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다국적기업 본국의 제도적 환경이 기업 경쟁력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1-327-B00294
선정년도 2011 년
연구기간 1 년 (2011년 05월 01일 ~ 2012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이병희
연구수행기관 한양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Over the past 30 years, research 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hereafter CSR) has focused on examining the na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SR and corporate financial performance (hereafter CFP). By doing so, scholars have tried to answer the question of whether corporations should engage in CSR. Extensive empirical studies on this relationship have been carried out, reporting significantly positive (Parket and Elibirt, 1975; Waddock and Graves, 1997; Carter et al, 2000; Ruf et al, 2001; Schnietz and Epstein, 2005; He et al, 2007), negative (Griffin and Mahon, 1997; Boyle et al, 1997; Brammer et al, 2006), non-significant (Alexander and Buchholz, 1978; Guerard, 1997; Van de Velde et al, 2005) and mixed or nonlinear (Barnett and Salomon, 2006; Brammer and Millington, 2008) relationships. Several articles reviewed the CSR and CFP relationship research in recent years. Margolis and Walsh (2003) found that among 127 empirical studies that they reviewed, 55% pointed to a positive CSR and CFP relationship; 6% found a negative relationship; 24 % reported non-significant relationships, while 18% found a mixed set of findings. Orlizaky, Schmidt and Rynes (2003) conducted a meta-analysis of 52 CSR and CFP studies from 1970 to 1997 and confirmed a universally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CSR and CFP across industries and across study contexts. Although many scholars still consider the results inconclusive, empirical studies and reviews in the past 30 years seem to point to a positive link between CSR and CFP. Moreover, despite the lack of conclusive evidence that proves "CSR pays", an increasing number of corporations integrate CSR into their core business. Whether corporations should engage in CSR seems to be on its way to becoming a somewhat outdated question.
    In contrast to the fact that most CSR research have focused on investigating the CSR and CFP connection, a group of studies pointed out that the literature had badly ignored the non-economic factors that might affect CSR (e.g., Campbell, 2007). Rather than continuing to ask the question of whether corporations should adopt CSR, scholars argued that it is time to find out why corporations would engage in CSR behavior and how society can make institutional changes to promote CSR.
    As attention to the impact of institutional factors is urgently called for,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impact of an institutional environment on CSR behavior in a global context, focusing especially on the role of CSR-related institutional pressures of home country of multinational corporations. By doing so this study will provide clues to the questions as to "why would corporations engage in CSR?" and "how can society make institutional changes to promote CSR?"
    Specifically,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1) explore and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competitiveness and CSR to fill the empirical void in corporate competitiveness and CSR link research; 2)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institutional condi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competitiveness and CSR, focusing especially on the institutional pressures of home country of multinational corporations.
  • 기대효과
  • The results in this study will demonstr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of home country of multinational corporations on the corporate competitiveness - CSR relationship. If the hypotheses are found significant, governments and societies that aim to constrain socially irresponsible corporate behavior and promote CSR may find it useful to create good institutional conditions that both force and enable CSR behavior. Particularly, methods like establishing formal institutions such as state regulations, rules and strengthening enforcement capabilities of these formal institutions will prove to be effective and efficient in promoting CSR. Thus governments and policy makers will have to perform their duties faithfully to create adequate formal institutions. Informal institutions such as social values and normative calls for CSR will also have substantial influence in shaping corporation's social behavior. It will be of great help to promote the idea of CSR to the society, including both key stakeholders and the general public. Finally, since NGOs, social movement organizations and the pres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monitoring and forcing corporations to comply with both formal and informal institutions, press freedom and civil liberties are to be implicated.
    This study will aid in filling the void in the empirical research of the corporate competitiveness - CSR link. Also, it will contribute to the empirical research of CSR from the institutional perspective by making one of the first attempts to empirically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institutional environ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irms' economic conditions and CSR. Moreover, the study will not only answer the first question as to "why would corporations engage in CSR?" by demonstrating a significant impact of institutional conditions on CSR. but also answer the second question as to "how can society make institutional changes to promote CSR?" by implying that the governments should establish CSR relevant formal institutions and strengthen enforcement capabilities of those institutions while societies should reinforce normative calls for CSR and strengthen the power to monitor and enforce CSR behavior. Finally, the final results would be valuable resources for developing instructional materials on the subjects of corporate ethics and CSR in international business classes and promoting the growing importance of socially responsible behavior to Korean multinational corporations as they expand their business boundaries globally.
  • 연구요약
  • Responding to researchers' calls for more attention to the institutional mechanisms that may influenc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hereafter CSR) behavior and the society's responsibility in keeping corporations accountable, this study intends to conduct an empirical test that examines the effects of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of home country of multinational corporations on their competitiveness and CSR.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clues to two intriguing questions raised by existing CSR literature as future research directions: "Why would corporations engage in CSR?" and "How can society make institutional changes to promote CSR?"
    Based on the institutional theory, this study builds a model that tests whether multinational corporations' competiveness has an inverted U-shaped relationship with CSR and also whether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moderates the curvilinear relationship of competiveness and CSR through a quadratic-by-linear interaction with competitiveness. The moderating effects are postulated as follows: when institutional pressures of home country are low, the competitiveness and CSR relationship is an inverted U-shaped one. The downward curvilinearity diminishes as institutional pressures of home country increase linearly; when institutional pressures of home country reach a high level, the competitiveness and CSR relationship changes into a positive linear one. Further investigations will be conducted into the respective moderating effects of three elements of institutional pressures of home country ? government pressure, corporate pressure and social pressure.
    The results are expected to answer the first question of "why would corporations engage in CSR?" from the institutional perspective by arguing that institutional pressures corporations encounter force and induce them to engage in CSR for the purpose of avoiding social punishments as well as reaping competitive benefits. The test results will answer the second question of "how can society make institutional changes to promote CSR?" by suggesting that the government should establish CSR-relevant formal institutions and strengthen the enforcement capabilities of these formal institutions, as well as that the society, competitors, suppliers, buyers, and other stakeholders should reinforce normative calls for CSR and the power of monitoring corporate behavior and enforcing CSR. In conclusion, this study purports to make a first attempt to empirically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competitiveness and CSR and examine the impact of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of home country on this relationship. After completing methodologically rigorous, but managerially implicative tests, this study will be able to aid in filling the void in the empirical research of the corporate competitiveness and CSR link and thus contribute to the CSR research literature by testing a model based on the institutional theory.
  • 한글키워드
  • 다국적기업의 경쟁력,기업의 사회적 책임,제도적 환경
  • 영문키워드
  • institutional environment,multinational corporations' competitiveness,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다국적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경영성과와의 관계와 본국의 제도적 압력이 이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연구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도적 접근법을 기반으로 하여 가설을 도출하였다. 먼저 사회적 책임활동의 3가지 하위요인 – 전략적 의도, 기업참여, 운영성과 - 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 다음, 본국의 제도적 압력을 나타내는 책임 있는 경쟁력 지수(responsibility competitiveness index)를 사용하여 이들의 하위요인인 Policy drivers, Business action, Social enablers의 조절 효과를 검정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국적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은 경영성과에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다국적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활발할수록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둘째, 기업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와 이해관계자의 기대에 기초하고, 국제사회에서 인정되는 우수 실천사례 표준에 부합될 수 있는 기업 CSR 전략을 수립을 나타내는 전략적 의도는 경영성과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CSR 추진방안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이행함에 있어서 이해관계자를 파악하고 참여시키는 지, 타 기업 혹은 NGO와 파트너십을 통해 CSR 활동에 얼마나 참여하는지를 측정하는 기업의 참여는 경영성과에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기업이 환경•사회•경제에 참여하여 그 영향력을 잘 관리하는 기업 참여가 높을수록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적 기능 단위, 관리자 및 임직원을 통해 전사적으로 CSR 전략 및 방침이 효과적으로 실행돠는 지를 측정한 운영 성과는 경영 성과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본 연구의 핵심인 본국의 제도적 압력이 다국적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경영성과에 정(+)의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국의 제도적 압력의 세 가지 하위 요인인 Policy drivers, Business action, Social enablers 역시 모두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국의 제도적 압력을 통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더 이끌어 낼 수 있다고 분석할 수 있다.
     과거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경영성과, 기업명성 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시장 중심적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비시장 중심적 접근인 제도적 접근을 통한 연구는 부족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는 본국의 제도적 압력을 통한 CSR과 경영성과의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가 시도한 본국의 제도적 압력이라는 변수의 조절효과 발견은 주요 변수간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을 추가로 발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다국적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기업의 경영성과간의 관계에 있어 본국의 제도적 압력이 조절효과를 보이는 만큼,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이끌어 내기 위한 본국에서의 체계적인 제도마련을 모색하는데 본 연구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영문
  • This study purports to analyze regulating effects of the institutional pressure of the home country in a relation where social responsibility of multi-national corporations affects firm performance.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we developed hypotheses based on the institutional approach. First, we examined the effects of three sub-elements of social responsibility on business performance. Next, we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institutional pressure in the home country with the Responsibility Competitiveness Index, composed of policy drivers, business action, and social enablers.
    The results of our study are as follows:
    First, business performance of MNCs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align with their implementation of social responsibility As MNCs got engaged in their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y, their business performance got better.
    Second, strategic intent assessing the establishment of CSR strategy that is recognized by the global society and based on interests groups and goals of a corporation ha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business performance.
    Third, a firm’s engagement indicating the degree of how much a firm participates in CSR activities with NGO partnership and other corporations or the degree of how much a firm understands and involves interests groups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their CSR plan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business performance. As a firm’s engagement showing how well a firm manages its influences on environment, society, and economy is proportion to business performance.
    Fourth, operational performance indicating to what extent CSR strategy and guideline are effectively implemented at the corporate level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business performance.
    Fifth, institutional pressures in home country had moderating effects on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MNCs and their business performance. Such the three sub-elements of institutional pressures as policy drivers, business action, and social enablers had significant moderating influences. We conclude that the institutional pressures from a home country can get a firm engaged in more socially responsible activities.
    As one of the very few studies adopting the institutional perspective, this study differentiates itself well from previous research by finding a significant moderating influence of the institutional pressures of a home country on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SR and business performance.
    The empirical results cast new insights in developing a systematic mechanism that may nurture an institutional environment where firms are engaged in socially responsible activities further, along with diverse stakeholders and NGOs, and achieve higher performance simultaneously in a strategic approach.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다국적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경영성과와의 관계와 본국의 제도적 압력이 이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연구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도적 접근법을 기반으로 하여 가설을 도출하였다. 먼저 사회적 책임활동의 3가지 하위요인 – 전략적 의도, 기업참여, 운영성과 - 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 다음, 본국의 제도적 압력을 나타내는 책임 있는 경쟁력 지수(responsibility competitiveness index)를 사용하여 이들의 하위요인인 Policy drivers, Business action, Social enablers의 조절 효과를 검정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국적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은 경영성과에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다국적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활발할수록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둘째, 기업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와 이해관계자의 기대에 기초하고, 국제사회에서 인정되는 우수 실천사례 표준에 부합될 수 있는 기업 CSR 전략을 수립을 나타내는 전략적 의도는 경영성과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CSR 추진방안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이행함에 있어서 이해관계자를 파악하고 참여시키는 지, 타 기업 혹은 NGO와 파트너십을 통해 CSR 활동에 얼마나 참여하는지를 측정하는 기업의 참여는 경영성과에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기업이 환경•사회•경제에 참여하여 그 영향력을 잘 관리하는 기업 참여가 높을수록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적 기능 단위, 관리자 및 임직원을 통해 전사적으로 CSR 전략 및 방침이 효과적으로 실행돠는 지를 측정한 운영 성과는 경영 성과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본 연구의 핵심인 본국의 제도적 압력이 다국적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경영성과에 정(+)의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국의 제도적 압력의 세 가지 하위 요인인 Policy drivers, Business action, Social enablers 역시 모두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국의 제도적 압력을 통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더 이끌어 낼 수 있다고 분석할 수 있다.
     과거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경영성과, 기업명성 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시장 중심적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비시장 중심적 접근인 제도적 접근을 통한 연구는 부족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는 본국의 제도적 압력을 통한 CSR과 경영성과의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가 시도한 본국의 제도적 압력이라는 변수의 조절효과 발견은 주요 변수간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을 추가로 발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다국적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기업의 경영성과간의 관계에 있어 본국의 제도적 압력이 조절효과를 보이는 만큼,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이끌어 내기 위한 본국에서의 체계적인 제도마련을 모색하는데 본 연구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다국적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본국의 제도적 압력이 어떠한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분석하는데 의의가 있는 연구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경영 성과 간 관계에 보다 엄밀히 분석할 수 있는 분석방법이 미흡했다는 한계점이 있다. 기존의 실증연구 고찰에서도 언급된 것과 같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경영 성과 간에는 상호간 영향관계가 모두 있는데, 이는 변수간 인과관계가 명확하지 않다는 것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가 시도한 본국의 제도적 압력이라는 조절변수의 조절효과 발견은 상호간 영향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세부적인 조건을 추가로 발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왜냐하면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과 경영성과 간 관계는 시장중심적 방법으로 접근하였고, 비시장적 접근법으로 접근한 연구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이를 요약한 본 논문의 한계점과 향후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표본에 대한 한계점이다. 현재 CSR을 평가하는 글로벌 스탠더드의 부재이다. 다우존스 지속가능 경영 지수나 FTSE4GOOD과 같은 평가지수는 있지만, 부분적으로 공개할 뿐 아니라 개인은 열람할 수 없기 때문에 개인의 연구에는 어려움이 있다. 연구에 사용된 표본은 Fortune에서 발표한 글로벌 100대 기업을 대상으로 평가한 CSR 데이터이다. 글로벌 100대 기업을 평가하는 데는 재무적 성과가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충분한 표본이 되지 않는다. 보다 충분한 표본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스탠더드로서의 광범위한 CSR을 측정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자료가 2007년을 기준으로 한 해만 측정했다는 것이다. 수집한 데이터의 연속성이 없어 2007년 자료만을 사용하게 되었다. 후속연구를 통해 다국적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연속성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조절변수로 쓰인 본국의 제도적 압력이다. 다국적 기업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본국의 제도적 압력 이외에, 다국적 기업의 해외 진출국에 대한 제도적 압력은 조사되지 않았다. 진출국에 대한 제도적 압력을 분없으므로 본국이라는 제한을 두었기 때문에 한계점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연구 결과를 실무적으로 다음과 같이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글로벌화된 기업환경에서 CSR을 활용하여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창출해야 하는 경영자들이 성공적인 CSR 활용 메커니즘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효과적인 CSR 전략수립과 활용을 통해 기업의 경영성과 향상을 위해서는 본사에서의 CSR 전략뿐만 아니라 본국의 제도적 환경을 이해하고 적응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본국의 제도적 환경이 기업의 CSR활동과 성과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도록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협력관계 구축이 필요하다.
  • 색인어
  • 사회적 책임, 다국적기업, 제도적 환경, 성과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