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구문 기술을 위한 명사의 의미 정보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09-327-A00356
선정년도 2009 년
연구기간 1 년 (2009년 11월 01일 ~ 2010년 10월 31일)
연구책임자 고석주
연구수행기관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 구문 기술을 위한 명사 의미정보 연구
    ‧ 한국어에서 구문을 형성하는 명사-동사 간 통합 양상과 이에 대한 체계적인 기술을 위한 명사의 의미정보에 대해 고찰한다.
    ‧ 고빈도 동사 500여 개의 논항구조 자료를 구축한다.
    ‧ 각 언어별로 명사-동사 통합쌍의 패턴 자료를 구축한다.
    ‧ 명사의 의미정보와 동사의 논항구조에 관한 언어개별적 특성 및 언어보편적 특성을 규명한다.
    ○ 명사의 의미정보와 문법 현상의 상관관계 규명
    ‧ 명사의 의미정보와 동사의 논항구조 간의 상관관계를 살핀다.
    ‧ 명사의 의미정보와 문장 성분(주어, 목적어 등) 간의 상관관계를 고찰한다.
    ‧ 명사의 의미정보와 격틀(혹은 격표지) 간의 상관관계를 밝힌다.
    ‧ 명사의 의미정보와 문법 현상 간의 상관관계를 설명한다.
    ‧ 의미정보와 통사정보 간의 연결 이론(Linking Theory)을 제시한다.
    ○ 이론언어학적 문법 모형의 개발
    ‧ 명사의 의미정보 표상에 대한 이론적 모형을 제시한다.
    ‧ 명사와 동사의 통사정보 표상에 대한 이론적 모형을 제시한다.
    ‧ 명사-동사 통합관계에서 의미정보와 통사정보의 표상에 대한 이론적 모형을 제시한다.
    ‧ 의미론과 통사론의 접합 층위 혹은 연결 이론의 모형을 제시한다.
  • 기대효과
  • ○ 의미정보와 통사정보의 분석을 통한 명사와 동사의 유형 분류와 어휘 유형별 의미․통사적 특성 규명
    ○ 명사와 동사의 의미정보와 통사정보 표상을 위한 모형 개발
    ○ 의미정보와 통사정보의 상관관계를 규정하는 연결 이론(Linking Theory) 개발
    ○ 의미정보 표상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각종 자연언어처리 기술 및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에 이용
    ○ 전자 사전의 구축을 위한 기본 모형으로 활용
    ○ 정보검색 엔진 및 자연어 대화 시스템, 질의 응답 시스템 개발의 기반 기술 제공
    ○ 사전(각 언어사전)에서의 명사와 동사의 의미정보와 통사정보 제공을 통한 학습자의 학습 능률 향상
    ○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나 한국인 외국어 학습자를 위한 기본 문법서 작성 및 한국어 및 외국어 교재개발에 유용한 자료 제공
    ○ 언어권별 학습자를 위한 대조분석기반 교수 방법에 유용한 자료 제공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구문의 형성과 기술에 있어서 한 단어의 의미정보가 가지는 주된 역할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데 그 관심의 초점이 있다. 특히, 명사와 동사 사이의 통합 관계 및 동사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형식의 구문 형성에 있어 명사의 의미정보가 가지는 역할이 어떠한지를 중점적으로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어의 명사-동사 통합 패턴의 기초 자료를 구축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제반 현상에서 나타나는 명사의 의미정보와 관련한 특성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 한글키워드
  • 명사,동사,연결이론,문장 성분,조사 교체,의미 정보
  • 영문키워드
  • case alternation,verb,noun,semantic information,grammatical role,linking theory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명사의 의미정보를 바탕으로, 한 명사가 동사와 결합하여 문장을 이룰 때 나타나는 다양한 구문현상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한 예로, 한국어 이동동사 ‘가다’에 대해서는 많은 논의가 있었으나, 아래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명사의 의미적 특성에 따른 조사 실현의 제약 현상이 있다.

    (예) a. 철수가 학교/회사/서울-∅/에/를/로/에를 갔다.
    b. 철수가 친구/누나/선생님-*∅/에게/*를/*로/에게를 갔다.
    c. 철수가 산길/고속도로/철길-*∅/*에/을/로/*에를 갔다.

    다른 예로, 영어의 경우에는, 명사의 의미 자질에 따른 중간태 구문 형성의 제약을 관찰할 수 있다.

    (예) a. The clothes will wash easily. ⇔ She will wash the clothes.
    b. *The baby will wash easily. ⇔ She will wash the baby.

    정태구(2001)에 따르면, 중간태는 사역구문에 해당되는데, 이 때 사역주는 명사의 내재적 속성이 된다. (a)에서 clothes의 질에 따른 내재적 속성이 washing에 영향을 주므로 사역주로 가능하나, baby의 속성은 washing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없으므로 사역주가 될 수 없기 때문에 중간태 구문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명사의 의미정보가 구문의 형성에 일정한 역할을 하는데, 명사의 문장 성분 제약, 명사의 격 실현, 수동태, 조사 실현, 장소 보어 교차 구문(locative alternation) 등 다양한 구문 현상이 명사의 의미정보와 관계가 있다.
  • 영문
  • .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구문의 형성과 기술에 있어서 한 단어의 의미정보가 가지는 주된 역할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데 그 관심의 초점이 있다. 특히, 명사와 동사 사이의 통합 관계 및 동사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형식의 구문 형성에 있어 명사의 의미정보가 가지는 역할이 어떠한지를 중점적으로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어의 명사-동사 통합 패턴의 기초 자료를 구축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제반 현상에서 나타나는 명사의 의미정보와 관련한 특성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 결과
    ○ 의미정보와 통사정보의 분석을 통한 명사와 동사의 유형 분류와 어휘 유형별 의미․통사적 특성
    ○ 명사와 동사의 의미정보와 통사정보 표상을 위한 모형
    ○ 의미정보와 통사정보의 상관관계를 규정하는 연결 이론(Linking Theory)

    2. 연구 결과의 활용 방안○ 의미정보 표상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각종 자연언어처리 기술 및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에 이용
    ○ 전자 사전의 구축을 위한 기본 모형으로 활용
    ○ 정보검색 엔진 및 자연어 대화 시스템, 질의 응답 시스템 개발의 기반 기술 제공
    ○ 사전(각 언어사전)에서의 명사와 동사의 의미정보와 통사정보 제공을 통한 학습자의 학습 능률 향상
    ○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나 한국인 외국어 학습자를 위한 기본 문법서 작성 및 한국어 및 외국어 교재개발에 유용한 자료 제공
    ○ 언어권별 학습자를 위한 대조분석기반 교수 방법에 유용한 자료 제공
  • 색인어
  • 명사, 동사, 의미정보, 통사정보, 문장 성분, 연결 이론,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