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국어 시작하다와 불어 commencer 동사의 대조연구 - 영어 begin과의 관련성 및 인상/통제동사 용법구분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우수논문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08-325-A00437
선정년도 2008 년
연구기간 1 년 (2008년 11월 01일 ~ 2009년 10월 31일)
연구책임자 김종명
연구수행기관 서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이 연구는 기동상inchoative aspect을 표현하는 상동사aspectual verb라는 점에서 의미적 수렴성을 보이는 영어의 begin 동사, 불어의 commencer 동사, 한국어의 <시작하다> 동사를 연구대상으로 삼는다. 이 연구는 이 연구대상에 대해서 대조언어학적 관점(James(1980), Willems & alii(2003))에서 다음 네 가지 점을 밝히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1) 이 세 언어의 동사들에 대한 구문 분석을 통해 각 동사의 구문 구조를 제시한다.
    (2) 불어 commencer 동사와 한국어 <시작하다> 동사의 구문들이 각각 지니는 내포술어에 대한 분포제약의 성격을 밝힌다.
    (3) 통사적 측면에서, 세 언어의 동사구문이 지니는 공통적 특성과 차별적 특성들이 무엇인지를 밝힌다.
    (4) 상기 세 가지 논의를 통해 드러나는 세 언어의 동사구문의 공통적 특성들이 왜 존재하는지 그 이유를 언어학적 원리에 입각해서 설명한다.

    이제 이 네 가지 연구목표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부연 설명한다.
    (1) 영어 begin 동사는 이 동사가 자-타동 양용동사로 분석된다는 Perlmutter(1970)의 분석을 위시해서 여러 선행연구( Freed(1979), Newmeyer(1969), Postal(1974), Pustejovsky & Bouillon(1996))가 있었다. 그렇지만 이 연구들이 제시하는 분석의 결론이 반드시 서로 일치하지는 않는다. 불어 commencer 동사 역시 그 구문적 특성을 밝히려는 여러 선행연구( Kayne(1980), Lamiroy(1987), Peeters(1993), Pustejovsky & Bouillon(1996), Ruwet(1991))가 있었다. 그런데 이 연구들은 commencer 구문 전반을 다루지 않아서 그 논의가 부분적이며 제시하는 결론에 있어서도 반드시 상호 일치하지는 않는다. 한편 이 두 동사의 의미적 등가어인 한국어 <시작하다> 동사의 경우는, 그 구문적 특성을 다룬 선행연구가 부재하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영어, 불어에 관한 선행연구의 결과를 비판적으로 종합하여, 한국어, 불어, 영어의 세 동사에 대한 구문 분석을 새롭게 제시한다.
    (2) 불어 commencer 동사에 관해서는 그 구문의 내포절 동사에 대한 분포제약을 밝히려는 두 선행연구가 있다: Lamiroy(1987), Peeters(1993). 그러나 이 두 연구는 부분적으로 상호 일치하지 않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또 이 두 연구는 commencer 동사가 지니는 구문 전체를 대상으로 삼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논의가 부분적이다. 연구자는 이 두 선행연구를 토대로, commencer 동사 구문 전체를 대상으로 그 구문의 내포동사에 대한 분포제약을 새롭게 제시한다. 아울러 한국어 <시작하다> 동사 구문에 대해서도 동일한 작업을 하여 그 분포제약을 밝힌다.
    (3) 세 언어의 동사는 자-타동 양용동사이고 자동사로서는 인상동사, 타동사로서는 통제동사의 용법을 지닌다는 점에서 공통적 특성을 보인다. 또 한국어와 불어의 두 동사는 그 구문의 내포동사에 대해 동일한 분포제약을 지닌다는 점에서 또 다른 공통적 특성을 보인다. 그렇지만 특히 인상동사 구문에 있어서 한국어는 불어, 영어와는 다른 차별적 특성을 보인다. 바로 이런 세 언어의 동사 구문이 지니는 공통적 특성과 차별적 특성이 무엇인지를 밝히고 이를 제시한다.
    (4) 세 언어의 동사구문이 지니는 다음 두 가지 공통적 특성들이 왜 존재하는지 그 이유를 언어학적 원리에 입각해서 설명한다. i) 세 언어의 동사는 왜 공히 자-타동 양용동사로서 인상동사와 통제동사의 용법을 공통적으로 지니는지를 밝힌다. 동사의 자-타동 양용성을 설명하려는 기존의 언어학적 시도로는, 기동상/사역 변이inchoative/causative alternation를 보이는 자-타동 양용의 상태 변화change of state 동사에 대한 Levin & Rappaport(1995)의 가설, 그리고 자-타동 양용의 양태동사에 대한 Tragautte & Dasher(2002), Sweetser(1990)의 가설 등이 존재한다. 이 연구는, 이러한 시도들과 동일한 맥락에서, 세 언어의 동사가 공통적으로 지니는 자-타동 양용성을 설명하는 가설을 제시하고자 한다. ii) 한국어와 불어의 두 동사는 왜 그 구문의 내포동사에 대해 동일한 분포제약을 지니는지를 언어학적 원리에 입각해서 그 이유를 밝힌다.
  • 기대효과
  • 이 논문의 연구 결과는 다음 학문 분야에 기여하는 바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 국어학 분야에 대한 기여 : 이 연구가 시도한 <시작하다> 동사에 대한 구문 분석은 선행연구가 없다. 그렇지만 이 동사는 영어와 불어의 상응하는 동사에 대한 선행연구가 많이 있는 것을 보아도 짐작할 수 있듯이, 그 통사적 특이성으로 인해, 통사론적 연구 대상으로 주목받아야 마땅한 동사이다. 그렇지만 지원자가 아는 한, 국어학 분야에서 이 동사를 대상으로 한 통사론 연구가 부재하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과는 이런 연구 부재를 어느 정도 채워주는 연구라고 생각된다.
    (2) 불어학 분야에 대한 기여 : 불어 commencer 동사에 대해서는 선행연구들이 있지만, 이 연구가 선행연구들에 대해 지니는 독창성은 첫째, commencer 동사가 상태변화 동사로서 기동상/사역 변이를 하는 자-타동 양용동사라는 새로운 분석을 제시했고 이를 통해 이 동사가 자-타동 양용동사인 이유를 설명했다는 것, 둘째, commencer 동사의 내포동사에 대한 분포 제약을 종합적이고 명시적으로 새롭게 제시했다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이 연구는 불어학 분야에 기여하는 바가 있으리라 기대된다.
    (3) 영어학 분야에 대한 기여 : 영어 begin 동사에 관한 선행연구들과 비교할 때, 이 연구가 지니는 새로운 점은 이 동사가 상태변화 동사로서 기동상/사역 변이inchoative/causative alternation를 하는 자-타동 양용동사라는 분석을 통해 이 동사의 자-타동 양용성을 설명했다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이 연구는 영어학 분야에 기여하는 바가 있으리라 기대된다.
    (4) 일반언어학 분야에 대한 기여 : <시작하다>, commencer, begin 동사는 일반적으로 상동사aspectual verb로 여겨져 왔고 따라서 이 동사들이 통사-의미적으로 상태변화 동사 부류에 들어간다는 이 연구의 주장은 새로운 것이다. 이는 상태변화 동사 부류의 외연 및 기존의 동사 분류에 대한 비판적 재고의 여지를 제공하고 Levin & Rappaport(1995)가 제시하는 기동상/사역 변이의 동사부류에 관한 가설의 유효성 및 적용 범위의 확장 가능성에 관해서 일반언어학적 성찰의 계기를 제공한다고 여겨진다. 또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인상에 관한 영어나 불어 등의 언어와 한국어의 행태 차이에 대한 분석은 인상 현상에 관한 유형론적 연구에 일조를 할 수 있는 결과를 제시한다고 여겨진다.
  • 연구요약
  • 영어의 begin, 불어의 commencer, 한국어의 <시작하다> 동사를 연구 대상으로 삼은 이 연구의 논의 및 논의의 결과는 다음 네 가지로 요약된다.
    (1) 이 세 언어의 동사들에 대한 구문 분석을 시도하였고 그 결과, 이 세 언어의 동사들은 모두 자-타동 양용 동사이며 세 언어 모두 자동사 구문은 인상동사 구문, 타동사 구문은 통제동사 구문으로 분석된다는 점을 밝혔다.
    (2) 불어의 commencer와 한국어의 <시작하다> 동사를 대상으로, 이 두 동사의 인상구문과 통제구문이 각각 지니는 내포절 동사에 관한 분포제약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했고 그 결과, 두 언어는 동일한 분포제약을 지니고 있음을 밝혔다. 즉, Vendler(1978)의 상적 동사분류에 입각할 때, 인상동사로서 commencer와 <시작하다> 동사는 행위동사activity verb, 성취동사accomplishment verb, 과정process이 없는 순간적 시작-완료 행위의 반복 과정serialization을 표현하는 완수동사achievement verb, 단일 개체 상태의 반복적 출현을 나타내는 상태동사state verb 그리고 단계술어stage-level predicate( Kratzer 1989)인 상태동사가 내포동사로 분포할 수 있다는 것 또 통제동사로서 commencer와 <시작하다> 동사의 내포절 술어는 의지동사임과 동시에 행위동사, 성취동사 또는 순간적 시작-완료 행위의 반복 과정을 표현하는 완수동사인 그런 서술어들이 분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였다.
    (3) 세 언어의 동사구문이 지니는 공통적 특성과 차별적 특성들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세 언어의 동사는 자-타동 양용동사이고 자동사로서는 인상동사, 타동사로서는 통제동사의 용법을 지닌다는 점에서 공통적 특성을 보인다는 것 또 한국어와 불어의 두 동사는 그 구문의 내포동사에 대해 동일한 분포제약을 지닌다는 점에서 또 다른 공통적 특성을 보인다는 것을 밝혔다. 그렇지만 한국어의 동사는 불어와 영어의 동사와는 다른, 다음의 두 가지 차별적 특성을 보인다는 것을 아울러 밝혔다: i) begin과 commencer의 인상구문과 통제구문이 동일한 표층구조를 취하는 것과 달리, <시작하다>는 인상구문과 통제구문이 여러 면에서 형식적으로 구분된다. 우선 한국어의 인상구문은 내포절에 -기 절만 분포가 가능하고 것 절은 불가능하다. 반면에 <시작하다> 통제구문의 경우는 -기 절과 것 절이 둘 다 분포 가능하다. 또, 한국어의 인상구문은 -기 내포절에 어떤 격조사도 붙을 수 없다. 그러나 통제구문은 -을/를의 격조사가 붙는다. ii) <시작하다> 동사의 인상구문은 불어, 영어의 경우와는 달리, 그 인상이 수의적이며, 그 구문에서 <시작하다> 동사는 부정어의 분포나 통사적 자립성의 측면에서 의존적 성격을 지녀 보조동사 같은 통사적 행태를 보인다. 반면에, 불어와 영어의 경우는 인상구문에서 인상이 의무적이며 동사가 통사적 자립성을 지닌 본동사의 행태를 보인다.
    (4) 이 세 언어의 동사가 지니는 공통적 특성이 왜 존재하는지 그 이유를 언어학적 원리에 입각해서 밝혀보고자 했다. 그 결과, i) 세 언어의 동사가 공히 자-타동 양용동사로서 인상동사와 통제동사의 용법을 지니는 이유는 이 세 언어의 동사가 모두 Levin & Rappaport(1995)가 말하는 외래적 원인에 의한 상태변화 동사externally caused change of state verb로서 기동상/사역 변이를 하는 자-타동 양용동사이기 때문이라는 설명을 제시했다. ii) 한국어와 불어의 두 동사가 그 구문의 내포동사에 대해 동일한 분포제약을 지니는 것은 commencer와 <시작하다> 동사가, 어휘의미적으로 볼 때, 둘 다, 서술하는 사건의 시작 국면을 나타내는 동사이기 때문에 서술되는 사건 그 자체가 시작점이 있는 하나의 과정을 이루어야만 한다는 의미적 제약을 공유하기 때문이라는 설명을 제시했다.
  • 한글키워드
  • 단계술어,성취동사,통제동사,상태동사,완수동사,행위동사,인상동사,개체술어,상적 속성,통제구문,인상구문,재구조화,복합술어,상동사,내재적 원인에 의한 상태변화 동사,외래적 원인에 의한 상태변화 동사,상태변화 동사,기동상/사역 변이,자-타동 양용동사
  • 영문키워드
  • control verb,inchoative and causative alternation,transitive and intransitive verb,chahge of state verb,internally caused change of state verb,state verb,accomplishment verb,raising verb,raising verb construction,control verb construction,actionsart,individual-level predicate,stage-level predicate,activity verb,achievement verb,complexe predicate,externally caused change of state verb,aspectual verb,restructuring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