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과학기술과 인간 정체성의 문제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인문저술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7-812-A00064
선정년도 2007 년
연구기간 3 년 (2007년 12월 01일 ~ 2010년 11월 30일)
연구책임자 김선희
연구수행기관 건국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목적은 오늘날 첨단과학기술이 인간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것이다. 즉 과학기술이 인간에게 적용되는 구체적인 사례와 연구결과들을 분석하고 그것을 철학적, 인문학적으로 조명함으로써 첨단과학기술이 인간의 본성에 어떤 영향력을 미치는지 논의하고자 한다. 과학기술의 영향은 인간의 종의 차원에서, 개인의 차원에서 그리고 성별과 젠더의 차원에서 정체성의 문제를 일으킨다는 점에서 인간 본성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재고하도록 만든다는 것을 논의할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본 저서에서 논의하고자 하는 주요 논지는 다음과 같다.
    (1) 현대의 첨단 과학기술은 인간의 본성에 직접 개입하고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그것의 역할과 영향력은 특별하다. 인류의 시작 이래로 인간은 언제나 기술을 사용하여 왔지만, 오늘날 과학기술의 영향은 인간성 자체에 문제를 일으킨다는 점에서 보다 근본적이다.
    (2) 첨단과학기술은 세가지 차원에서 인간성(인간정체성)에 문제를 일으킨다. 첫째, 인간종의 차원에서 과학기술은 자연종으로서 인간의 범주와 정체성에 문제를 제기한다. 둘째, 개인의 차원에서 과학기술은 자아정체성(혹은 개인정체성)에 문제를 제기한다. 셋째, 성별이나 젠더의 차원에서 과학기술은 정체성의 문제를 야기한다.
    (3) 과학기술에 의해 야기되는 인간종의 정체성, 개인의 정체성, 젠더정체성의 문제는 기존의 사고방식과 개념체계를 바꿀 수 있다. 이로부터 새로운 철학적 문제가 제기되고, 그 문제들에 대한 새로운 방식의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4) 과학기술이 인간성의 범주와 경계를 문제 삼거나 인간 정체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인간의 본성이 더 이상 자연적인 것에 머무르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 결과 인간성의 문제는 인간 자신의 선택과 책임이 따르는 문제가 된다.
    (5) 이것은 인간의 본성을 재조명할 것을 요구하며, <인간이 된다는 것이 무엇인가> 하는 철학적, 인문학적 물음을 야기한다. 그런 의미에서, 과학기술과 인간성의 관계에 대한 탐구는 과학기술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과 반성을 요구하는 문제이다.
  • 기대효과
  • (1) 첨단과학기술시대에 과학기술과 인간학의 상호연관성을 구체적이고 포괄적, 심층적으로 제시한다. (2) 과학기술과 인문학이 대화할 수 있는 학문적 공간을 마련하고, 과학기술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을 제시한다: 과학적 상상력은 인문학을 풍요롭게 만들어주는 동시에 인문학은 과학기술에 대하여 올바른 적용과 비판적 해석을 제시함으로써, 둘 사이에 상호영향을 주고받는 것이 인류의 발전을 위하여 바람직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오늘날과 같이 과학이 인간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시대에, 둘 사이에 대화의 채널이 없다면 두 영역 모두 편견/편협한 사고에 머무를 수 있다. (3) 현대인은 인간 자신을 이해하기 위해서 적극적으로 과학기술의 인문적/인간학적 함축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런 점에서, 본 연구는 인문적 주체로서 모든 현대의 교양인들에게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와 책임과 참여의 자세를 갖도록 인식의 전환에 기여한다. (4) 오늘날 과학은 중요한 의미에서 인문학의 영역에 속한다는 것을 이해하며, 과학기술과 인문학의 관계에 대한 탐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후속 연구들을 개발하는 데 기여한다. (5) 본 연구를 통하여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와 과학적 상상력을 동원하여 인간의 완성과 이해에 대한 새로운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 연구요약
  • 오늘날 과학기술의 발전단계에서 볼 때, 과학기술과 인간의 탐구는 서로 분리해서 생각하기가 어렵게 되었다. 현대의 첨단과학은 기술적으로, 현실적으로 인간의 본성을 새롭게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대의 과학기술은 인간본성에 직접 개입하고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그것의 역할과 영향력은 특별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인간과 기술의 상호작용을 넘어서서 인간과 기술이 융합할 가능성 마저 제시되고 있는 시점에서, 과학기술과 인간성의 관계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이런 배경에서 필자는 본 과제를 통하여, 과학기술이 인간에게 적용되는 구체적인 사례와 연구결과들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그것이 인간의 본성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하여 세가지 차원(인간정체성, 자아정체성, 젠더정체성)에서 탐구하고자 한다.
    첫째, 인간과 기계의 경계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과학기술이 인간의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한다. 현대의 첨단과학기술은 컴퓨터와 분리되어 생각할 수 없을 만큼 컴퓨터 공학과 기술적으로 깊이 관련되어 있다. 오늘날 과학기술과 컴퓨터과학의 배경에서 볼 때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대표적인 과학자는 앨런 튜링(Alan Turing)과 노버트 위너(Nobert Wiener)이다. 튜링의 인공지능과 위너의 사이보그는 인간과 기계 사이의 차이보다는 유사성과 동등성을 보여줌으로써 둘 사이의 경계를 불분명한 것으로 만들었으며, 그리하여 인간성(인간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새로운 사고의 단서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튜링과 위너의 입장과 그것의 근거들을 검토하고, 인간과 기계의 유사성 및 생물학과 전자공학의 동등성을 보여주는 구체적인 실험과 사례들을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이들의 사상을 반영하는 과학기술의 인간학적 함축을 고찰할 것이다.
    둘째, 과학기술이 개인의 정체성(혹은 자아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한다. 여기서는 개인들 간의 경계를 해체시키는 과학기술의 사례를 분석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원격현존과 같은 사이버스페이스 기술이나 사이보그 실험(혹은 인간과 컴퓨터의 융합)이 어떻게 개인의 신체의 경계를 해체시키는지, 그 결과 어떻게 개인 간의 경계를 불분명하게 만드는지 논증함으로써 과학기술이 개인과 자아의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하여 논의할 것이다.
    셋째, 과학기술이 젠더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과학기술이 인간의 신체를 급진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으며 성별적 신체마저 초월할 수 있는 상황에서 기술이 젠더정체성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 논의한다. 동시에 그러한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기술자체가 기존의 젠더화된 신체(가부장제 문화의 성별적 신체)를 재생산하는 현실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고찰함으로써, 과학기술과 페미니즘 사고와의 연관성을 논의한다. 이런 맥락에서, 정보사회의 첨단 테크놀로지를 이용하여 여성주의를 위한 젠더정체성을 새롭게 시험하려는 시도와 사례들을 분석하고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상의 논의에 따라 과학기술이 인간의 자연적 본성을 문제 삼는다는 것으로부터, 우리는 새로운 철학적 물음에 직면하게 된다. 즉 첨단과학기술이 여러 가지 차원에서 인간의 본성을 새롭게 규정한다는 우리의 논의를 상기한다면, 적어도 자연본래적인 인간성을 묻는 물음은 의미와 근거를 상실한다. 이제 인간성의 문제는 (주어진 본성을 찾는 문제가 아니라) 인간 스스로 선택하는 문제가 된다. 첨단과학기술에 의해, 인간종의 경계가 더 이상 자연적인 것으로 머무르지 않으며 종간의 경계를 넘어설 수 있을 때, 또한 자연종 간의 경계만이 아니라 인간과 기계의 경계마저 넘어설 수 있을 때, <인간은 어떤 존재가 될 것인가>하는 철학적, 인문학적 성찰이 요청된다.
  • 한글키워드
  • 사이보그,정보,자아정체성,개인정체성,인간정체성,인간성,인간학,인문학,몸,다중자아,사이버자아,컴퓨터,튜링테스트,인공지능,계산주의,노버트 위너(N. Wiener),앨런 튜링(A. Turing),전자공학,분자생물학,정보기술,사이버네틱스,로봇,기술,인간과 기계,컴퓨터 공학,생명,인공두뇌,두뇌,사이버페미니즘,젠더정체성,과학기술,몸의 가상화,나노기술,유전공학,생명공학,의사소통,사고,인공생명,가상몸,원격현존,인터넷,사이버공간
  • 영문키워드
  • cyber agent,humanities,self identity,cyberspace,cyborg,humanity,techonology,computationalism,telepresence,cybernetics,internet,communication,thought,artificial life,cyberbody,Turing Test,robot,machine,Nobert Wiener,Alan Turing,NT,BT,IT,computer,artificial intelligence(AI),brain,gendered body,cyberfeminism,gerder identity,individual identity,human identity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