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초국가적 사회운동과 네트워크국가: 불복종과 저항의 확산에 관한 시뮬레이션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0-327-B00038
선정년도 2010 년
연구기간 2 년 (2010년 05월 01일 ~ 2012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민병원
연구수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이 연구는 초국가적 사회운동(transnational social movements)의 동역학적 메커니즘을 경험적ㆍ이론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초국가적 사회운동이 국내정치와 국제관계 사이에서 어떤 연계성을 갖는지를 경험적으로 살펴보며, 이를 바탕으로 미시적 메커니즘의 근원을 이론적인 모형으로 구축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표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의 퍼즐과 네 가지의 보조 퍼즐을 탐구하고자 한다.

    퍼즐 1: 초국가적 사회운동은 국민국가의 변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보조퍼즐 1: 국민국가 내부의 시민불복종운동은 초국가적 사회운동과 어떻게 연관되는가?
    보조퍼즐 2: 시민불복종운동과 초국가적 사회운동에 대해 국민국가는 어떻게 대응하는가?

    퍼즐 2: 초국가적 사회운동의 미시적 작동 메커니즘은 어떻게 구현할 수 있는가?
    보조퍼즐 3: 개인들이 시민불복종과 초국가적 사회운동에 참여하는 미시적 동인은 무엇인가?
    보조퍼즐 4: 초국가적 사회운동의 네트워크는 어떻게 메타네트워크로 발전하는가?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그동안 사회학적으로만 분석되어온 초국가적 사회운동을 국제관계의 관점에서 새롭게 분석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국제관계이론의 수준을 한 단계 격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동안 현실주의 국제정치이론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까닭에 초국가적 사회운동이 한갓 주변적인 이슈로만 간주되어왔지만, 오늘날의 복잡한 글로벌 정치구조는 더 이상 이러한 무시를 용인하지 않는다. 이 연구는 특히 초국가적 사회운동과 국가 네트워크 사이의 관계를 컴퓨터 모형을 통해 구현함으로써 정책적으로, 이론적으로 포괄적이면서 의미를 갖는 연구성과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이러한 연구성과는 복합적인 연구방법을 통해 기존의 학계 관행에 신선한 자극을 줄 것으로 보인다.
  • 연구요약
  • 2년에 걸쳐 진행될 이 연구는 각각 다음과 같은 연구주제들을 중점적으로 다룰 예정이며, 첫 해에는 사례분석 및 통계자료분석을 통한 경험적 연구를, 둘째 해에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한 이론적 모형을 개발하는 작업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제1년차 연구: 초국가적 사회운동과 국민국가의 변환
    - 국가의 권위와 시민불복종의 원리: 국민국가의 한계
    - 시민불복종과 초국가적 사회운동의 연계성: 경험적 분석
    - 네트워크국가와 초국가적 사회운동: 정부간 네트워크를 통한 대응

    제2년차 연구: 초국가적 사회운동의 작동 메커니즘
    - 초국가적 사회운동의 미시적 동인
    - 메타네트워크의 발전과 초국가적 사회운동
    -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작동 메커니즘의 구현
  • 한글키워드
  • 초국가적 사회운동,네트워크 국가,시민불복종,정부간 네트워크,경험적 연구,저항,컴퓨터 시뮬레이션,확산,이론적 모형
  • 영문키워드
  • transnational social movements,network state,intergovernmental networks,civil disobedience,resistance,diffusion,computer simulation,empirical research,theoretical models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보고서는 초국가적 사회운동(transnational social movements)의 동역학적 메커니즘을 경험적ㆍ이론적으로 분석하는 제2년차 연구결과이다. 연구의 기본 목적은 세계화 시대에 국민국가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그리고 탈냉전기에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초국가적 사회운동이 어떤 방식으로 어떻게 국민국가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탐색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의 퍼즐을 제시하고, 이러한 퍼즐에 대한 해답을 추구하는 형태로 진행되었다. 아래의 퍼즐은 연구 초기에 제기되었던 학술적 질문들을 통합하여 각각의 연구 당해 연도에 탐구하고자 하였다. 첫 번째 퍼즐과 관련하여 이 연구는 이미 중간보고서를 제출하였으며, 이번의 최종 결과보고서에서는 두 번째 퍼즐--초국가적 사회운동의 미시적 작동 메커니즘--에 대한 해답을 모색하였다.
  • 영문
  • This report is the result of the study on transtional social movements in its second year. It tries to elucidate the dynamic mechanisms in terms of empirical and theoretical contexts. The basic goal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hange in nation states and their working mechanisms and how the new social movements in the post-Cold War have had impacts on the transformation of nation states. For these goals, the study presents two puzzles, each of which is also composed of two sub-puzzles, and find out how we answer those puzzles. The report is the answer to the second set of puzzle--the micro-level working mechanism of transnational social movement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보고서는 초국가적 사회운동(transnational social movements)의 동역학적 메커니즘을 경험적ㆍ이론적으로 분석하는 제2년차 연구결과이다. 연구의 기본 목적은 세계화 시대에 국민국가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그리고 탈냉전기에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초국가적 사회운동이 어떤 방식으로 어떻게 국민국가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탐색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의 퍼즐을 제시하고, 이러한 퍼즐에 대한 해답을 추구하는 형태로 진행되었다. 아래의 퍼즐은 연구 초기에 제기되었던 학술적 질문들을 통합하여 각각의 연구 당해 연도에 탐구하고자 하였다. 첫 번째 퍼즐과 관련하여 이 연구는 이미 중간보고서를 제출하였으며, 이번의 최종 결과보고서에서는 두 번째 퍼즐에 대한 해답을 모색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의 결과는 제1차년도의 중간보고서와 결합하여 추후 2편의 논문으로 재구성될 예정이며, 이론적 작업과 경험적 작업을 구분하여 초국가적 사회운동의 작동 메커니즘을 학술적으로 규명하는데 이용될 예정이다.
  • 색인어
  • 초국가적 사회운동, 네트워크국가, 불복종, 저항, 확산, 시뮬레이션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