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 최근 글로벌 시장과 급격한 산업 패러다임, 사회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음
- 이러한 변화는 최근 산업의 문화화, 소프트화 현상으로 인해 더욱 부각되고 있음
- 이는 산업의 전반적인 요소들이 소프트화되어지는 창의적 문화생산(culturalproduction)으로의 전환을 의 ...
ㅇ 최근 글로벌 시장과 급격한 산업 패러다임, 사회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음
- 이러한 변화는 최근 산업의 문화화, 소프트화 현상으로 인해 더욱 부각되고 있음
- 이는 산업의 전반적인 요소들이 소프트화되어지는 창의적 문화생산(culturalproduction)으로의 전환을 의미
- 미래학자들은 산업발전의 축이 제조업생산에서 지식기반 서비스산업으로, 더 나아가 최근에는 문화와 콘텐츠가 기반이 되는 콘텐츠기반 경제(content based economy)와 체험경제(experience economy)의 시대로 옮겨가고 있다고 역설 차세대성장산업국제회의, 2003, 7.24. Scott Ross, Digital Domain CEO ; Pine & Gilmore, 2001
- 이때는 감성적 문화를 기반으로 고객을 위한 개인 맞춤형, 체화된 기술들이 중요해질 것이라는 사실이 중요함(Moschella, 1997).
ㅇ 이는 ‘창의성’과 ‘문화’가 국가경제 및 사회, 지역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고, 앞으로 그런 경향이 더욱 커질 것이라는 인식에 바탕을 두고 있음
ㅇ 또한, 최근, TED 컨퍼런스 등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새로운 문화 기반 지식전달 마당의 다양화 따라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지식 및 문화향유의 욕구가 매우 커짐
ㅇ 콘텐츠의 지역단위 발전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글로벌시대 콘텐츠를 중심으로 지역발전을 위한 통합적 관점에서 학문적 논의를 실제적으로 정리하고 Glocalization의 활용을 통한 실제적인 사회적 자원화 전략을 구체적으로 분석한 사례는 많지 많음
- 세대간의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의 공유라는 측면에서도, 아날로그를 기반으로 한 사회적 자원의 공유가 디지털 자원화하여, 구-신세대간의 교류를 활성화시키는 등의 의미있는 지역기반 연구는 시급하나, 부재한 상황임
ㅇ 이때, 문화와 콘텐츠, 지역과 사회적 자원화, 대학의 역할 등 통합적 관점의 콘텐츠에 대한 논의는 매우 다양하고, 단기간에 집중적 논의가 힘들어, 집단연구가 필요
- 글로컬라이제이션 관련 지역의 콘텐츠는 창조적인 사회적자원화와 관련, 각 지역의 독특한 문화와 역사, 예술적 특성에 근거, 장기적인 관찰을 토대로 보편적인 스토리로 재가공을 해나가는 다양한 관점의 연구가 필요하기 때문에 풍부한 경험을 갖고 있는 지역과 콘텐츠 전문가가 참여하여 집단연구를 해야 유의미한 결과 기대
ㅇ 이에 본 연구는 실용적이면서 유의미한 사회적 자원화의 현실적 전략을 구상하고, 학문적 기반을 공고히 다져가는 차원에서 장기적으로 지역단위 구체적인 연구를 시도
- 글로컬라이제이션을 위한 지역콘텐츠의 사회적자원화와 대학의 역할이라는 측면에서,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실용적인 입장에서 콘텐츠와 관련된 사회적 자원화를 위한 통합적 관점을 이론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지역에서의 대학의 역할과 과제를 제시
- 특히, 국내의 사례와 미국, 일본, 유럽 등 주요 선진국들의 사례를 비교하고, 가능한 협력 연구를 통해서 바람직한 사회적 자원화의 모델을 마련하고, 함의점을 실천 가능한 프로그램으로까지 완성하는 것을 목표로 함
ㅇ 이러한 주제는 2011년도 한국사회과학연구지원(SSK)사업의 전략 아젠다 중 글로컬라이제이션과 지역발전(locality)이라는 주제에 매우 부합함
- 콘텐츠를 중심으로 지역과 도시의 네트워크, 지역의 문화와 역사성에 기인한 스토리텔링 등 사회적 자원화의 추적 연구, 이에 대한 실천적 사회발전 프로그램 실행 주체로서의 대학의 역할에 대해 집중함으로써, 글로벌 시대 지역의 발전(locality)의 글로벌 협력의 매개체 역할 연구 시행
- 단기적으로는 국내의 지역단위 콘텐츠 기반 사회적 자원화의 연구에서 출발하여, 미국, 일본 등 기협력대학 및 도시와의 협력연구를 통하여 비교모델을 만들고, 중장기적으로는 유럽, 중동 등 미협력 국가 및 도시에의 적용 모델 연구까지 확장하여, 사회적 자원화의 적용가능성을 연구
- 궁극적으로는 전문 연구진의 연구 참여와 함께, 대학원 석.박사과정생이 참여하여, 장기 연구를 통한 유의한 결과를 단계별로 산출함과 동시에, 교류협력의 성과를 정성적으로 도출하여야 하는 작업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