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영국 재가노인보호시설의 건축특성과 복합화 경향에 관한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대학교수해외방문연구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0-013-D00078
선정년도 2010 년
연구기간 1 년 (2010년 03월 01일 ~ 2011년 02월 28일)
연구책임자 박혜선
연구수행기관 인하공업전문대학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영국은 사회복지와 관련된 제도를 가장 먼저 시행에 옮긴 국가 중 하나로, 20세기 초부터 지금까지 이와 관련된 많은 법의 제정 또는 개정을 통해서 사회복지제도를 발전시켜 왔다. 최근 커뮤니티케어의 개혁으로 안정된 노인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영국의 노인재가보호시설의 건축특성과 복합화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한국 노인복지시설 공급을 위한 합리적인 건축계획을 유도할 수 있는 기초적 자료를 구축하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크게 종적연구와 횡적연구 두 가지로 나뉘어서 수행될 예정이다. 종적인 연구는 영국의 공적인 재가보호서비스가 제공되었던 1940년대부터 현 노동당 정권이 집권하여 재가보호시장에 대한 규제와 감독이 강화된 현재까지를 대상으로 한다. 각 시기별 정책의 전개과정을 통해 재가보호서비스와 시설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하는 발전 양상을 탐구하고자 한다. 횡적 연구에서는 재가보호시설 중 지역사회에 가장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주간보호센터의 사례를 찾아서 이 시설이 어떠한 시설들과 복합되었으며, 각각의 공간구성 및 특징은 어떠한지 분석하고자 한다.
    사회복지정책이 발전하는 과정에서 제기되었던 문제에 대해서 영국이 대처했던 다양한 방안과 경험들이 우리에게 시사하는 점은 무엇인지 고찰한다. 그리고 많은 과정과 시행착오 속에서 우리의 노인복지 상황에 필요한 교훈을 찾는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정책 및 건축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발전적 대안을 제시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 영국은 이미 고령사회에 진입하였고 급속한 고령화를 경험하였으며 노인복지에 관련된 많은 연구의 축적과 잘 정비된 제도 및 시설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므로 영국의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경험과 연구를 분석하고 이를 한국의 상황에 맞게 활용하는 것은 커다란 학문적, 실용적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 영국의 사례에 비추어 노인복지시설의 우수한 사례들을 찾아보고, 또한 그들이 겪었던 시행착오들을 점검해보고자 한다. 특히 국내에 소개가 미흡했던 영국 노인복시시설의 구체적인 사례에 대한 건축적인 접근을 시도하는데 의의를 가진다. 또한 본 연구는 단순한 유형 분류 빛 자료수집에 그치지 않고 구체적으로 한국에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는 공급체계 및 계획요소를 찾아내고자 한다.
    ▪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연구는 건축분야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사회복지분야, 보건의료분야, 관련제도 및 정책, 경영 및 인력조직 등 다양한 분야의 협력이 요구되는 분야이다.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연구를 토대로 다학제간 연구의 기초를 구축할 수 있다.
    ▪ 연구가 성공적으로 수행되고 그 결과가 효과적으로 활용될 경우 노인복지시설의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건립은 물론 노인복지시설이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는 장기적인 측면에서 노인복지의 만족도 향상과 국가복지비용의 효율적 활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동안 충분한 검증 없이 참조되었던 국외의 노인시설을 비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한국 노인복지시설의 합리적인 계획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분야에서는 영국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기초자료를 구축함으로서 향후 국가 간 노인복지시설 비교 등 관련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정책분야에서는 공공 및 민간분야에서 노인복지시설의 공급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전략적 계획은 물론 건축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노인복지시설의 공급량 및 건축계획적 규모, 종류 등에 대한 분석내용은 국가의 복지정책을 수립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실무분야에서는 노인복지시설의 공급 시 건축계획의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할 수 있다. 연구의 결과는 실제 설계현장에서 참고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 교육분야에서는 사례조사에서 수집된 시각적 자료, 도면 자료들은 교육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다.
  • 연구요약
  • 평균수명의 연장 및 출산율 저하에 따른 우리나라의 노인인구 및 노인인구비율의 폭발적인 증가는 세계에서 유례가 없는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국내의 상황 하에서 노인에 대한 사회적 보호의 필요성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면서 2008년 7월부터 시행된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은 노인복지서비스에 급격한 변화를 가져왔다. 한편 노인문제가 심각한 복지선진국에서도 재정 부담이 큰 시설보호나 의료적 서비스는 최소한의 수요를 만족하도록 하고, 지역사회중심의 서비스를 개발하고 집중적으로 강화시키고 있다.
    재가보호시설의 절대부족현상을 절감하는 가운데 정작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도시에서는 높은 지가와 주민반대 등으로 부지확보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복지선진국에서는 다양한 사회복지시설을 복합화한 복합복지시설을 건축하거나, 지역사회시설에 노인시설을 복합화함으로써 노인시설을 확보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노인시설이 다양한 시설들과의 복합이 늘고있어, 영국의 다양한 노인복합시설의 사례연구를 통해 국내에 적용 가능한 노인시설의 복합유형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영국은 사회복지와 관련된 제도를 가장 먼저 시행에 옮긴 국가 중 하나이며, 20세기 초부터 지금까지 이와 관련된 많은 법의 제정 또는 개정을 통해서 사회복지제도를 발전시켜 왔다. 최근 커뮤니티케어의 개혁으로 안정된 노인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영국의 노인재가보호시설의 건축특성과 복합화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한국 노인복지시설 공급을 위한 합리적인 건축계획을 유도할 수 있는 기초적 자료를 구축하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문헌고찰에 의하여 영국 재가노인보호정책의 전개과정을 시대별로 구분하고, 이에 따라 재가보호서비스와 시설이 어떻게 변화하였는가에 대한 발전 양상을 탐구하여 그 특징을 기술한다. 영국 노인복지시설관련 법령 및 기준을 검토하여 재가노인보호시설의 법적 유형 및 각 유형별 정의를 명확히 하여 재가노인보호시설의 개념을 정립한다. 재가보호시설 중 지역사회에 가장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주간보호센터의 사례를 찾아서 이 시설들이 어떠한 시설들과 복합되었는지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서 조사하고, 그 공간구성 및 특징에 대해서 분석한다. 연구 결과를 통해서 한국에 적용가능성을 검토한다.
  • 한글키워드
  • 커뮤니티케어,노인복합시설,복합화,재가복지,노인장기요양보험법,영국,주간보호센터,재가노인보호
  • 영문키워드
  • community care,home care,Long-term Care Insurance Law for the Elderly,domiciliary care,U.K,Multi-Functional Welfare facilitiy,Day Care Center,Integration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평균수명의 연장 및 출산율 저하에 따른 우리나라의 노인인구 및 노인인구비율의 폭발적인 증가는 세계에서 유례가 없는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국내의 급속한 고령화 현상으로 노인에 대한 사회적 보호의 필요성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면서 2008년 7월부터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이 시행되게 되었으며, 이에 따른 노인복지서비스의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특히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는 의료보험과 같이 현물급여를 위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반적인 시설 인프라 구축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노인문제가 심각한 복지선진국에서도 노인복지에 대한 재정문제가 큰 부담으로 대두되어, 가능하면 비용을 절감하는 제도로 변화해 가고 있다. 따라서 재정 부담이 큰 시설보호나 의료적 서비스는 최소한의 수요를 만족하도록 하고, 지역사회중심의 서비스를 개발하고 집중적으로 강화시키고 있다. 노인 입장에서도 낯선 환경의 새로운 시설에 입소하는 것보다 지역사회에서 자신들의 건강상태의 변화에 따라 연속적인 케어를 받는 것을 더 선호하고 있다.
    영국은 사회복지와 관련된 제도를 가장 먼저 시행에 옮긴 국가 중 하나이며, 20세기 초부터 지금까지 이와 관련된 많은 법의 제정 또는 개정을 통해서 사회복지제도를 발전시켜 왔다. 최근 커뮤니티케어의 개혁으로 안정된 노인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영국의 노인재가보호시설의 건축특성과 복합화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한국 노인복지시설 공급을 위한 합리적인 건축계획을 유도할 수 있는 기초적 자료를 구축하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영국 노인복지서비스의 주된 특징은 노인들이 가능한 한 지역사회에서 독립된 생활을 유지하도록 그들의 개별적 욕구에 따라 유연하고 통합된 지역사회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장려한다는 것이다. 즉 영국은 노인들의 자립을 증진하기 위해 개별적이고 다양한 복지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설보호, 재가보호, 주거, 소득, 건강지원서비스 등을 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통합서비스 모델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
    에이지 컨선(Age Concern) 및 레지던셜 케어 등의 입소시설에 설치되어 있는 데이센터 등의 주간보호시설은 재가보호서비스 중 일부를 담당하는 시설이지만 커뮤니티케어의 중심시설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재가보호서비스별로 이에 해당하는 시설을 분류하였다. 영국의 재가보호시설의 공급 및 계획특성에 대한 현상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관련제도 즉, 보험제도, 요양제도, 복지시설 정책 등 노인관련 제도는 물론 인구구조 및 노인수발문화 등 노인복지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을 다각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영국 재가보호서비스에 대한 현상을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노인복지환경이 다른 한국에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단독으로 존재하는 주간보호센터를 제외하고 타 복지시설(동종간 복합), 혹은 다른 시설(이종간 복합)과 복합된 시설을 대상으로 각 시설들이 어떻게 복합되었는지를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서 조사하였다. 일반적인 사례분석 절차에 따라서 부지면적, 건축면적, 연면적, 지역규모, 건립년도, 시설운영주체, 층수 등 일반개요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그리고 평면 등 구체적인 도면과 시설 운영자의 면접 등을 통해서 시설의 복합형태, 시설복합정도, 출입구와 동선형태, 공유형태,
  • 영문
  • Due to rising life expectancies and declining birth rates, the volume and propor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in Korea is soaring at an unprecedented rate. In this context, social care for the elderly has emerged as an important issue in Korea; the ?long-term care insurance law for the elderly? came into effect in July 2008, bringing about drastic changes in elderly welfare services. As this insurance system focuses on in-kind benefits, like medical care, it is therefore of urgent need to establish an overall welfare infrastructure to provide proper service.
    In countries with advanced welfare policies, elderly care has incurred a heavy financial burden on the society and efforts are made to cut back cost. As a result, facility care and medical services for the elderly which are more expensive?are managed to meet the minimum needs, while community-centered services?which are lower in cost?are promoted and reinforced. Also, elderly people prefer to receive attentive care for their health conditions in their local community rather than going away to a new facility in an unfamiliar place.
    The U.K is one of the leading countries that has implemented social welfare systems early on and it has revised related laws since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in order to improve its system. The country provides reliable elderly welfare services, with successful community care being a recent innovation. This research examines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in U.K, as well as its transition toward combining multiple social welfare facilities. The objective is to collect data to induce reasonable architecture planning and to provide future direction for elderly care services in Korea.
    A primary characteristic of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 in England is that it is encouraged to provide flexible and integrated community services based on their individual needs so that they can maintain independent lives in communities as possible. That is, England is making efforts to develop individual and diversified welfare programs and establish integrated service models that can comprehensively provide facilities care, domiciliary care and residence, income and health support services.
    Although day care centers like the Age Concerns are facilities that provide a part of community care services, their roles as central facilities of community cares will be noted to grasp the community care services in England. The facilities will be divided into different types by community care service. To analyze the present state of supplies and planning characteristics of domiciliary care facilities in England, elderly person related systems such as insurance systems, care systems and welfare facility policies as well as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he environments of elderly persons? welfare such as population structures and cultures to take care of elderly persons had been reviewed from multiple angles. Through this review, the present state of community care services in England can be grasped more accurately and the results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Korea where environments of elderly persons? welfare are different.
    To grasp the types of various facilities and characteristics by type more clearly, it is necessary to visit representative facilities in person. Through this, data such as photos of interior/exterior of the facilities, drawings, building profiles, the present states of operation and management have been collected. Also, satisfaction with existing facilities by factor had been grasped or the present states of operation had been identified through interviews with or questionnaires on operators. Based on thi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have been made available for utilization in planning supplies or constructions of domiciliary care faciliti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영국의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2007년 기준으로 약 970만 명으로 전체인구대비 16.4%에 해당한다. 따라서 영국은 이미 고령사회에 진입하였으며 2020년에는 19.8%, 2030년에는 22%에 이를 것으로 추계되므로 10년 남짓으로 초고령사회로 다다를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은 2000년도에 고령화사회에 진입한 초기 고령화국가이기 때문에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미래지향적이고 합리적인 계획을 위해서는 국내시설에 대한 분석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노인관련 정책과 노인복지시설의 공급과 계획에 대한 시행착오를 거쳐 발전된 노인복지시설을 건립․운영하고 있는 노인복지선진국을 방문하여 최신의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자료를 수집․분석하는 것이 가파른 고령화를 경험하고 있는 한국의 경우에 있어 좋은 참고가 될 수 있다.
    연구는 크게 재가노인보호시설의 유형별 공급특성과 건축계획적 내용으로 구분되므로 각각에 대하여 그에 필요한 정량적 자료들을 수집하고, 활용하도록 였다.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가 수행되었다.
    첫째, 문헌고찰에 의하여 영국 재가노인보호정책의 전개과정을 시대별로 구분하고, 이에 따라 재가보호서비스와 시설이 어떻게 변화하였는가에 대한 발전 양상을 탐구하여 그 특징을 기술하였다. 이를 위해서 영국 노인복지시설관련 법령 및 기준을 검토하여 재가노인보호시설의 법적 유형 및 각 유형별 정의를 명확히 하여 재가노인보호시설의 개념을 정립하였다.
    둘째, 영국의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정책적 자료, 통계자료, 연구문헌 등을 토대로 정량적 방법을 이용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정부 및 민간 기관에서 조사하고 있는 통계자료를 인용, 분석하여 사회인구학적 배경을 이해하는 데 활용하였다. 또한 정책의 기조를 파악하는 데는 공공기관의 연구 및 보고자료를 활용하였다. 이때 지역사회에서의 재가보호시설, 즉 주간보호센터를 중점으로 자료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현재 진행 중이다.
    셋째, 노인복지시설을 방문, 답사하여 사진촬영 후 자료화 하였다. 영국의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건축평면 및 도면에 대한 자료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그러나 이러한 도면들은 시설의 구성 및 동선, 기능을 파악하고 계획개념들을 살펴보는데 매우 중요하다. 가능한 많은 사례를 수집하여 분류하여 유형화하고, 그 유형에서 나타나는 특징들을 정리하고 도식화하여 구체적인 계획 원칙들을 도출하였다. 시설에 대한 평가를 위해서는 운영자에 대한 인터뷰, 이용자에 대한 관찰 등의 경험적 방법을 이용하였다. 특히 재가보호시설 중 지역사회에 가장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주간보호센터의 사례를 집중적으로 찾아서 이 시설들이 어떠한 시설들과 복합되었는지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서 조사하고, 그 공간구성 및 특징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추후 이 연구 결과를 통해서 한국에 적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영국 체제 중 방문한 노인시설은 다음의 12개 시설이다. 지역별로는 런던과 킹스턴으로 나누어지며, 시설종류는 너싱홈, 레지던셜 홈, 노인데이센터, 에이지 컨선(Age Concern)이란 노인 단체에서 운영하는 채리티 숍, 헬스센터, 호스피스 등 다양하다. 방문시설은 이메일이나 전화로 연락하여 매니저를 통해 방문 날짜를 예약하였고, 방문해서는 매니저나 담당직원이 내부 시설을 안내해 주고, 개별적으로 준비해 간 질문(Interview)에 대답하는 형식으로 이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영국은 현재 이미 고령사회에 진입해 급속한 고령화를 경험하였으며 노인의 복지증진과 복지비용의 효율적 활용을 국가의 중요한 과제로 삼고 있다. 따라서 노인복지에 관련된 많은 연구의 축적이 있으며, 잘 정비된 제도 및 시설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므로 영국의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경험과 연구를 분석하고 이를 한국의 상황에 맞게 활용하는 것은 커다란 학문적, 실용적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영국의 사례에 비추어 노인복지시설의 우수한 사례들을 찾아보고, 또한 그들이 겪었던 시행착오들을 점검해 보았다. 특히 국내에 소개가 미흡했던 영국 노인복시시설의 구체적인 사례에 대한 건축적인 접근을 시도하는데 의의를 가진다. 또한 본 연구는 단순한 유형 분류 빛 자료수집에 그치지 않고 구체적으로 한국에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는 공급체계 및 계획요소를 찾아내고자 하였다.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연구는 건축분야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사회복지분야, 보건의료분야, 관련제도 및 정책, 경영 및 인력조직 등 다양한 분야의 협력이 요구되는 분야이다.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연구를 토대로 다학제간 연구의 기초를 구축할 수 있다.
    연구가 성공적으로 수행되고 그 결과가 효과적으로 활용될 경우 노인복지시설의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건립은 물론 노인복지시설이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는 장기적인 측면에서 노인복지의 만족도 향상과 국가복지비용의 효율적 활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동안 충분한 검증 없이 참조되었던 국외의 노인시설을 비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한국 노인복지시설의 합리적인 계획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활용방안으로는 첫째, 연구분야에서는 영국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기초자료를 구축함으로서 향후 국가 간 노인복지시설 비교 등 관련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둘째, 정책분야에서는 공공 및 민간분야에서 노인복지시설의 공급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전략적 계획은 물론 건축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노인복지시설의 공급량 및 건축계획적 규모, 종류 등에 대한 분석내용은 국가의 복지정책을 수립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셋째, 실무분야에서는 노인복지시설의 공급 시 건축계획의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할 수 있다. 연구의 결과는 실제 설계현장에서 참고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넷째, 교육분야에서는 사례조사에서 수집된 시각적 자료, 도면 자료들은 교육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다.
  • 색인어
  • 노인주간보호시설, 데이센터, 커뮤니티케어, 영국, 재가복지, 재가노인보호시설, 복합화, 너싱홈, 레지던셜홈, 노인복지시설, 재가복지서비스, 채리티숍, 호스피스, 에이지컨선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