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고령층 의사소통 능력 평가 프로토콜: 태블릿 디바이스 시대의 융합적 개발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공동연구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1-32A-B00203
선정년도 2011 년
연구기간 2 년 (2011년 05월 01일 ~ 2013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김향희
연구수행기관 연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중단
공동연구원 현황 김정완(부산가톨릭대학교)
박은정(서울대학교)
남효석(연세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의사소통 능력은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포함되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의사소통의 어려움은 노인성 질환자 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고령화 과정에서도 일어나는 문제이다. 실질적으로, 고령자들은 일상생활 수행능력 중에서 의사소통 영역에서 가장 많은 곤란을 보인다. 인간은 언어를 통해 사람들과 소통하고, 원만한 사회생활을 영위할 수 있다.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인 변화를 경험하게 되는 고령기에는 자기 자신에 대한 재평가를 하게 되고, 노화를 자각하게 되는데, 이 중에서도 의사소통의 어려움은 본인뿐만 아니라, 대화 상대자에 의해서도 가장 쉽게 인식될 수 있는 문제이다.
    고령화 과정에 나타나는 인지, 언어, 말과 음성, 청각 등의 변화는 신체의 상태가 감퇴되면서 수반되는 의사소통 능력의 변화이다. 이러한 요소들이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어느 시점에서 어떻게 변화하는 지를 평가하는 일은 의사소통 문제를 가진 고령자들을 판별해내는 ‘중재’의 첫 걸음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들의 의사소통능력의 평가를 위하여 태블릿 디바이스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평가 프로토콜을 개발하고자 한다. 그에 대한 이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태블릿 디바이스의 멀티미디어적인 요소를 활용한 다중양식적 평가가 가능하다. 둘째, 평가 기기의 이동성이 증대되어 검사자와 피검자 간의 시간적, 공간적 거리를 좁힐 수 있다. 셋째, 평가를 진행할 수 있는 인력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넷째, 평가의 효율성과 정확성에서의 이득을 챙길 수 있다.
  • 기대효과
  • (1) 사회적 기대 효과
    1989년 노인복지법(법률 제04178호)이 개정된 이후로 그동안 우리나라에서의 노인 복지는 노인 복지의 시설을 설치, 운영하고, 건강을 증진시키며, 경로 우대 사상을 보급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그러나 경제적 가치와 의료 기술, 문화 환경 등이 급속하게 변화하는 현대에 이전의 노인 복지 개념으로 접근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우리나라의 경우에 고령 인구의 증가와 함께 고령자와 관련된 여러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인 문제가 향후 더욱 가속화될 것이며 이것은 각 고령자에게 적절한 복지 프로그램을 적용하는데 앞서 고령자의 삶의 질에 초점을 둔 의료보장 및 복지 프로그램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의 개발을 요구하고 있다. 앞으로의 고령자 복지는 고령자가 영위해야 할 양질의 삶을 위한 자원과 서비스를 사적 및 공적 차원에서 조직적으로 제공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고령자들이 사회에서 심리적으로 소외감을 느끼지 않고 사회에 적응하고 통합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될 고령층을 위한 의사소통 능력 평가 프로토콜을 통하여 고령자에게 적용 가능한 사회복지 서비스의 구체적인 계획이 가능하게 될 것이며, 이러한 계획은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는 기본 전제 하에 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대되는 사회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 첫째, 개발된 의사소통 능력 프로토콜을 통해 평가된 결과는 Communication Quotient(CQ; 의사소통지수)로 수치화하여 현재 IQ 가 널리 활용되듯이, 일반 성인에 대해서도 사용될 수 있고, 검증 과정을 거친다면 입사, 승진, 적성평가 등 산업체에서도 광범위하게 쓰일 수 있다.

    ☞ 둘째, 향후 한국어 버전이 아닌 영어 등 다른 언어 버전의 태블릿 기반의 의사소통 능력 프로토콜을 개발하여 국익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특히 애플은 애플리케이션스토어를 전세계적으로 운영하고 있는데, 개발자가 몇 가지 가입 절차를 거치면 태블릿 애플리케이션을 웹에 공개하거나 판매할 수도 있다. CQ에 관심이 있는 기업체, 병원, 언어병리 검사실, 혹은 개인이 구입 대상이 될 수도 있다.

    (2) 교육적․치료적 기대효과
    본 연구는 고령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의사소통 능력의 변화 또는 유지되는 능력 등을 살펴보고, 어떠한 의사소통장애 요인이 고령자의 일상생활 능력이나 삶의 질, 우울 등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게 해주며, 이를 통해 언어치료사가 일반 고령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언어치료 서비스의 구체적인 계획을 가능하게 해준다. 또한 대뇌 백질변성이 있는 고령자 위험군의 의사소통능력과 정상 고령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비교할 수 있게 하고, 두 군을 변별할 수 있는 표지(marker)를 발견하게 함으로써 고령자 위험군의 조기 발견을 도울 수 있게 해준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급증하고 있는 고령자 인구를 대상으로 의사소통능력 검사를 실시하고자 하나,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태블릿 디바이스 프로그램의 특성상, 향후 청년층, 장년층에게도 적용해 봄으로써 연령대별 의사소통 능력과 그로 인한 삶의 질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치료가 아닌 교육적 차원에서 각 연령대에서 어려움을 보일 수 있는 의사소통 영역에 대해 교육함으로써 이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여러 가지 방안들을 모색해 볼 수 있다. 이것은 곧 국내 의료복지 서비스의 질을 한층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3) 인접학문과의 연계 및 타학문으로의 파급효과
    IT기술, 의료, 인문 분야 간 융합의 필요성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고, 특히, 유 헬스를 포함한 U-city 사회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모바일 기술을 의료에 적용하는 다양한 구상이 제시되어 왔다. 그러나, 현재까지도 첨단 기술이 각 응용 분야에 적용되는 데는 진입 장벽이 존재한다. 따라서, 기술 융합의 결과에 관한 개념적인 효과의 제시에 그치지 않고, 복지 사회의 서비스에 적용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효과를 입증하여, 모바일 기술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시스템의 타당성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이러한 작업에는 요구사항의 분석, 설계, 개발 및 분석에는 언어 의사소통 전문가, 의료전문가, 컴퓨터 시스템 전문가간의 지속적이고 긴밀한 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요구사항과 처리작업에 대한 신뢰성과 유용성을 위한 각 분야의 전문지식이 필요하고, 시뮬레이션이나 예제 자료가 아닌 실제 사용자군에 적용하여 시스템의 타당성을 검증하여, 다양한 서비스 모델로의 확장을 기대할 수 있다.
  • 연구요약
  • 우리 사회의 급속한 고령화에 따라 고령층의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위한 프로토콜의 개발이 시급하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실어증이나 치매 등의 각 장애 영역별로 의사소통 능력의 특성이나 기능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평가 도구들(예, 서울신경심리검사, 보스톤이름대기검사)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의사소통 저하의 근간이 될 수 있는 다양한 인지 기능 혹은 의사소통 영역의 기능이나 장애를 객관적이고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표준화된 프로토콜은 전무하다. 또한, 실어증이나 치매 평가 도구들을 표준화하는 과정에서 환자군과 정상군간의 수행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정상 대조군(normal control)로서의 일반 혹은 정상 고령층을 표집한다. 그러나 그 표준화에 포함된 정상군의 표집 인원이 상당히 제한적이어서 객관적인 자료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한다. 따라서, 고령층에 대한 의사소통 능력 평가 프로토콜은 현 시점에서 고령층의 의사소통 능력을 섬세하게 분석할 수 있으며, 향후 발생하는 노인성 질환(예, 대뇌백질변성이나 경도인지장애)과 관련되는 언어 장애를 조기에 선별해내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런데 평가 프로토콜은 평가자가 찾아가서 손쉽게 하거나, 수혜자가 직접 스스로 평가할 수 있도록 태블릿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평가 프로토콜의 융합적 개발이 필요하다. 현재 대부분의 평가 프로토콜은 평가자가 기관을 방문한 피검자를 대상으로 필답형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형태의 평가는 각 관련 검사 도구들에 대한 접근의 용이성이 떨어진다. 그러나, 본 계획서에서 제안되었듯이 누구나 쉽게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는 태블릿 디바이스를 활용한 종합적 평가가 이루어진다면 전국적인 단위에서의 일반 고령층에 대한 조사가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연구는 검사자, 피검자 모두 태블릿을 이용하므로 사용자의 이동성을 지원하고, 라이프 사이언스를 지원하는 시스템의 유비쿼터스 접근법에 대한 타당성 검증이 시스템 개발과 함께 수행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역할의 사용자와 지속적인 검사 프로그램의 진화를 위하여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 (Service-Oriented Architecture, SOA)를 이용한 검사도구 개발 플랫폼을 제시한다.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는 기존의 서비스를 상호 연동하여, 사용자의 역할, 무선통신 상황, 태블릿 기기의 잔류전력 등을 고려하여 맞춤형 응용 프로그램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축적된 전국 고령층의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규준을 그 자리에서 바로 확인하여 피검자가 현재 보이고 있는 의사소통 능력 상태를 실시간으로 대조할 수 있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로는 태블릿 디바이스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통하여 자극 문항들이 객관적이고도 신뢰롭게 제시될 수 있으며, 피검자의 반응들이 기록되고 보관되는 것이 용이하고, 반응들에 대한 분석이 타당하고 신뢰롭게 이루어 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언어 병리/치료학 교수들의 콘텐츠 개발과 애플리케이션 개발 전문가의 태블릿 디바이스에 탑재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다각적이고 융합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인문사회, 의료, 그리고 IT 기술의 접목은 그동안 많은 시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분야 간의 진입에 어려움을 보인다. 실생활에 적용되는 라이프 사이언스 시스템의 서비스 특성상 이전 시스템과의 연속성을 가져야 하고, 요구사항 명세 및 적용에 각 분야의 전문 인력과의 긴밀한 협조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접목의 효과는 개념적으로 제시되어 왔으나, 실제 임상이나 사회 서비스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구체적으로 검증하기 어려웠다. 그러므로, 설계 시부터 각 분야의 전문가와 팀을 이루어, 현장에서의 요구 사항을 파악하고, IT분야 등 첨단 기술과 접목하는 접근법의 타당성에 대한 검증이 시스템 개발과 함께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과제는 의사 소통능력의 평가를 위한 시스템의 기반 플랫폼 뿐 아니라, 개발된 모바일 진료시스템을 실제 검사에 적용하여, 임상적으로 그 타당성을 검증함으로써, 다가오는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시대의 선도 기술을 확보하고, 다른 분야와의 융합 모델로 확장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향후 고령화 사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요구에 맞춤형 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반이 될 수 있다. 또한 전문 인력과 장비의 활용률을 높이고, 지역 간 차이를 완화할 수 있다. 모바일 관련 기술을 적용하여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효과를 검증하여, 유비쿼터스 복지 및 헬스 케어의 타당성을 입증하고, 학제 간 연구를 통하여 BT-IT 기술 융합 전문 인력을 양성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험은 다른 융합 분야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
  • 한글키워드
  • 고령화,선별,언어,태블릿 디바이스,의사소통 능력,고령자,청각,평가,설문지,대뇌백질변성
  • 영문키워드
  • communication ability,elderly,language,questionnaire,evaluation,hearing,speech,tablet-device,white matter change,screening,aging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연구 배경 및 목적: 의사소통 능력은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포함되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의사소통의 어려움은 노인성 질환자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고령화 과정에서도 일어나는 문제이다. 또한, 그 어려움은 본인뿐만 아니라, 대화 상대자에 의해서도 가장 쉽게 인식될 수 있다. 고령화 과정에 나타나는 인지, 언어, 말과 음성, 청각 등의 변화는 신체의 상태가 감퇴되면서 수반되는 의사소통 능력의 변화이다. 이러한 요소들이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어느 시점에서 어떻게 변화하는 지를 평가하는 일은 의사소통 문제를 가진 고령자들을 판별해내는 ‘중재’의 첫 걸음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들의 의사소통능력의 평가를 위하여 태블릿 디바이스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평가 프로토콜을 개발하고자 한다. 그에 대한 이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태블릿 디바이스의 멀티미디어적인 요소를 활용한 다중양식적 평가가 가능하다. 둘째, 평가 기기의 이동성이 증대되어 검사자와 피검자 간의 시간적, 공간적 거리를 좁힐 수 있다. 셋째, 평가를 진행할 수 있는 인력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넷째, 평가의 효율성과 정확성에서의 이득을 챙길 수 있다.
    연구 방법: 1차년도에서는 평가 프로토콜의 콘텐츠 개발이 이루어졌다. 단계적으로는 관련 문헌 조사, 평가 문항의 개발, 프로그램 사양 조사가 행해졌다. 2차년도에서는 487명의 일반 고령자를 대상으로 예비조사, 문항 축약, 태블릿 디바이스용 프로그램 구축 순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1차년도의 결과로는 관련 문헌 조사 및 평가 문항의 개발 측면에서 다음이 포함되었다. 첫째, 인구학적 정보 및 사전 평가 문항들이 개발되었다. 둘째, '말/음성 영역', 언어 영역, 인지 영역에 속하는 본 평가의 문항들이 개발되었다. 말/음성 영역의 하위 검사들은 '모음 연장 발성', 'DDK', 단모음, 이중모음, 자음, 문단읽기, 그림설명하기, 자발화, 따라말하기, 숫자세기, 노래하기 등이다. 언어 영역의 하위 검사들은 사물이름대기, 동사이름대기, 동물이름대기, 단어정의하기, 청각적 이해력 검사 등이다. 인지 영역에는 주의력, 기억력, 조직화 능력, 추론력, 문제해결력, 집행기능, 화용 등의 하위검사가 포함되었다. 2차년도에서 일반 고령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예비 조사에서 말/음성, 언어, 인지를 포함한 모든 영역에서 연령 요인이 검사결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검사 결과에 따라 문항 축소를 실시하였고, 최종의 문항들로 태블릿 디바이스용 프로그램이 구축되었다. 프로그램 구축은 문항 등록/관리, 문항 다운로드, 검사 결과 업로드, 자료 추출/ 분석을 통한 융합적 단계로 설명될 수 있다.
    논의: 본 연구는 현재까지 지필검사로만 이루어졌던 의사소통능력 검사를 앱프로그래밍으로 구현한 최초의 연구라는 측면에서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을 활용한 향후 연구가 행해진다면 의사소통 능력의 효율적인 평가가 가능하리라고 생각된다.
  • 영문
  • Background & Purpose: Communication ability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which are included as daily activities.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ability occur not only in geriatric patients but only in normal aging people. In addition, the difficulties are recognized by the elderly themselves as well as conversation partners. With aging, we observe changes in cognition, language, voice, speech, and hearing.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evaluate and differentiate the abnormal elderly amon elderly people. Thus,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n evaluation protocol using a tablet device for communication ability for elderly.
    Methods: First, we developed contents of the evaluation protocol via literature review, item development, and program specification. Second, we administered the evaluation protocol to 487 normal elderly; Item reduction was performed; and app program was built based on the paper-pencil version of the evaluation protocol
    Results: In both paper-pencil and app program version, five sections were included. First, client information, such as demographic information, disease history, health behaviors, socio-economic status, language daily living, and language history, was included. Second, pre-evaluation items to evaluate vision, hearing, motor literacy, depression, and Korean version-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were included. Third, speech items were spontaneous speech, picture description, vowel prolongation, DDK, vowel production, stop articulation, reading, repetition, counting, and singing. Language items were COWAT, BNT, verb naming, word definition, sentence comprehension, token test, and functional communication. Lastly, cognition section included attention, visual function, memory, organization, reasoning, problem solving, executive function, and pragmatics. The preliminary data indicated that most of the communication abilities have been significantly reduced with aging. Development of app program was done with registration of test item, item download, results upload, and data extraction.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that it is the first attempt to develop app program to evaluate communication ability for the elderly. Further study is warranted to explore the validity of the app program.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연구 배경 및 목적: 의사소통 능력은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포함되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의사소통의 어려움은 노인성 질환자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고령화 과정에서도 일어나는 문제이다. 실질적으로, 고령자들은 일상생활 수행능력 중에서 의사소통 영역에서 가장 많은 곤란을 보인다. 인간은 언어를 통해 사람들과 소통하고, 원만한 사회생활을 영위할 수 있다.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인 변화를 경험하게 되는 고령기에는 자기 자신에 대한 재평가를 하게 되고, 노화를 자각하게 되는데, 이 중에서도 의사소통의 어려움은 본인뿐만 아니라, 대화 상대자에 의해서도 가장 쉽게 인식될 수 있는 문제이다.
    고령화 과정에 나타나는 인지, 언어, 말과 음성, 청각 등의 변화는 신체의 상태가 감퇴되면서 수반되는 의사소통 능력의 변화이다. 이러한 요소들이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어느 시점에서 어떻게 변화하는 지를 평가하는 일은 의사소통 문제를 가진 고령자들을 판별해내는 ‘중재’의 첫 걸음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들의 의사소통능력의 평가를 위하여 태블릿 디바이스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평가 프로토콜을 개발하고자 한다. 그에 대한 이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태블릿 디바이스의 멀티미디어적인 요소를 활용한 다중양식적 평가가 가능하다. 둘째, 평가 기기의 이동성이 증대되어 검사자와 피검자 간의 시간적, 공간적 거리를 좁힐 수 있다. 셋째, 평가를 진행할 수 있는 인력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넷째, 평가의 효율성과 정확성에서의 이득을 챙길 수 있다.
    연구 방법: 1차년도에서는 평가 프로토콜의 콘텐츠 개발이 이루어졌다. 단계적으로는 관련 문헌 조사, 평가 문항의 개발, 프로그램 사양 조사가 행해졌다. 2차년도에서는 487명의 일반 고령자를 대상으로 예비조사, 문항 축약, 태블릿 디바이스용 프로그램 구축 순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1차년도의 결과로는 관련 문헌 조사 및 평가 문항의 개발 측면에서 다음이 포함되었다. 첫째, 인구학적 정보 및 사전 평가 문항들이 개발되었다. 둘째, '말/음성 영역', 언어 영역, 인지 영역에 속하는 본 평가의 문항들이 개발되었다. 말/음성 영역의 하위 검사들은 '모음 연장 발성', 'DDK', 단모음, 이중모음, 자음, 문단읽기, 그림설명하기, 자발화, 따라말하기, 숫자세기, 노래하기 등이다. 언어 영역의 하위 검사들은 사물이름대기, 동사이름대기, 동물이름대기, 단어정의하기, 청각적 이해력 검사 등이다. 인지 영역에는 주의력, 기억력, 조직화 능력, 추론력, 문제해결력, 집행기능, 화용 등의 하위검사가 포함되었다. 2차년도에서 일반 고령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예비 조사에서 말/음성, 언어, 인지를 포함한 모든 영역에서 연령 요인이 검사결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검사 결과에 따라 문항 축소를 실시하였고, 최종의 문항들로 태블릿 디바이스용 프로그램이 구축되었다. 프로그램 구축은 문항 등록/관리, 문항 다운로드, 검사 결과 업로드, 자료 추출/ 분석을 통한 융합적 단계로 설명될 수 있다.
    논의: 본 연구는 현재까지 지필검사로만 이루어졌던 의사소통능력 검사를 앱프로그래밍으로 구현한 최초의 연구라는 측면에서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을 활용한 향후 연구가 행해진다면 의사소통 능력의 효율적인 평가가 가능하리라고 생각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 1차년도의 결과로는 관련 문헌 조사 및 평가 문항의 개발 측면에서 다음이 포함되었다. 첫째, 인구학적 정보 및 사전 평가 문항들이 개발되었다. 둘째, '말/음성 영역', 언어 영역, 인지 영역에 속하는 본 평가의 문항들이 개발되었다. 말/음성 영역의 하위 검사들은 '모음 연장 발성', 'DDK', 단모음, 이중모음, 자음, 문단읽기, 그림설명하기, 자발화, 따라말하기, 숫자세기, 노래하기 등이다. 언어 영역의 하위 검사들은 사물이름대기, 동사이름대기, 동물이름대기, 단어정의하기, 청각적 이해력 검사 등이다. 인지 영역에는 주의력, 기억력, 조직화 능력, 추론력, 문제해결력, 집행기능, 화용 등의 하위검사가 포함되었다. 2차년도에서 일반 고령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예비 조사에서 말/음성, 언어, 인지를 포함한 모든 영역에서 연령 요인이 검사결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검사 결과에 따라 문항 축소를 실시하였고, 최종의 문항들로 태블릿 디바이스용 프로그램이 구축되었다. 프로그램 구축은 문항 등록/관리, 문항 다운로드, 검사 결과 업로드, 자료 추출/ 분석을 통한 융합적 단계로 설명될 수 있다.
    활용방안: 지금까지 수행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앱 프로그램의 활용 방안 및 기대 효과를 다각도로 고려해보면 다음과 같다.
    1) 개발된 앱프로그램으로 정상 고령층의 의사소통 능력의 검사를 진행하여 각 검사 점수와 총 검사 점수의 고령층의 정상 규준을 산정한다.
    2) 검사 결과 자료에 대한 해석(반응시간, 점수, %ile 등)과 범위를 결정한다.
    3) 지필검사를 통하여 수집된 고령층의 의사소통능력의 정상 규준과 앱프로그램간의 정상 규준을 비교하는 연구를 진행한다.
    4) 앱프로그램의 구현을 통해 수집된 실제 검증 자료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항목에 대한 효과성 검증을 실시한다.
    ․소프트웨어 구조(software architecture)의 유연성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체험
    ․사용자 평가에 따른 예측 시스템의 진화
    5) 정상 고령층의 앱프로그램 상의 정상 규준에 따른 고령자 위험집단 및 환자군의 군집 표집을 통하여 두 군간의 변별타당도(discriminant validity)를 확인한다. 환자군의 유형으로는 대뇌백질변성, 만성 뇌졸중을 포함한 뇌혈관장애군과 ‘파킨슨병’ 환자군을 포함한다.

  • 색인어
  • 고령층, 의사소통능력, 평가, 태블릿디바이스, 언어, 말, 음성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