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고령사회에 대비한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 모델의 구축, 활용 및 보급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한국사회과학연구(SSK)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0-330-B00303
선정년도 2010 년
연구기간 3 년 (2010년 09월 01일 ~ 2013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정영숙
연구수행기관 부산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서수균(부산대학교)
쿠니(Univ. of Missouri~, Columbia)
안정신(부산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급속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노인의 개인적 행복 추구와 고령화로 인한 사회적 갈등 완화를 포괄할 수 있는 미래 지향적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 모델로 ‘성숙된 노화’ 개념을 제안하고, 그 타당성을 입증하여, 노인이 행복하고 가족 간의 유대가 증진되고 세대가 공존할 수 있는 사회통합적 교육ㆍ상담 프로그램을 개발ㆍ보급함으로써, 미래의 한국 고령 사회를 더 성숙하고 더 행복한 사회로 안내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의 1단계(2010-2012)에서는 연차별로 다음과 같은 목표를 설정하였다. 1차 년도에는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안내할 수 있는 잠정적 이론 모델로 ‘성숙된 노화’에 대한 개념화 작업을 실시 하고자 한다. 성숙된 노화 개념은 가족주의와 유교주의에 입각한 한국적 가치관을 반영하여 노인들이 다른 가족이나 다른 세대와 공존하며, 자신의 강점을 발휘할 수 있는 관계지향적․사회통합적․타인배려적 노화 모델로, 서구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대안적 개념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2차 년도 목표는 성숙된 노화 요소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들이 무엇인지를 찾는 것이다. 2차 년도에는 인간 심리에서 긍정적 힘을 발휘하는 요소들 중에서 성숙된 노화에 포함될 수 있는 요소들을 찾아, 1차 년도에 구성된 성숙된 노화의 이론적 모델을 정교화하고 구체화하는 작업을 수행하고자 한다. 여기서는 성숙된 노화 개념과 관련된 보다 밀접한 요소와 성숙한 노인과 미성숙한 노인을 구분할 수 있는 적절한 준거를 발견하여 성숙된 노화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들을 찾고자 한다. 3차 년도에는 ‘성숙된 노화’ 개념을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기반으로서 고령 사회에 나타나는 가족 갈등과 세대 갈등을 진단하고자 한다. 여기서는 노년기의 가족관계(‘부부관계’, ‘부모-자녀 관계’, ‘친정어머니-딸 관계’, ‘시어머니-며느리 관계’ 등)와 세대관계( ‘노년층-청년층’, ‘노년층-장년층’ 등)를 중심으로, 각 관계에서 어떤 유형의 갈등이 발생하며, 그 원인은 무엇인지를 다양한 접근으로 분석하여, 2단계의 핵심 과제인 가족통합적․세대통합적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2단계 목표는 1단계에서 구성된 성숙된 노화 개념과 구성 요소들을 바탕으로 가족 간의 갈등을 완화시키고 서로의 행복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가족통합적 프로그램과 세대 간의 갈등을 감소시키고 서로의 안녕과 복지를 증진시키는 세대통합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성숙된 노화 모델의 유용성을 확인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3단계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성숙된 노화’ 모델이 서구에서도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모델인지를 확인하고 성숙된 노화 개념을 토대로 한국 노인을 위한 교육ㆍ상담 모델 구축을 목표로 한다. 3단계에서는 서구의 성공적 노화 모델과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성숙된 노화 모델의 적응성 비교를 통해 개인주의 문화에 바탕을 둔 성공적 노화의 대안적 모델로서 성숙된 노화 개념의 우월성을 검증해 보고자 한다. 아울러 예비 노년기나 노년기에 있는 사람들에게 갈등을 해결하고 행복한 적응을 준비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육․상담 모델을 함께 구축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가 원활하게 수행되는 경우 다음과 같은 기대 효과가 예상된다.
    먼저, 연구 결과의 학문적, 사회적 기여를 살펴보면, 첫째, 현재 한국 노인들의 성공적 노화를 안내할 수 있는 이론적 모델이 부재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다년간에 걸쳐 ‘성숙된 노화’ 개념이 구성된다면, 이는 한국 노인의 바람직한 노화를 안내하는 유용한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서구의 성공적 노화 개념 모델들은 자유, 기회, 활동, 생산성을 중시하는 서구의 개인주의 문화를 그 기반에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성숙된 노화란, 가족주의와 유교주의에 근거한 타인을 배려하는 통합적 행복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가 수행되면 동양 문화권에서 구성된 성숙된 노화 모델이 서구 문화권에서도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성숙된 노화 모델이 한국 노인을 위한 노화 모델로 머무르지 않고, 개인지향적인 서구의 성공적 노화 모델의 한계성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 모델로 나아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셋째, 성숙된 노화 개념은 노인이 가족이나 다른 세대와 더불어 조화롭게 사는 가족통합적․세대통합적 방향을 지향하고 있기에 노년기에 나타나는 가족 갈등 문제 또는 세대 갈등 문제 해결의 유익한 해결의 틀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연구 결과와 관련된 교육적 활용을 살펴보면,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사회통합적 프로그램은 가족 갈등과 세대 갈등을 해소할 뿐만 아니라 노인 개인의 행복을 증진시킬 수 있는 요소도 포함시키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들과 성공적 노화 개념은 고령 사회를 조화롭게 만드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둘째, 타인을 배려하고 다른 세대를 배려하는 세대통합적 프로그램의 효과를 토대로 한국 노인을 위한 교육․상담 프로그램이 마련되면, 노년기를 준비해야 할 시기에 해당하는 사람들과 노년기에 이른 노인들이 사회에 도움이 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를 통한 차세대 연구 인력의 양성에 관한 기대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시작 단계에서부터 발달심리학, 상담심리학, 노년가족학 등 노인과 관련된 분야를 공부하는 박사과정과 석사과정 학생들이 연구에 참여함으로써, 개념화 과정과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 배운 이론화 작업 및 현장 경험을 통해 이들이 한국 노인을 위한 성숙된 노화 개념을 더욱 발전시키고 유용한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유능한 연구자로 육성하고자 한다. 특히 3차 년도에는 박사 수료자를 서구의 대표적인 노화 연구소 프로그램이나 대학에의 연수를 통해 서구 고령 사회의 현황과 문제점들을 직접 살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서구의 노화 모델과 한국의 노화 모델을 비교할 수 있는 국제적 연구자로 육성할 예정이다. 끝으로, 본 연구가 장기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연구에 참여하는 석․박사 과정생들은 노인심리학 전문가로, 한국 노인의 상담을 위한 모델을 구성하고 노인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상담전문 인력으로, 그리고 가족 갈등이나 세대 갈등을 해결하고 통합할 수 있는 노년가족학 전문가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한다.
  • 연구요약
  • 한국 노인들의 성공적 노화 모델을 안내하는 모델로 ‘성숙된 노화’ 모델을 제기하여, 그 유용성을 입증하고, 이를 근거로 한국 사회의 통합적 행복을 위한 노인 교육ㆍ상담 모델을 구축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단계별로 다음과 같은 작업을 수행하고자 한다.
    (1) 제 1차 년도에는 한국 노인에게 적합한 성숙된 노화 모델을 구성하기 위해 ①서구의 성공적 노화 연구에서 사용한 개념과 측정 도구를 한국 노인에게 적용하는데 따른 적절성 여부에 관한 비판적 고찰하고, ②유학사상에 나타난 성숙 인격 개념에 관한 문헌 개관을 토대로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전통적 가치관과 연계시키는 작업을 시도하며, 그리고 ③성공 은퇴자 사례에 대한 심층 면접 실시 및 면접 자료에 대한 내용 분석을 통해 성숙된 노화 요소를 탐색해 보고자 한다.
    (2) 제 2차 년도에는 인간 심리에서 긍정적 힘을 발휘하는 요소들을 찾아 성숙된 노화에 포함될 수 있는 핵심 구성 요소들을 탐색하고자 ①노년기에 감사, 지혜, 삶의 의미 등 긍정적 심리가 갖는 함의를 고찰하고, ②노인들을 대상으로 감사, 지혜, 삶의 의미, 자아통합감 등에 대한 다양한 변인과 긍정적․부정적 적응 지표의 개인차를 측정하고, 그리고 ③측정된 변인들의 관계를 다변량 분석 방법으로 분석(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 군집분석 등)하여 성숙된 노화 요소의 핵심 요소를 발견하고자 한다.
    (3) 제 3차 년도에는 성숙된 노화 모델 적용을 위한 기반으로 노년기에 나타나는 다양한 인간관계 속에서의 갈등 양상과 원인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다양한 가족관계와 세대관계를 중심으로, 각 관계에서 발생하는 갈등 유형과 원인 분석을 위해 ①친밀관계에서 노인들이 중요하게 여기는 것과 친밀관계를 위협하는 요인을 탐색하고, ②노인들이 친밀한 관계에서 주로 경험하는 갈등 유형을 분류하고, ③갈등의 기저에 깔려있는 비합리적인 신념이나 기대를 탐색하며, ④노인들이 흔히 사용하고 있는 부적응적인 갈등해결 방식을 확인하고, ⑤세대 간 갈등 유형 및 유발 요소를 탐색할 것이다.
    (4) 2단계(2013-2016)에서는 1단계에서 구성된 성숙된 노화의 구성 요소들을 바탕으로 가족관계에서 서로의 행복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가족통합적 프로그램과 세대간 안녕과 복지를 증진시키는 세대통합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할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 3단계(2016-2020)에서는 성숙된 노화 모델이 서구 문화권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 유용한 모델인지를 검증하고 아울러 한국 노인을 위한 교육․상담 모델을 구축할 것이다.
    본 연구에는 노년과 관련된 학제간 연구자들로 발달심리 전공자, 임상 및 상담심리 전문가, 노년가족학 전공자, 그리고 성숙된 노화 개념이 서구에도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검증을 맡아 줄 외국 연구자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들은 기초 연구팀, 응용팀 및 국제협력팀으로 분화하여, 자신의 전공에 맞는 역할을 상호 협동적으로 수행할 예정이다. 기초 연구팀은 유교주의와 긍정 심리학적 요소를 바탕으로 성숙된 노화 모델을 구성하고, 성숙된 노화를 구성하는 요소들과 적응 관련 변인들을 측정하여 그 관계를 분석하고, 다양한 가족관계 및 세대 간에 나타나는 갈등 양상과 원인을 진단할 것이다. 응용팀은 갈등 해결과 예방을 위한 가족통합적 프로그램과 세대통합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할 것이며, 노년기를 준비하는 사람들과 노인을 위한 교육․상담 모델을 구성할 예정이다. 그리고 국제협력팀은 서구의 성공적 노화 개념의 장점과 한계를 고찰하고, 한국에서 개발된 성숙된 노화 개념이 서구 노인의 행복을 증진시키는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탐색을 하고자 한다. 또한 세계의 주요 노인 및 노화 발달 연구소와의 정보 교류를 위해 관련 연구소 전문가를 초청해 국제 컨퍼런스를 추진할 예정이다.
  • 한글키워드
  • 한국 노인을 위한 교육․상담 모델,개인주의·집단주의,통합적 행복,개인적 행복,성숙된 노화,성공적 노화,노화,노년기,감사,비합리적 신념,적응 지표,삶의 의미,갈등 유형,가족 갈등,갈등 감소,사회 갈등,문화와 심리,조화성과 연계성,자기실현,자율성,지혜,노인 강점 강화,세대통합 프로그램,가족통합 프로그램,세대 공존,가족 유대,한국적 가치관,고령 사회,성숙 인격,유교주의,갈등 진단,세대 갈등
  • 영문키워드
  • relatedness,index of adjustment,meanings of life,wisdom,gratitude,intergenerational coexistence,aging,later life,aged society,social conflict,self-actualization,autonomy,matured personality,Confucianism,Korean traditional value,individualism/collectivism,harmonized happiness,personal happiness,familial solidity,irrational belief,type of conflict,generation gap,conflict resolution,matured aging,successful aging,psychological well-being,culture and psychology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급속하게 고령화되고 있는 나라이다. 오랜 기간 행복하게 사는 것이 개인에게는 바람직할 수 있으나 부양 가족과 젊은 세대에게는 그만큼 부담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노인의 개인적 행복 추구와 고령화로 인한 사회적 갈등 완화를 포괄할 수 있는 미래 지향적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 모델로 ‘성숙된 노화’ 개념을 제안하고, 그 타당성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려는 ‘성숙된 노화’ 모델은 노인들이 다른 가족과 다른 세대와 공존하며, 자신의 강점을 발휘하는데 초점을 둔 노화 모델이다. 본 연구에서는 장기적 연구를 통해 ‘성숙된 노화’ 개념의 유용성을 입증하고, 특히 노인의 행복에 중요한 요소로서 가족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를 근거로 노인의 가족관계 갈등과 관계 욕구를 구체적으로 탐색하고 척도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앞으로 고령 사회에서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는 노인이 행복하고 가족 간의 유대가 증진되고 세대가 공존할 수 있는 사회통합적 교육ㆍ상담 프로그램을 개발ㆍ보급하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 영문
  • Korea is becoming an aged society very fast. Korea became a aging society. And it is expected to be aged society in 2016. Is Longevity a Blessed Phenomenon for all generation? it will increase financial & psychological burden to caregivers. Also familial & intergenerational conflict will be increased. As a negative result of aging elder abuse, neglect & ignorance may happen. And it will lead to lower quality of life for both the aged & younger generation. As regarding cultural difference, we need a guiding concept to well-aging of Korean elderly. Korea is generally classified as a collective country. Korean Elders get satisfaction through children’s success and they think that Having comfortable mind & Going with the reasonable life is to age well. So, we’d like to suggest a matured aging as a compensation for successful aging. We confirmed matured aging is appropriate concept that explained Korean elder's well-aging. The concept of Matured aging is constructed by 3 dimensions. Basic or lower dimension of matured aging, it includes physical health and cognitive function, and strengths of elderly. In Harmonized relationship dimension, we include Concern and respects for spouse and children .In Social Responsibility dimension, it will be included generativity and Matured attitude to aging. This results will contribute the coexistence of generations in Korea.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급속하게 고령화되고 있는 나라이다. 오랜 기간 행복하게 사는 것이 개인에게는 바람직할 수 있으나 부양 가족과 젊은 세대에게는 그만큼 부담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노인의 개인적 행복 추구와 고령화로 인한 사회적 갈등 완화를 포괄할 수 있는 미래 지향적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 모델로 ‘성숙된 노화’ 개념을 제안하고, 그 타당성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려는 ‘성숙된 노화’ 모델은 노인들이 다른 가족과 다른 세대와 공존하며, 자신의 강점을 발휘하는데 초점을 둔 노화 모델이다. 본 연구에서는 장기적 연구를 통해 ‘성숙된 노화’ 개념의 유용성을 입증하고, 특히 노인의 행복에 중요한 요소로서 가족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를 근거로 노인의 가족관계 갈등과 관계 욕구를 구체적으로 탐색하고 척도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앞으로 고령 사회에서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는 노인이 행복하고 가족 간의 유대가 증진되고 세대가 공존할 수 있는 사회통합적 교육ㆍ상담 프로그램을 개발ㆍ보급하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노인의 개인적 행복 추구와 고령화로 인한 사회적 갈등 완화를 포괄할 수 있는 미래 지향적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 모델로 ‘성숙된 노화’ 개념을 제안하고, 그 타당성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려는 ‘성숙된 노화’ 모델은 노인들이 다른 가족과 다른 세대와 공존하며, 자신의 강점을 발휘하는데 초점을 둔 노화 모델이다. 성숙한 노화 개념의 유용성 및 한국 노인의 가족관계의 중요성을 확인한 이 같은 결과를 다음 단계의 기초 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2단계 목표는 1단계에서 구성된 성숙된 노화 개념과 구성 요소들을 바탕으로 가족 간의 갈등을 완화시키고 서로의 행복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가족통합적 프로그램과 세대 간의 갈등을 감소시키고 서로의 안녕과 복지를 증진시키는 세대통합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성숙된 노화 모델의 유용성을 확인해보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의 3단계에서는 ‘성숙된 노화’ 모델이 서구에서도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모델인지를 확인하고 성숙된 노화 개념을 토대로 한국 노인을 위한 교육ㆍ상담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이다. 3단계에서는 서구의 성공적 노화 모델과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성숙된 노화 모델의 적응성 비교를 통해 개인주의 문화에 바탕을 둔 성공적 노화의 대안적 모델로서 성숙된 노화 개념의 우월성을 검증해 보고자 한다. 아울러 예비 노년기나 노년기에 있는 사람들에게 갈등을 해결하고 행복한 적응을 준비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육․상담 모델도 구축하고자 한다.
  • 색인어
  • 노인, 고령사회, 성공적 노화, 성숙한 노화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