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노인들의 성공적 노화 모델을 안내하는 모델로 ‘성숙된 노화’ 모델을 제기하여, 그 유용성을 입증하고, 이를 근거로 한국 사회의 통합적 행복을 위한 노인 교육ㆍ상담 모델을 구축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단계별로 다음과 같은 작업을 수행하고자 한다.
(1) 제 1차 ...
한국 노인들의 성공적 노화 모델을 안내하는 모델로 ‘성숙된 노화’ 모델을 제기하여, 그 유용성을 입증하고, 이를 근거로 한국 사회의 통합적 행복을 위한 노인 교육ㆍ상담 모델을 구축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단계별로 다음과 같은 작업을 수행하고자 한다.
(1) 제 1차 년도에는 한국 노인에게 적합한 성숙된 노화 모델을 구성하기 위해 ①서구의 성공적 노화 연구에서 사용한 개념과 측정 도구를 한국 노인에게 적용하는데 따른 적절성 여부에 관한 비판적 고찰하고, ②유학사상에 나타난 성숙 인격 개념에 관한 문헌 개관을 토대로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전통적 가치관과 연계시키는 작업을 시도하며, 그리고 ③성공 은퇴자 사례에 대한 심층 면접 실시 및 면접 자료에 대한 내용 분석을 통해 성숙된 노화 요소를 탐색해 보고자 한다.
(2) 제 2차 년도에는 인간 심리에서 긍정적 힘을 발휘하는 요소들을 찾아 성숙된 노화에 포함될 수 있는 핵심 구성 요소들을 탐색하고자 ①노년기에 감사, 지혜, 삶의 의미 등 긍정적 심리가 갖는 함의를 고찰하고, ②노인들을 대상으로 감사, 지혜, 삶의 의미, 자아통합감 등에 대한 다양한 변인과 긍정적․부정적 적응 지표의 개인차를 측정하고, 그리고 ③측정된 변인들의 관계를 다변량 분석 방법으로 분석(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 군집분석 등)하여 성숙된 노화 요소의 핵심 요소를 발견하고자 한다.
(3) 제 3차 년도에는 성숙된 노화 모델 적용을 위한 기반으로 노년기에 나타나는 다양한 인간관계 속에서의 갈등 양상과 원인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다양한 가족관계와 세대관계를 중심으로, 각 관계에서 발생하는 갈등 유형과 원인 분석을 위해 ①친밀관계에서 노인들이 중요하게 여기는 것과 친밀관계를 위협하는 요인을 탐색하고, ②노인들이 친밀한 관계에서 주로 경험하는 갈등 유형을 분류하고, ③갈등의 기저에 깔려있는 비합리적인 신념이나 기대를 탐색하며, ④노인들이 흔히 사용하고 있는 부적응적인 갈등해결 방식을 확인하고, ⑤세대 간 갈등 유형 및 유발 요소를 탐색할 것이다.
(4) 2단계(2013-2016)에서는 1단계에서 구성된 성숙된 노화의 구성 요소들을 바탕으로 가족관계에서 서로의 행복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가족통합적 프로그램과 세대간 안녕과 복지를 증진시키는 세대통합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할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 3단계(2016-2020)에서는 성숙된 노화 모델이 서구 문화권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 유용한 모델인지를 검증하고 아울러 한국 노인을 위한 교육․상담 모델을 구축할 것이다.
본 연구에는 노년과 관련된 학제간 연구자들로 발달심리 전공자, 임상 및 상담심리 전문가, 노년가족학 전공자, 그리고 성숙된 노화 개념이 서구에도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검증을 맡아 줄 외국 연구자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들은 기초 연구팀, 응용팀 및 국제협력팀으로 분화하여, 자신의 전공에 맞는 역할을 상호 협동적으로 수행할 예정이다. 기초 연구팀은 유교주의와 긍정 심리학적 요소를 바탕으로 성숙된 노화 모델을 구성하고, 성숙된 노화를 구성하는 요소들과 적응 관련 변인들을 측정하여 그 관계를 분석하고, 다양한 가족관계 및 세대 간에 나타나는 갈등 양상과 원인을 진단할 것이다. 응용팀은 갈등 해결과 예방을 위한 가족통합적 프로그램과 세대통합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할 것이며, 노년기를 준비하는 사람들과 노인을 위한 교육․상담 모델을 구성할 예정이다. 그리고 국제협력팀은 서구의 성공적 노화 개념의 장점과 한계를 고찰하고, 한국에서 개발된 성숙된 노화 개념이 서구 노인의 행복을 증진시키는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탐색을 하고자 한다. 또한 세계의 주요 노인 및 노화 발달 연구소와의 정보 교류를 위해 관련 연구소 전문가를 초청해 국제 컨퍼런스를 추진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