the foundation of these fou ...
A Final Report for "A Study on the Entry of Radical Islamic Groups into Mainstream Politics: Hezbollah, Hamas, Muslim Brothers and the Mahdi Army"
This study had two primary purposes. One was to clarify the reasons for the foundation of these four radical Islamic groups. The second was to elucidate the reasons behind the entry of these groups into the mainstream political system of their respective countries. The increasing political power of these four radical Islamic groups and their entry into the mainstream politics not only embarrassed U.S. policy makers but also went against predictions of theories of political development in the west. The main reason for this phenomenon is that U.S. policy makers consider these groups to be solely radical Isalmic groups or terrorist organizations without acknowledging the larger role that they play in citizens' lives. As a result, the Bush administration's New Middle Eastern Policy not only failed but also increased the influence of the radical groups in their countries as well as within the region. These radical groups have become the most powerful political organizations in each country, and the future of political development in those countries is dependent on these groups. Therefore, we studied the reasons behind their foundation and entry into the mainstream politics.
In the first year, we found that the main reasons for the foundation of the radical groups were as follows; internal structural imbalance, appearance of a leader to correct the imbalance, collapse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foreign influences. As a result, this study argues that an Islamic militant group could be founded in any country which produces similar independent variables as the ones described above. This study is a case study on four specific radical groups, but it attempts to formulate a tentative theory concerning the foundation of Islamic militant groups.
In the second year, we found that the reasons for these four radical groups' entry into the mainstream political system were very similar to those of other Islamic groups' entry into the mainstream politics in Turkey, Jordan and Kuwait. These reasons include political expedience, to increase democracy within the group, to cooperate with secular groups toward common goals, to change the nature of Islamic movement, expectation of political gains due to liberalization and use of the concept of 'consultation' in Shura. Unlike other groups, however, Hezbollah, was also influenced by Iran to enter mainstream politics.
Over this two year period of study, we presented 18 papers related to this subject at conferences. Among the 18, six were published in journals and one book on this subject was published, Other manuscripts for publication are under preparation.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중동국가에서 이슬람과격단체들이 정치적으로 제도권에 진입하면서 각 국가의 미래에 매우 중요한 변수로 등장하고 있다. 2006년 총선에서 팔레스타인의 하마스는 정권을 장악하여 여당으로 변신했으며, 레바논의 헤즈볼라도 국회와 내각에 그들의 대표자를 참여시키고 있 ...
중동국가에서 이슬람과격단체들이 정치적으로 제도권에 진입하면서 각 국가의 미래에 매우 중요한 변수로 등장하고 있다. 2006년 총선에서 팔레스타인의 하마스는 정권을 장악하여 여당으로 변신했으며, 레바논의 헤즈볼라도 국회와 내각에 그들의 대표자를 참여시키고 있으며 현 정치권에서 가장 강력한 정치세력 중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 혼란을 거듭하는 이라크에서도 급진 쉬아 성직자 무크타다 알 사드르가 이끄는 마흐디 민병대의 지지자가 내각에 6명이 포진하고 있으며 의회에도 32명이 있다. 또한 이집트의 무슬림 형제단도 자타가 인정하는 이집트의 최대 야당으로 정치에 참여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슬람과격단체들이 현재 많은 중동국가의 정치변동에 주 행위자로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헤즈볼라와 하마스는 서구국가들, 특히 미국에 의하여 테러집단으로 규정해놓은 단체들이고 마흐디 민병대는 이라크주둔 미군과 두 차례에 걸쳐 격전을 치른 무장단체이다. 이와 같이 서방국가, 특히 미국에 의하여 중동국가에‘민주주의 이식’에 방해가 된다고 지명된 이들 무장단체들이 민주주의의 핵심인 의회구성을 위한 선거에서 선전하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학계뿐만 아니라 미국의 정책결정자들에게도 매우 당혹스런 이슈로 등장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이슬람과격단체들에 대한 보다 실증적이고 적실성 있는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그 이유는 이들 단체의 향후 정치행동과 노선이 해당국가의 정치변동에 가장 중요한 변수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또한 그 귀추는 다른 중동국가의 정치변동에도 영향을 줄 것이다. 본 연구의 주목적은 이러한 당면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들 단체의 무장활동뿐만 아니라 정치변동의 행위자로서의 실체와 역할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제1년차 연구는 이들 4개 단체의 형성원인과 성장과정을 연구하는 것이었다. 연구진은 국내연구자 5명과 현지학자로 레바논 아메리카대학교(AUB)의 아흐마드 무살리 교수와 팔레스타인 알-쿠드스(al-Quds)대학교의 무스타파 아부 스웨이 교수가 참여하였다. 국내연구진은 2007년 12월에서 2008년 1월 기간 동안 각 담당 국가에서 현지조사(이라크는 치안불안으로 인접국가에서 대체)를 하였으며 레바논과 팔레스타인에서는 현지 공동연구원과 심도 있는 토론과 현지전문가 인터뷰 및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본 연구에서는 이슬람과격단체의 출현을 하나의 종속변수로 취급하며 비슷한 독립변수들이 주어질 경우에는 중동 또는 타 지역 국가 에서도 이들과 같은 무장저항세력의 등장과 성장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연구결과 도출한 독립변수로는 첫째, 국가내의 구조적인 불균형, 둘째, 이의 개선을 위한 지도자의 등장, 셋째, 내전 또는 국내정세불안으로 인한 중앙정부의 기능마비, 마지막으로 외부세력의 영향 등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4개의 이슬람과격단체의 형성과정을 사례연구로 다루었지만 그 결과를 일반적인 이론형성으로 접목하는 시도를 하였다. 제2년차 연구는 이러한 과격단체들이 해당국가에서 제도권정치에 진입하는 과정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최근 아랍국가에서 이슬람단체들이 제도권정치에 참여하면서 이들의 참여 동기와 그 후 이들 단체의 핵심 정강의 변화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요르단, 쿠웨이트 및 터키에서 이슬람정당들이 적극적으로 선거에 참여하는 경향이 있는데 그 원인들을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은 요인들로 집약할 수 있다. 1) 현 정치체제가 이슬람의 이상과 차이가 있지만 정치적인 편의를 위하여. 2) 조직 내의 민주주의를 앙양하기 위하여. 3) 세속적인 정당과 공동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4) 이슬람운동의 궁극적인 목적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5) 정치적 자유가 확장되면서 가장 큰 이득을 볼 것이라고 예측하기에 참여. 6) 슈라(Shura)의 “consultation(협의)”이라는 개념을 동원하여 선거에 참여 등이다. 연구결과 본 연구 대상인 4개의 이슬람과격단체의 제도권정치참여도 이와 유사한 이유로 제도권에 참여하게 되었다. 그러나 레바논의 헤즈볼라의 경우 외부세력, 특히 이란의 영향력이 큰 이유 중 하나이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연구결과 본 연구의 목적은 앞에서 언급한 4개의 이슬람과격단체의 형성배경과 원인, 이들의 성장·변천과정 및 제도권 정치에 편입된 이후 이들의 정치행보를 연구하는 것이다. 이들 4개 단체는 현재 각각의 소속국가에서 가장 강력한 야당세력으로 자리 잡고 있다. 뿐 ...
연구결과 본 연구의 목적은 앞에서 언급한 4개의 이슬람과격단체의 형성배경과 원인, 이들의 성장·변천과정 및 제도권 정치에 편입된 이후 이들의 정치행보를 연구하는 것이다. 이들 4개 단체는 현재 각각의 소속국가에서 가장 강력한 야당세력으로 자리 잡고 있다. 뿐만 아니라 하마스는 2006년 의회선거에서 승리하여 내각을 구성한 바 있으며, 이집트의 무슬림형제단도 현 시점에서 자유로운 경쟁이 보장되는 선거가 실시될 경우 의회선거에서 다수당이 될 가능성도 있다. 이들은 현 무바라크정부의 탄압에도 불구하고 2005년 의회선거에서 88석을 차지했다. 더 많은 의석을 차지할 수 있었으나 기존의 정부에 지나친 자극을 주지 않기 위하여 무슬림형제단은 이 당시 후보숫자를 조정하였다. 이라크의 마흐디민병대는 내각과 의회에 벌써 상당수의 지지자들을 보유하고 있다. 레바논의 헤즈볼라는 자타가 인정하는 국내 가장 강력한 정치세력이다. 2007년 11월부터 장기간 레바논의 대통령직을 공석으로 둔 원인이 바로 헤즈볼라를 중심으로 한 야당세력의 반대 때문이었다. 2009년 6월 7일 실행된 레바논의회선거에서도 헤즈볼라를 포함한 야당세력이 전체의석 128석 중 57석을 차지했다. 그러므로 이들 단체들은 미국이 주장하는 것과 같이 단순한 이슬람과격세력 또는 테러조직이 아니다. 국민 상당수의 지지를 받고 있는 정당으로 변모했으며 나아가 군사력까지 보유하고 있다. 그러므로 현실을 인정하고 이들에 접근해야한다. 전 미국대통령 지미 카터가 최근 주장하고 행동으로 옮겼듯 이들의 정체를 인정하고 대화의 창구를 열어야한다. 그 이유는 이들 단체들이 해당국가의 정치변동에 가장 큰 영향력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각 단체들의 형성배경과 원인 및 성장·변천과정에 대하여 사례연구를 하였다. 특히 이 과정에서 역사적인 맥락을 중심으로 이들의 형성을 종속변수로 보고, 국가의 구조적 불균형, 중앙정부의 약화 내지 붕괴, 지도자의 등장 그리고 외부세력의 영향 등을 원인변수(독립변수)로 상정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총 18편의 논문이 학회에 발표되었으며, 결과물이 단행본으로도 출판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비단 특정국가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비슷한 여건이 주어지는 다른 중동국가에도 적용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활용방안
1) 본 연구의 결과는 특히 서구 학계와 정계에서 이슬람 테러집단 또는 과격무력단체로 지명된 이들 4개 집단이 그들의 주장과 달리 해당국가의 정치변동에 주 행위자로 활동하고 있음을 보여줌으로 그들의 이 단체에 대한 편견과 왜곡을 해소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2) 본 연구는 한국학자와 중동학자가 공동으로 수행하기에 좀 더 보편타당성이 있는 이론을 창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한국에서 중동연구를 한층 업그레이드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3) 본 연구의 결과는 경제, 외교 등 실용적 측면에서도 폭넓고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4) 본 연구결과는 중동 이슬람지역에 대한 우리의 편견이나 오해를 교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5) 본 연구결과(논문 및 단행본)는 아랍 및 중동 관련 학과가 개설된 4개 대학교(한국외국어대학교, 명지대학교, 조선대학교, 부산외국어대학교)는 물론 지역연구, 국제정치, 비교정치, 중동 문화와 사회 등을 교육시키는 기관에서 학습 자료로 적극 활용될 것이다. 6) 본 연구의 결과는 중동 또는 타 지역의 이슬람과격단체를 연구하는데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7) 중동관련 자료 중에서 이미 출간된 자료는 자세한 내용을 검토한 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목록집으로 발간하려 한다. 8) 본 연구는 후진양성에 기여하였으며 이들이 본 연구결과물을 활용함으로써 장래 중동연구의 학문적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