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교육불평등의 정도 및 영향요인을 분석하고, 선진국 정책사례에 대한 비교 분석을 행하며, 이를 토대로 교육불평등에 대처하기 위한 정책적 대응방안을 모색하려는 처방적 성격의 정책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들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 ...
본 연구는 교육불평등의 정도 및 영향요인을 분석하고, 선진국 정책사례에 대한 비교 분석을 행하며, 이를 토대로 교육불평등에 대처하기 위한 정책적 대응방안을 모색하려는 처방적 성격의 정책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들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우선 학문적 측면에서, 첫째, 이론적 측면에서 교육불평등의 개념을 교육소외, 교육격차, 교육부적응 등 유사개념들과의 관계 속에서 명확하게 정립하고, 교육불평등의 정도 및 영향요인에 관한 측정변수를 구체적으로 밝힘으로써 교육불평등 관련 후속연구를 자극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해서 우리나라의 교육불평등의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정책적 처방을 모색하기 위한 분석틀을 개발함으로써, 교육불평등의 해소를 위한 실증적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정립한 분석틀은 교육불평등 뿐만 아니라, 건강불평등, 의료불평등, 문화불평등, 정보격차 등 유사한 영역의 불평등(inequality) 연구에도 적용할 수 있는 논의의 틀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선진국의 교육불평등 해소 정책 및 프로그램을 일정한 변수에 입각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선진국의 사례를 단순하게 소개하는 데서 벗어나서, 교육불평등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비교 논의를 자극할 수 있다. 넷째, 교육불평등에 대처하기 위한 정책적 대응방안을 관리운영, 재정, 프로그램, 성과관리, 사회적 지원이라는 통합적인 틀에 입각하여 분석하며, 특히 성과평가 결과를 인센티브 체계와 연계하는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보다 성과지향적인 교육불평등 대처정책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다섯째, 설문조사 및 면접조사를 통하여 교육불평등에 대처하기 위한 정책에 대한 일선교사들의 반응과 만족도를 측정하고, 이의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함으로써 교육정책의 적실성을 제고하는 데 학문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여섯째, 다문화가정 학생과 같은 사회적 취약계층의 교육불평등 현황과 문제점을 조사함으로써 이들 계층의 교육형평성 제고방안에 대한 학문적 논의를 촉발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지역 간 교육격차를 해소하는 정책을 수립하는 데 학문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다음에 실천적 측면에서 첫째, 현행 교육불평등 정도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 분석을 통해서 교육불평등 문제의 소재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며, 이를 토대로 이에 대응하기 위한 적실성 있는 처방책을 모색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는 교육불평등에 대처하는 데서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현재 정부는 다양한 정부부처에서 다양한 형태의 교육불평등 대처 정책이나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는 데, 실제로는 이러한 프로그램들이 조정이나 연계체계의 부족, 중복과 낭비의 폐단이 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서 현행의 교육불평등 해소 정책이나 프로그램의 통합 연계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셋째, 교육불평등에 대처하는 데서 관련 공무원은 물론, 일선 교사, 학부모, 학생 등을 포함하는 정책관리체계를 개발함으로써 교육불평등에 대처하기 위한 정책 및 프로그램의 효과를 극대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궁극적으로는 교육불평등에 대처하기 위한 정책의 실현가능성을 제고하게 될 것이다. 넷째, 본 연구를 통해서 주요 선진국의 교육불평등에 대처하기 위한 정책 및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이를 벤치마킹의 차원에서 적용해 봄으로써, 향후 범정부적 차원의 통합적인 정책관리체계를 구축하는 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다섯째, 교육불평등 및 이에 대처하기 위한 방안들에 관련한 이론 및 실제를 관련 공무원, 교육관련 단체 종사자, 일선 교사, 학부모 등에 대한 교육 자료로 활용함으로써, 이들로 하여금 교육불평등의 현실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게 하고, 교육불평등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제고하며, 문제해결을 위한 집단적 지혜를 모색하는 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여섯째, 지역 간 교육불평등 정도 및 영향요인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지역특성에 부합하는 교육불평등 대처 정책을 모색하는 데서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일곱째, 본 연구에서 점검한 다문화가장 학생들의 교육불평등 현황 및 문제점에 대한 토의를 사회적 취약계층 자녀들이 당면하고 있는 교육불평등의 현황이 어떠하며, 어떠한 정책적 처방이 필요한 지를 확인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교육의 전달자인 일선교사들의 교육불평등 대처 정책에 대한 만족도 및 요구사항을 점검함으로써 현행 교육불평등 대처 프로그램들의 적실성을 제고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