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과 사회의 작용을 보는 관점은 시대에 따라서 기능주의 과학사회학, 사회구성주의, 과학기술사회론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기능주의 과학사회학이란, 과학기술을 위한 활동은 여타의 사회활동과 구분이 가능한 객관적인 지식만을 추구하기 때문에 과학이 하 ...
과학기술과 사회의 작용을 보는 관점은 시대에 따라서 기능주의 과학사회학, 사회구성주의, 과학기술사회론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기능주의 과학사회학이란, 과학기술을 위한 활동은 여타의 사회활동과 구분이 가능한 객관적인 지식만을 추구하기 때문에 과학이 하나의 사회제도로 기능할 수 있다는 것이다(김환석, 2006). 반면에 사회구성주의는 과학도 결국은 사회문화의 산물일뿐 보편타당한 진리를 추구할 수만은 없다는 관점이다(윤정로, 2000). 마지막으로 과학기술사회론은 과학과 사회의 관계를 기존 단일 이론이나 단선적인 관계로 보지 않고 다양한 이론과 쌍방향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것이다(김환석, 2006). 결국 사회 속에서 과학기술을 보는 관점은 단순히 기술우위론이나 사회결정론이 아닌 상호작용 속에서 다양한 이론을 접목시켰을 때 그 가치를 정당하게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론적인 발견에도 불구하고 실제 사례나 현상을 통해서 과학기술과 사회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대부분 사회적으로 파급효과가 큰 특정사건(유전자 문제, 의학 기술 등)에서 살펴보았지만 특정한 연구모델을 가지고 분석한 연구사례는 많지 않았다(이윤희과 한미영, 2010).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산업표준 결정과정을 통해서 과학기술과 사회의 작용을 설명해주는 연구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대효과
기술의 사회화과정에 대한 사례연구로서 지배적 디자인의 결정과정에 대한 연구가 활용될 수 있는 부문은 크게 산업표준, 원천기술의 활용, 개방형 혁신이다. 첫째, 기업 간의 경쟁에서 산업표준을 결정하는 행위는 모든 경쟁 활동을 종결짓는 역할을 한다. 만약 한 산업 ...
기술의 사회화과정에 대한 사례연구로서 지배적 디자인의 결정과정에 대한 연구가 활용될 수 있는 부문은 크게 산업표준, 원천기술의 활용, 개방형 혁신이다. 첫째, 기업 간의 경쟁에서 산업표준을 결정하는 행위는 모든 경쟁 활동을 종결짓는 역할을 한다. 만약 한 산업 내에서 표준이 결정된다면 그 이외의 대안은 존재할 수가 없기 때문에 표준으로 선택되지 못한 기업은 철수 또는 다른 기업의 통제 속에 들어가게 된다. 이처럼 최근 산업표준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지배적 디자인 (dominant design)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만약 제도적으로 관련 산업에서 표준을 정하려고 한다면 대부분 지배적 디자인이 표준이 될 것이다. 이 과정에서 지배적 디자인으로 결정된 승자는 전체 시장을 독점하는 반면 아무리 뛰어난 기술을 가지고 있더라도 지배적 디자인으로 결정되지 못한 경쟁자는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 이젠 기업들 스스로도 경쟁에 가장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방법은 지배적 디자인을 선점하는 것이라는 사실을 스스로 인지하기 시작하였다. 둘째, 원천기술의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본 연구는 원천기술이 제품구조에 반영되어 개방형 혁신의 단계에 도달하는 과정을 연구한다. 예를 들어 세계에서 가장 창조적인 제품 디자인을 만드는 미국의 애플사의 핵심부품은 거의 대부분 한국의 IT 기업이 납품하고 있지만 우리는 그런 지배적 디자인 제품을 만들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의 가장 중요한 원인은 원천기술을 개발해도 원천기술의 활용범위나 파장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과거 소니의 VTR 경쟁이나 애플의 PC 경쟁에서처럼 부품 하나하나 최고의 성능을 자랑하지만 실제 이러한 부품을 제품구조에 적용시켜 개방형 혁신의 단계까지 끌어올리는 관리능력이 부족한 것이다. 미국 애플사의 최대 히트상품인 I-phone은 이전에 I-pod라는 MP3 제품을 지속적으로 혁신하면서 나온 제품이다. 각 기능을 모듈화하고 자신의 기술 수준에 따라서 제품구조를 변경하면서 혁신적인 제품을 탄생시킨 것이다. 기술에 대한 수직적 개선능력도 중요하지만 수평적인 능력으로 개방형 혁신의 촉매가 될 수 있도록 제품구조와 원천기술을 일치(fitting)시키는 과정에 대한 통찰력을 본 연구는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개방형 혁신의 성과로 지배적 디자인 선점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실제 지배적 디자인으로 성장하기 위한 기업들의 혁신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산업 내 지배적 디자인으로 산업 표준이 선점되면 다른 산업으로도 파급효과를 일으켜 국가경쟁력에 큰 도움을 얻을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휴대폰이나 평판 TV, 반도체에서 세계적인 기술력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매년 수백억 달러씩 해외에 지출되는 기술 사용료는 원천기술의 부족이라는 측면도 있지만 우리가 가진 우수한 기술을 활용해서 지배적 디자인의 제품을 만들지 못한 것도 원인이다. 이렇듯 지배적 디자인으로 인정받는 것은 산업표준을 차지하는데 반드시 거쳐야 할 과정이며 기업의 경쟁력뿐만 아니라 국가의 미래 경쟁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볼 수 있다. 다만, 본 연구를 통해서 밝히고자 하는 내용들이 상당부분 기술 결정론적으로 볼 수 있다. 초기 원천기술로 무엇을 선택하느냐?에 따라서 제품구조가 결정되면 혁신에 영향을 주고 최종적으로 지배적 디자인 제품의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 결정론적 관점은 기존 기업이 전략적으로 제품구조나 혁신의 방법을 선택해서 그 결과 지배적 디자인으로 결정되었다는 기존 연구들의 관점을 보다 근본적으로 확대한 연구이며 특히 초기 기술 관리의 중요성을 잘 보여주는 연구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요약
본 연구는 기술의 사회화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한국의 디스플레이 산업에 대한 사례개발과 동시에 이를 기반으로 광범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기술의 사회화측면에서 지배적 디자인결정과정을 일반화시키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1차적으로는 LCD-PDP 디스플레이 산 ...
본 연구는 기술의 사회화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한국의 디스플레이 산업에 대한 사례개발과 동시에 이를 기반으로 광범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기술의 사회화측면에서 지배적 디자인결정과정을 일반화시키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1차적으로는 LCD-PDP 디스플레이 산업에 대한 사례연구 중심으로 진행하는 기간과 2차적으로는 개발된 개념모델을 실증적 설문조사의 방법론으로 일반화시키는 기간으로 구성된다. 이는 연구내용의 순차적 진행과 이를 위한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우선 1차적인 목표인 사례연구는 연구모형에 대한 내적 타당성을 높이기 위한 과정이며 기술의사회화과정에 대한 이해 뿐만이 아니라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우수한 사례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토대로 2차적으로는 우리나라 기업 중 세계시장에서 지배적 디자인 위치에 있는 업체들을 샘플로 조사하여 개념모델을 일반화시키는 과정을 진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중요한 고려사항은 사회과학의 관점에서 원천기술과 제품디자인이라는 주제를 연구해야 하기 때문에 기술전문가가 아닌 본 연구진이 적어도 일정수준의 물리적 기술에 대한 지식을 습득해야 한다. 따라서 연구초기에는 이러한 기술습득을 위한 전문적인 교육목적의 세미나와 워크샵이 필요하고 이를 토대로 사례연구과정에서 인터뷰나 직접관찰의 수준을 높여야 한다. 1차 연구주제인 사례연구의 최종적인 목표는 Christensen이 수행했던 디스크드라이브 시장에 대한 사례연구수준이다. 이론적인 문제점들의 지적에도 불구하고 기술혁신에서 가장 모범적인 연구로 언급되는 Christensen의 디스크드라이브 사례연구는 먼저 연구 프레임을 완성한 후 그의 과거 실물경험과 기업들로부터 자발적으로 수거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증분석과 동시에 논리적인 설명을 추가하였다. 그는 이러한 연구를 위해서 5년 이상 집중적으로 연구하였으며 연구결과를 토대로 필요한 개념들을 발굴, 정리한 뒤 최종적으로 보다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시장에서 선두기업이 실패하는 경우로 사례를 확장하고 일반화하였다. 특히 일반적인 사례연구들이 기업전략과 경영성과간의 인과관계를 설명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했다면, Christensen은 기술의 성능개선정도를 가능한 한 검증 가능한 수치들을 통해서 보여주면서 시장경쟁과정을 설명하였다. 본 연구가 지향하는 연구는 Christensen처럼 탐색적인 단일사례 분석이지만, 이를 개념모델화 과정을 통해서 일반화시켜 시사점을 찾아내고자 한다.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한국은 거의 모든 제품의 지배적 디자인 위치에 있으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세계적인 조사기관(디스플레이서치, 디스플레이뱅크)과 협회, 국제기구 등이 존재하고 있어 기술정보 습득도 용이하다. 그러나 충분한 연구기간을 통해서 이러한 데이터를 총괄적으로 정리하고 모델을 도입하여 전 세계 시장에서 우리나라 기업의 성과에 부합하는 우수한 경영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한글키워드
기술사회학,기술의 특유성,지배적 디자인,산업표준,제품구조
영문키워드
Industry Standard,Product Architecutre,Dominant design,Socio-technology,Technology characteristics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본 연구의 목적은 기술이 사회로 확산되는 현상을 산업, 기업, 기술단위의 기업경쟁과정을 지배적 디자인과 와해성 혁신과정을 통해서 이해하는 것이었다. 상기의 목표를 가장 잘 반영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산업의 기술특성에 관한 연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디스플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술이 사회로 확산되는 현상을 산업, 기업, 기술단위의 기업경쟁과정을 지배적 디자인과 와해성 혁신과정을 통해서 이해하는 것이었다. 상기의 목표를 가장 잘 반영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산업의 기술특성에 관한 연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LCD기술과 PDP기술의 경쟁은 기술이 경쟁하고 사회로 확산되는 과정을 잘 보여준다. 이 연구는 지배적 디자인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특성요인들을 새로이 제시하고, 이 개념들에 관한 이론적인 논거를 구축하는데 있다. 지배적 디자인의 개념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일반적으로 기술외적인 요인들을 중심으로 경영전략적인 관점을 취한 반면, 본 연구는 기술 그 자체의 고유한 특성에 초점을 맞추고 이러한 특성에 따라 지배적 디자인에 관한 경쟁과정의 동태성이 달라짐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진이 제시하는 기술특성 요인은 기술의 시장요구적합성, 기업 간 기술협력가능성, 기술의 응용가능성의 3가지로서, 제시된 개념들의 실증적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시장에서의 LCD와 PDP기술경쟁 사례를 개발하여 제시된 기술특성요인들이 LCD와 PDP기술 간의 지배적 디자인을 위한 경쟁과정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기업이 초기 기술선택과정에서 택한 기술의 특성이 제품사양이나 성능을 통해 진화하는 시장의 요구에 보다 적합할수록 해당 기술을 이용한 제품이 지배적 디자인으로 선정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술특성이 반영되는 제품구조와 제조공정에서 기업 간 기술적 협력 가능성이 높을수록 제품혁신이 활성화되어 지배적 디자인으로 선정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초기에 선택된 기술이 응용될 수 있는 제품군이 다양할수록 규모의 경제와 위험분산과정을 통해 지배적 디자인 결정과정에 유리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술의 고유 특성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전략을 구축하고 실행한다면 기술 확산을 자극하는 것뿐 만 아니라 지배적 디자인 결정과정에 유리한 위치를 점할 수 있음을 제시했으며, 자료 부족으로 인해 실증적 연구가 미진한 지배적 디자인의 대한 연구를 독려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론적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영문
The main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expand understanding of a dynamic process in a technology competition within a unit of industries, companies, and technologies based on a notion of dominant design and destructive technology. Following research r ...
The main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expand understanding of a dynamic process in a technology competition within a unit of industries, companies, and technologies based on a notion of dominant design and destructive technology. Following research results about the competition of LCD and PDP technology in display indystry show our study purpose clearly. The study about display technolgy shows the process of technology competition and its diffution toward our society. In this study, we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echnologies that underlie and influence firms' competition for dominant design, and establish theoretical constructs that are based on the found characteristics. While the past research on firms' competition for dominant design took strategic perspectives other than technology per se, we focus on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technology itself that drive the dynamics of the competition for dominant design. We suggest three technology-based constructs: fitness for market requirement, possibility of inter-firm collaboration on product/process innovations, and applicability in a range of product categories. In order to examine the empirical validity of the three constructs, we develope a case on LCD and PDP technologies in a display market and analyze what role the three constructs have played and how they have influenced the competition for dominant design in the display industry. Our results indicate that a technology has a better chance of being selected as a dominant design if the technology exhibits better fitness for evolving market requirements in terms of product features and product performance, if it requires a product architecture and a related manufacturing process that are more open to firms' collaboration in ensuing innovations, and if it is applicable to a wider range of product categories so that it yields more benefits in terms of scale economy and risk pooling. Our results also indicate that a firm can not only better stimulate diffusion of its technology but also has better position in the competition for dominant design if it executes a business strategy that is firmly rooted in deep understanding of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the technology it adopted. We also show that our approach in the current paper, development of theoretical constructs through case analyses, can be a useful methodological alternative that helps overcome the difficulty of getting empirical data in research on dominant design.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본 연구는 “한국 사회 속에서 기술의 바람직한 성장모델을 제시 한다”는 장기 목표 하에 3단계의 연구과정을 고안하였으며, 상기의 장기 목표를 토대로 하여 소형단계에서는 ‘지배적 디자인 선정과정에서 제품구조와 기술의 특성이 기술의 사회화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주 ...
본 연구는 “한국 사회 속에서 기술의 바람직한 성장모델을 제시 한다”는 장기 목표 하에 3단계의 연구과정을 고안하였으며, 상기의 장기 목표를 토대로 하여 소형단계에서는 ‘지배적 디자인 선정과정에서 제품구조와 기술의 특성이 기술의 사회화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주제를 설정하여, 기업이 출시한 제품이나, 제품에 활용된 기술이 시장에서 표준이 되는 과정을 사회적 현상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여기서 사용된 기술의 사회화라는 용어에서 지칭하는 ‘사회화’라는 의미 속에는 특정한 현상, 사물 혹은 관념이 ‘보편화’ 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기술의 사회화’라는 의미에는 본 연구에서 도입한 관점인 지배적 기술의 탄생과정과 유사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즉 ‘기술의 사회화’는 특정한 영역에서 한 기술이 수많은 경쟁을 통하여 지배적 디자인이 되고 확산하는 과정으로 간주할 수 있다. 기술의 사회화는「기술의 탄생 → 타 기술과의 경쟁 과정 → 적용과 확산을 통한 사회화」라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거치게 된다. 극심한 경쟁에서 일단 지배적 디자인으로 선정되면 그 다음부터는 자연스럽게 확산되어 시장을 포함한 사회에 ‘보편화’된다. 따라서 기술의 사회화 현상을 이해하기 위하여 지배적 디자인 개념을 도입한 연구가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본 연구과제에서 설정한 연구목표들을 중심으로 수행된 연구결과 및 수집한 DB는 사회를 이루고 있는 대기업과 중소기업들 간에 기술이라는 지식과 정보의 상호 교환을 원활하게 하는데 활용하고자 한다. 일례로 정부기관 및 연구소의 대중소기업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한 ...
본 연구과제에서 설정한 연구목표들을 중심으로 수행된 연구결과 및 수집한 DB는 사회를 이루고 있는 대기업과 중소기업들 간에 기술이라는 지식과 정보의 상호 교환을 원활하게 하는데 활용하고자 한다. 일례로 정부기관 및 연구소의 대중소기업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수립 등에 본 연구자료들이 활용될 수 있으며, 산학 연계 대학원과정에 관련 세미나를 신규 개설하거나 강의 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다. 좀 더 확장하여 건강한 기업생태계를 조성하거나 대중소기업 간 거래관계에서 공정한 거래관계 성립 및 상생을 통한 장기적인 동반 성장 방안 마련에도 활용이 가능하다. 이 밖에 본 연구 프레임워크 범위 안에서 이루어진 연구들은 기업이 자사가 보유한 기술력을 기반으로 제품을 생산하고 시장에 출시하여 사회의 구성원인 소비자들에게 확산시키는 과정에서 기술이 가진 독특한 특성을 이해하여 생산전략, 기술확보전략, 마케팅전략에도 활용할 수가 있을 것이다.
색인어
기술의 사회화, 지배적 디자인, 와해성 혁신, 개방형 혁신, 기술확산, 기술혁신, 대기업과 중소기업, 기술과 상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