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신 신흥국경제론에 입각한 한국경제의 이론적 체계의 모색과 관련 실증연구 (Search for a New Framework in the Analysis of the Korean Economy: Based on a New Perspective about Emerging Market Countrie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한국사회과학연구(SSK)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1-330-B00054
선정년도 2011 년
연구기간 3 년 (2011년 09월 01일 ~ 2014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윤택
연구수행기관 서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김소영(서울대학교)
안동현(서울대학교)
김재영(서울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신흥경제국가군이 단순히 선진국의 경제발전을 추격하는 경제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이들의 세계경제의 실물 및 금융부문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대되면서 현재의 신흥경제국가군이 앞으로 세계경제의 견인차 역할을 다방면에서 담당할 것이라는 국제경제에 대한 비전에 더불어 다가올 현실경제의 이와 같은 변화가 차기 한국경제의 발전방향을 결정하는 요인이 될 것이라는 한국경제에 대한 비전을 출발점을 한다. 특히 이와 같은 대내외 경제에 대한 비전이 한국경제의 중장기적 발전에 미치는 효과를 이해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경제자료를 이용한 실증분석 및 실증분석결과에 의거하여 체계적으로 이론 체계를 정립하고자 한다.
    앞에서 설명한 연구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개의 연구전략을 기반으로 하여 진행된다. 첫째, 신흥경제국가라는 용어의 유래는 선진국과의 구별에서 대두된 것이므로 선진국과 이를 추격하는 경제 사이의 비교에서 신흥경제국가의 발전방향을 파악해야 한다는 점이다. 둘째, 앞으로 신흥경제국가군이 세계 경제의 견인차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비전에 맞추어 신흥경제국가군의 특수성을 반영하는 이론체계 및 실증분석 방법론의 개발에 공헌할 수 있는 연구를 진행한다. 셋째, 한국경제의 특수성은 신흥국가로서의 다른 신흥국가들과의 관계 및 선진국들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파악하여야 한다.
  • 기대효과
  • 신 신흥국경제론의 수립은 앞에서 언급한 바 있는 신흥경제국가군의 세계경제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할 것이라는 국제경제에 대한 비전과 차기 한국경제의 발전이 이러한 국제경제의 변화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진행될 것이라는 한국경제에 대한 비전을 수량적 분석이 가능한 경제학 이론체계를 구체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신 신흥국경제론에서 강조될 점은 첫째, 선진국과 신흥경제국가간의 관계가 2000년대에 들어 기존의 관계와 다른 양상을 보이는데 특히 주목할 점은 실물경제 요인과 금융적 요인간의 밀접한 연계성이다. 둘째, 신흥경제국의 금융발전단계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온 글로벌 금융통합의 결과의 방향성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셋째, 실물부문의 요인과 금융적 요인의 바람직한 상호영향을 유도하기 위한 거시경제 정책의 역할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이론적 체계에 반영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실물경제적 요인, 금융경제적 요인 및 정책적 요인 등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이론체계를 수립하고 이에 의거하여 서로 다른 정책대안들의 효과를 수량분석에 의거하여 현실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는 점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의 신 신흥국경제론에 입각하여 한국경제의 이론적 체계를 모색한다는 큰 주제 아래에서 장기적으로 소형단계, 중형단계 그리고 대형단계의 연구로 발전할 수 있도록 단계별 연구목표를 분리하여 설정하되 서로 연계되도록 한다. 먼저 소형단계에서는 개별연구팀의 주제별 기초연구를 중점적으로 실시한다. 소형단계에서는 세계경제 및 신흥국가군에서의 한국경제의 특수성과 보편성의 식별하기 위하여 개별 연구자들의 팀별 연구를 진행한다.
    특히 소형단계에서는 강조되는 연구방향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선진국과 신흥경제국가에서의 실물경제 부문에서의 경기순환 요인과 서로 다른 국가간 소비의 동조화에 대하여 분석한다. 신흥경제국가의 경기변동요인 변화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경제자료의 동태적인 분석 및 추정 방법에 의거하여 실물경제 요인을 식별한다. 둘째, 실물경제 요인과 금융경제 요인의 상호작용을 분석할 수 있는 실증적인 금융자산의 가격설정모형을 이용하여 신흥경제국가의 실물경제 및 금융경제의 관계를 분석한다. 초기 연구로서 소비의 지속성과 변동성을 통한 이머징 국가들의 자산가격 및 이자율 결정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진다. 셋째, 신흥경제국의 거시경제정책운용에 함의가 있는 선진국의 통화 및 재정정책 이슈를 연구 및 분석한다. 특히 현재 선진국들에서는 지속적으로 증가된 정부부채가 주요 이슈중의 하나이므로 장기적인 재정불균형의 위험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효과를 고려한 재정 및 통화정책의 조화로운 운용을 연구한다. 또한 미국을 포함한 선진국 경제의 지속적인 불황의 가능성을 분석할 수 있는 거시모형을 연구하고 선진국 거시정책의 변화가 민간경제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다. 그리고 신 신흥국 경제론에 부응하는 방법론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에서는 신흥국시장 또는 신흥국 경제를 분석하는 거시경제모형을 연구하고 그 모형의 실증분석을 위한 방법론을 개발한다.
    3년간 진행되는 소형단계의 연구에서는 1차 년도에 개별연구팀의 연구보고서 초안의 작성을 목표로 한다. 1차 년도에는 신흥국 및 한국의 경제자료 수집과 실증분석이 진행되고 그 결과를 연구보고서에 정리한다. 또한 기존 관련연구들의 연구결과 정리 및 새로운 분석틀의 구조를 확정하는 것을 병행한다. 2차 년도에는 작성된 연구보고서 초안을 국제학술대회에 발표하는 동시에 관련분야의 전문가들의 평가 및 자문을 받아 연구보고서 초안을 수정 및 보완한다. 따라서 2차 년도에서는 체계적이고 공헌이 있는 연구결과가 포함된 중간 연구보고서를 완성하고 이를 국제학술지에 제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3차 년도에는 국제학술지 게재확정을 위한 연구역량 집중하고 또한 중형연구로의 전환을 위한 준비연구 시작한다.
    본 연구가 중형연구로 발전되는 경우에는 신흥경제 아시아 국가 및 한국경제의 특수성을 반영하는 이론 체계를 수립한다. 중형단계에서는 신흥경제국과 한국의 특수성이 고려된 동태적 경제모형을 수립하고, 작성된 경제모형을 실제의 경제자료에 연결하여 그 설명력을 평가하는 것이 주요 연구목표가 된다. 중형연구에 이어서 대형연구로 발전되는 경우에는 소형 및 중형단계에서의 연구결과를 기초하여 한국경제의 특수성을 반영하는 이론 체계를 완성하고 완성된 이론 체계의 현실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작성된 이론 체계에 기반으로 수립된 경제정책대안들의 현실 적용 능력을 평가분석 한다. 특히 대형 단계에서는 이론적 연구결과의 현실 적용능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신흥경제국가 및 한국자료의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관련 실증방법론을 개발하는 것이 주요 연구과제가 된다.
  • 한글키워드
  • 본 연구는 현재의 신흥경제국가군이 앞으로 세계경제의 견인차 역할을 다방면에서 담당할 것이라는 국제경제에 대한 비전에 더불어 다가올 현실경제의 이와 같은 변화가 차기 한국경제의 발전방향을 결정하는 요인이 될 것이라는 한국경제에 대한 비전을 출발점을 한다. 특히 이와 같은 대내외 경제에 대한 비전이 한국경제의 중장기적 발전에 미치는 효과를 이해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경제자료를 이용한 실증분석 및 실증분석결과에 의거하여 체계적으로 이론 체계를 정립하고자 한다.
  • 영문키워드
  • The primary purpose of this research project is to develop a new framework in the analysis of the Korean economy based on a new perspective about emerging market countries,allowing for the possibility of the initiative role of emerging countries in the global economy. We emphasize the important role of the real side of economies and financial and policy factors in the dynamic nature of the relation between emerging market countries and advanced countries in our new framework.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신 신흥국경제론에 입각하여 한국경제의 이론적 체계를 모색한다는 큰 주제 아래에서 장기적으로 소형단계, 중형단계 그리고 대형단계의 연구로 발전할 수 있도록 단계별 연구목표를 분리하여 설정하되 서로 연계되도록 한다. 먼저 소형단계에서는 개별연구팀의 주제별 기초연구를 중점적으로 실시한다. 소형단계에서는 세계경제 및 신흥국가군에서의 한국경제의 특수성과 보편성의 식별하기 위하여 개별 연구자들의 팀별 연구를 진 행한다. 특히 소형단계에서는 강조된 연구방향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선진국과 신흥경제국가에서의 실물경제 부문에서의 경기순환 요인과 서로 다른 국가간 소비의 동조화에 대하여 분석한다. 신 흥경제국가의 경기변동요인 변화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경제자료의 동태적인 분석 및 추정 방법에 의거하여 실물경제 요인을 식별한다. 둘째, 실물경제 요인과 금융경제 요인의 상호작용을 분석할 수 있는 실증적인 금융자산의 가격설정모형을 이용하여 신흥경제국가의 실물경제 및 금융경제의 관계를 분석한다. 초기 연구로서 소비의 지속성과 변동성을 통한 이머징 국가들의 자산가격 및 이자율 결정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셋째, 신흥경제국의 거시경제정책운용에 함의가 있는 선진국의 통화 및 재정정책 이슈를 연구 및 분석한다. 특히 현재 선진국들에서는 지속적으로 증가된 정부부채가 주요 이슈중의 하나이므로 장기적인 재정불균형의 위험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효과를 고려한 재정 및 통화정책의 조화로운 운용을 연구한다. 또한 미국을 포함한 선진국 경제의 지속적인 불황의 가능성을 분석할 수 있는 거시모형을 연구하고 선진국 거시정책의 변화가 민간경제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다. 그리고 신 신흥국 경제론에 부응하는 방법론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에서는 신흥국시장 또는 신흥국 경제를 분석하는 거시경제모형을 연구하고 그 모형의 실증분석을 위한 방법론을 개발한다. 3년간 진행된 소형단계의 연구에서는 1차 년도에 개별연구팀의 연구보고서 초안의 작성을 진행한다. 1차 년도에는 신흥국 및 한국의 경제자료 수집과 실증분석이 진행되고 그 결과를 연구보고서에 정리한다. 또한 기존 관련연구들의 연구결과 정리 및 새로운 분석틀의 구조를 확정하는 것을 병행한다. 2차 년도에는 작성된 연구보고서 초안을 국제학술대회에 발표하는 동시에 관련분야의 전문가들의 평가 및 자문을 받아 연구보고서 초안을 수정 및 보완한다. 따라서 2차 년도에서는 체계적이고 공헌이 있는 연구결과가 포함된 중간 연구보고서를 완성하고 이를 국제학술지에 제출한다. 3차 년도에는 국제학술지 게재확정을 위한 연구역량 집중하고 또한 중형연구로의 전환을 위한 준비연구를 시작한다.
  • 영문
  • This research, under intention of finding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Korean economy through the new emerging market theory, divides up the objectives into research clan, research cluster, research center phases, although maintaining relativity among the phases. The research clan phase is primarily focused on each topic's basic research of individual research teams. To identify uniqueness and universality of Korean economy within context of both the world economy and the emerging economy, the researchers perform teamwise research. Three directions constitute the research clan phase. Firstly, we analyze the causes of business cycles in the real economy sector and the comovements of consumption among different countries of advanced and emerging economies.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possibility of change in causes of business cycles in emerging countries, we draw on dynamic analysis and estimation of economic data to identify the causes of real economy. Secondly, we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 and financial sectors of emerging economies using an asset pricing model. As an initial step, the determinations of asset price and interest rate of emerging countries through persistency and volatility of consumption are studied. Thirdly, we study and analyze the issues of monetary and fiscal policies in advanced countries that have implications on macroeconomic policies of emerging economies. Especially, since the constantly increasing government deb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advanced countries, we study a harmonious maneuver of fiscal and monetary policies, which take into account the risk of long-term fiscal imbalance. Also we study a macroeconomic model that can analyze the continuous depression of advanced countries including the U.S., and we analyze how a change in macroeconomic policy can affect the private economy. To develop a methodology that accords with the new emerging market theory, we study a macroeconomic model that analyzes the emerging market and economy and develop a methodology for its analysis. The first year of the total three years of the research clan phase is focused on the objective of establishing a first draft of research report for each research team. We collect the economic data of emerging countries and Korea to perform empirical analyses of them, and organize the results on the report. We also organize the results of existing research and determine a new framework for analysis. In the second year, we perform presentations of the drafts at international symposiums, and improve by referencing evaluations and advices of experts in each of the related fields. Therefore, our objective of the second year is to complete second drafts that include contributive results and to submit them to international academic journals. In the last year, we focus on improving our research ability to confirm the publication on international journals, and we begin a preparative research for the transition into research cluster phas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신 신흥국경제론에 입각하여 한국경제의 이론적 체계를 모색한다는 큰 주제 아래에서 장기적으로 소형단계, 중형단계 그리고 대형단계의 연구로 발전할 수 있도록 단계별 연구목표를 분리하여 설정하되 서로 연계되도록 한다. 먼저 소형단계에서는 개별연구팀의 주제별 기초연구를 중점적으로 실시한다. 소형단계에서는 세계경제 및 신흥국가군에서의 한국경제의 특수성과 보편성의 식별하기 위하여 개별 연구자들의 팀별 연구를 진 행한다. 특히 소형단계에서는 강조된 연구방향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선진국과 신흥경제국가에서의 실물경제 부문에서의 경기순환 요인과 서로 다른 국가간 소비의 동조화에 대하여 분석한다. 신 흥경제국가의 경기변동요인 변화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경제자료의 동태적인 분석 및 추정 방법에 의거하여 실물경제 요인을 식별한다. 둘째, 실물경제 요인과 금융경제 요인의 상호작용을 분석할 수 있는 실증적인 금융자산의 가격설정모형을 이용하여 신흥경제국가의 실물경제 및 금융경제의 관계를 분석한다. 초기 연구로서 소비의 지속성과 변동성을 통한 이머징 국가들의 자산가격 및 이자율 결정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셋째, 신흥경제국의 거시경제정책운용에 함의가 있는 선진국의 통화 및 재정정책 이슈를 연구 및 분석한다. 특히 현재 선진국들에서는 지속적으로 증가된 정부부채가 주요 이슈중의 하나이므로 장기적인 재정불균형의 위험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효과를 고려한 재정 및 통화정책의 조화로운 운용을 연구한다. 또한 미국을 포함한 선진국 경제의 지속적인 불황의 가능성을 분석할 수 있는 거시모형을 연구하고 선진국 거시정책의 변화가 민간경제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다. 그리고 신 신흥국 경제론에 부응하는 방법론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에서는 신흥국시장 또는 신흥국 경제를 분석하는 거시경제모형을 연구하고 그 모형의 실증분석을 위한 방법론을 개발한다. 3년간 진행된 소형단계의 연구에서는 1차 년도에 개별연구팀의 연구보고서 초안의 작성을 진행한다. 1차 년도에는 신흥국 및 한국의 경제자료 수집과 실증분석이 진행되고 그 결과를 연구보고서에 정리한다. 또한 기존 관련연구들의 연구결과 정리 및 새로운 분석틀의 구조를 확정하는 것을 병행한다. 2차 년도에는 작성된 연구보고서 초안을 국제학술대회에 발표하는 동시에 관련분야의 전문가들의 평가 및 자문을 받아 연구보고서 초안을 수정 및 보완한다. 따라서 2차 년도에서는 체계적이고 공헌이 있는 연구결과가 포함된 중간 연구보고서를 완성하고 이를 국제학술지에 제출한다. 3차 년도에는 국제학술지 게재확정을 위한 연구역량 집중하고 또한 중형연구로의 전환을 위한 준비연구를 시작한다. 본 연구가 중형연구로 발전되는 경우에는 신흥경제 아시아 국가 및 한국경제의 특수성을 반영하는 이론 체계를 수립한다. 중형단계에서는 신흥경제국과 한국의 특수성이 고려된 동태적 경제모형을 수립하고, 작성된 경제모형을 실제의 경제자료에 연결하여 그 설명력을 평가하는 것이 주요 연구목표가 된다. 중형연구에 이어서 대형연구로 발전되는 경우에는 소형 및 중형단계에서의 연구결과를 기초하여 한국경제의 특수성을 반영하는 이론체계를 완성하고 완성된 이론 체계의 현실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작성된 이론 체계에 기반으로 수립된 경제정책대안들의 현실 적용 능력을 평가분석 한다. 특히 대형 단계에서는 이론적 연구결과의 현실 적용 능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신흥경제국가 및 한국자료의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관련 실증방법론을 개발하는 것이 주요 연구과제가 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단이 제시한 소형단계에서의 연구계획 목표는 100 퍼센트 달성한것으로 평가된다. 개별 연구자의 연구업적뿐만 아니라, 연구단의 2회에 걸친 국제 학술대회의 개최와 영문 학술지의 개최를 통해서 연구목표가 달성되었다. 1년차 연구에서는 여러 지적사항을 반영하여 연구를 진행한 결과 2013년에 영문저널에 게재되었고, 2013년 평가에서는 연구활동이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2년차 연구에서는 한국 경제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려는 연구목표가 매우 시의 적절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리고 참여 연구자들의 연구 활동도 매우 우수하여 2013년에 영문저널에 특집호를 게재하고 국제회의를 개최하는 등 연구 성과를 이루었다. 하지만 여러 지적사항들이 거론되었고, 이러한 사항을 보완하기 위해 2014년에 연구자들의 연구결과를 수록할 특집호를 발간할 계획을 하였고, 이를 위한 국제 컨퍼런스를 실시하였다. 또한 SSCI급 저널에 연구논문들이 출판되기 시작하여 연구의 질적인 향상이 이루어졌고, 공동연구자들의 논문들이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되기 시작하였다. 연구목표의 달성수준은 연구주제의 기준에 부합한다고 평가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본 연구단의 연구논문들은 모두 신흥국 경제의 실증분석 및 이론체계 수립에 반드시 필요한 경제학 분야를 연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연구팀의 달성실적은 연구주제의 수요에 부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후에 기술될 연구 성과의 목록에서 볼 수 있듯이 본 연구팀의 모든 학술지 게재 논문들은 경제학 분석을 요구하는 학술지에 게재하였기 때문이다. 연구목표에 대한 달성실적은 적정하게 수행되었고 특히 사업선정 시 수립한 연구계획에서는 국제 학술지 게재에 대한 연구역량 집중이 3차 년도부터 실시되는 것으로 계획하였으나 현재 국제 학술지의 게재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어서 당초의 연구목표는 이미 달성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모든 연구팀의 연구자들은 정치한 경제 분석을 요구하는 학술지에 연구논문을 게재하는 연구자들이어서 목표달성을 위한 실적내용이 구체적이고 타당한가에 대한 평가점이 자동적으로 충족되는 것으로 평가된다.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또는 기대효과 등은 다음과 같이 기술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단의 연구주제는 한국경제의 이론적 체계의 모색과 실증연구이고, 연구단의 연구를 주류경제학의 프레임워크에서 진행하고 있다. 사회과학의 학문적인 발전과 현실적용성의 제고라는 측면에서 아젠다와 관련성이 높다. 본 연구주제의 장점은 한국적인 특성을 감안한 장기적인 연구주제를 진행하면서도 연구의 국제화를 달성 가능한 목표로 설정할 수 있고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연구단에서는 연구결과를 해외 저명학술지에의 게재와 전문도서 출판을 목표하고 있는 동시에 중앙은행과 재정당국의 정책수립에 보다 직접적인 함의가 있는 연구 결과의 산출도 제고하여 현실 적용가능성이 높은 연구를 하는 동시에 연구 결과의 학술적 가치도 국제적인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연구 성과가 학술적 가치를 지닐 뿐만 아니라 현실의 정책수립에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관련부서의 경제동향 간담회 및 정책 간담회에서 연구결과를 응용한 의견교환을 통하여 실제의 적용성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셋째, 본 연구단의 연구결과는 사회과학분야의 신진 연구인력 양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단의 연구결과를 대학원생들의 논문에 응용될 수 있도록 연구결과를 체계화 및 연구결과의 강의에서의 활용을 적극적으로 시도해왔다.
  • 색인어
  • 본 연구는 현재의 신흥경제국가군이 앞으로 세계경제의 견인차 역할을 다방면에서 담당할 것이라는 국제경제에 대한 비전에 더불어 다가올 현실경제의 이와 같은 변화가 차기 한국경제의 발전방향을 결정하는 요인이 될 것이라는 한국경제에 대한 비전을 출발점을 한다. 특히 이와 같은 대내외 경제에 대한 비전이 한국경제의 중장기적 발전에 미치는 효과를 이해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경제자료를 이용한 실증분석 및 실증분석결과에 의거하여 체계적으로 이론 체계를 정립하고자 한다.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