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노인의 정보화경험이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에 미치는 영향 : 노인정보화정책의 제고를 중심으로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_학술연구교수& #40;인문사회& #41;
연구과제번호 2011-358-B00044
선정년도 2011 년
연구기간 3 년 (2011년 07월 01일 ~ 2014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이복자
연구수행기관 인하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에서는 정보화 사회에서 노인의 정보화경험이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PC활용 능력이 있는 전국의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효과성을 밝혀보고자 한다. 즉 노인이 인터넷활용을 통해 정보화에 동참한 이후 일상생활 속에서 사회적 관계망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측정하여, 노인의 사회참여를 촉진시키기 위한 정보화정책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는 데 본 논문의 목적이 있다.
  • 기대효과
  • 정보화 사회에서 인터넷활용이 노인의 사회관계망 형성에 어떤 작용을 하는지 검증하여 지방자치단체의 정보화정책 제고에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지역의 특성과 개인의 환경적 요소를 반영한 지역정보화정책이 한층 발전한다는 것은 한국형 노인정보화정책의 수립을 모색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가 형성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따라서 고령화․정보화 사회에서 당당히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노년의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사회적 네트워크가 확장하는 초석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연구요약
  • 《지역의 규모별 유형》,《지역의 기능별 유형》을 중심으로 분류된 지역을 대상으로 실증적 연구를 수행하여 각 지역별 인터넷활용의 특성과 네트워크 의 특성을 파악한다. 또한 지역유형의 특성에 따라서 인터넷활용과 네트워크의 확장 정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분석 한 후, 노인의 인터넷활용과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의 상관관계를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 한글키워드
  • 노인의 사회참여를 촉진시키기 위한 정보화정책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는 데 본 논문의 목적이 있다.,본 연구에서는 정보화 사회에서 노인의 정보화경험이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PC활용 능력이 있는 전국의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효과성을 밝혀보고자 한다. 즉 노인이 인터넷활용을 통해 정보화에 동참한 이후 일상생활 속에서 사회적 관계망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측정하여
  • 영문키워드
  • This study examined the elderly who have the information experience and the ability of the PC literacy over age 60 and found out how the information experience of the elderly would affect the formation of social network. In other words,we had studied the elderly who practiced the ability of the information and analyzed how the information experience of the elderly would change the social network in their life.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1. 본 연구는 지역의 유형을 특성별로 분리하여, 유형별 노인정보화 수준이 노인의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증연구 결과 첫째, 지역의 유형별 특성에 따라서 노인의 정보화 수준 및 사회적 네트워크는 차이가 있었다. 둘째, 지역의 유형별 특성에 따른 노인의 정보화 수준은 사회적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유형별 노인의 인구사회경제적인 변수는 노인의 정보화 수준 및 사회적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지자체별 ‘60세 이상 고령노인’을 위한 정보화사업을 특성화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도시의 규모․기능적 특성에 따라서 노인의 정보활용 기회가 좌우되는 단편적인 정책이 아니라 각 지자체를 중심으로 노인의 정보화 제고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정례화해야 한다.
    2. 본 연구의 목적은 과연 지역의 정보화정책 수준은 노인의 정보화수준과 어떠한 상관성이 있는지 고찰해 보는 데에 있다. 이와 같은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지역의 <규모별>, <기능별> 유형을 중심으로 분류된 지역에서 실행되고 있는 ‘지역정보화정책의 동향과 정보화사업’, 그리고 해당 지역의 ‘노인정보화수준’을 비교․분석해 보았다. 선행연구를 통하여 유형별 각 지역의 특성은 노인의 정보화수준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한 바 있는데, 지역의 정보화정책수준 역시 노인의 정보화수준과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지자체의 정책방향에 따라서 지역정보화정책은 물론 노인의 정보화수준에 차이가 있다는 논의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지역정보화사업의 방향과 노인정보화정책의 쟁점을 제시하였다.
    3. 국가의 정보화는, 새로운 정부가 들어설 때마다 핵심과제로 포함되며 신과제 발굴이 관련부처의 핵심 업무로 부과될 만큼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지만 고령화 사회에 대비한 정보화정책의 추진에는 아직 한계가 있다.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노인의 사회통합, 능력개발, 여가를 통한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는 더욱 중요해졌다. 그러나 ICT와 상호작용하는 정보사회에서 정보화가 제외된 노인의 복지정책은 무의미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국의 정보화정책 및 한국의 정보화정책 그리고 노인정보화정책을 일괄하여 살펴보고 궁극적으로는 고령화․정보사회에서 고령층의 정보화 수준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 영문
  • 1.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a informationization level of the elderly affects the form of social network according to each regional character. As a result of empirical study, there ars characters as follows.
    Firstly,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informationization level of the elderly and social network in accordance with each regional character.
    Secondly, the informationization level of the elderly affects the form of social network in accordance with each regional character.
    Thirdly, a socio-economic variable of the elderly affects the form of social network in accordance with each regional character.
    Therefore, we need to make specialized strategies of information business for the elderly over 60 through each local government. Also, we should provide the elderly not with an fragmentarily educational opportunity for information literacy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city and the functional character of each city but an educational program to improve the awareness of information systematically.
    2.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interconnected relationships between a policy of regional information and an information level for the elderly. In order to process the ongoing research, the trends of information policy and information-oriented business in regional types, especially the information level for the elderly,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each classified region focusing on the regional type of scale and function.
    Throughout the preceding research, each characteristic of the classified region affects the information level for the elderly. Also there are interconnected relationships between the information level for the elderly and the level of information policy in regional types.
    Therefore, according to the policy direction of local government, the study finds out an effective direction of regional information and an issue about information for elderly based on the distinction between the regional policy of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level for the elderly .
    3. The National IT Plan is formulated every new government, whose core tasks of related department about new projects are gradually developed. However, there is limit to Information policies for the elderly. As facing a rapidly aging society, we also need to study another area of social unification, man-power development and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In this situation, It is meaningless that welfare policies for the elderly are excluded within information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made the comprehensive discussion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Information policies for the elderly and then sought for solution to improve information level for the elderl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국가의 정보화는, 새로운 정부가 들어설 때마다 핵심과제로 포함되며 신과제 발굴이 관련부처의 핵심 업무로 부과될 만큼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지만 고령화 사회에 대비한 정보화정책의 추진에는 아직 한계가 있다.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노인의 사회통합, 능력개발, 여가를 통한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는 더욱 중요해졌다. 그러나 ICT와 상호작용하는 정보사회에서 정보화가 제외된 노인의 복지정책은 무의미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국의 정보화정책 및 한국의 정보화정책 그리고 노인정보화정책을 일괄하여 살펴보고 궁극적으로는 고령화․정보사회에서 고령층의 정보화 수준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첫째,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정보화 제고를 단순히 기술적인 측면이 아닌 사람과 사람 간의 관계인 ‘사회적 네트워크’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에 고령화 사회에서 노년의 삶에 관한 연구를 진행할 경우, 어느 분야이든지 비경제적 자본의 요인들을 간과하지 않고 포함해야 할 당위성을 제공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정보화경험으로 인해 형성되는 사회적 네트워크를 노인 개인의 환경적 요인으로 설명하려는 입장과, 현대 정보화 사회를 살아가는 노인을 둘러싼 사회구조로써 설명하려는 양측 입장을 취했다는 점에서 향후 노인복지 분야에서 동태적인 측면과 인지적 측면을 아우르는 연구가 활성화 될 수 있는 초석이 마련된다는 점이다.
    셋째, 본 연구는 노인의 정보화수준을 제고하기 위해서 지역정보화사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므로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지역의 유형구분’에 대한 연구를 선행하였다. 따라서 향후, 지방자치단체에서 노인의 정보화정책을 수립할 경우 본 논문의 데이터는 효율적인 노인정보화정책을 수행할 수 있는 기본적인 데이터베이스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고령화 사회, 국가정보화정책, 노인정보화정책, 노인정보화수준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