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백성들이 질병을 쉽게 구급할 수 있도록 간행된 《구급방》, 《구급간이방》, 《언해구급방》을 중심으로 의서들의 국어학적 특징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들 자료는 의학서로서의 가치뿐만 아니라 방대한 어휘와 표기, 음운, 문법 등 중세한국어 문헌 자료로 ...
이 글은 백성들이 질병을 쉽게 구급할 수 있도록 간행된 《구급방》, 《구급간이방》, 《언해구급방》을 중심으로 의서들의 국어학적 특징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들 자료는 의학서로서의 가치뿐만 아니라 방대한 어휘와 표기, 음운, 문법 등 중세한국어 문헌 자료로서도 그 가치가 매우 높다. 또한 이들 문헌들은 한문원문에 언해를 병기하고 있어 번역학적인 면에서도 그 가치가 크다. 이상에서 논의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장에서는 형태 서지와 내용 체계를 살펴보았다.
① 《구급방》과 《구급간이방》은 판심과 어미의 종류가 각 10가지와 14가지인 점으로 미루어 볼 때 두 문헌은 수차례 번각되었고, 그 번각시기를 추정해 보면, 《구급방》은 원간본의 번각본(1466년 이후) → 번각본의 번각판(15C말-16C초) → 보각판(16C 후반), 《구급간이방》은 원간본의 번각본(1490-1500년대) → 번각본의 번각판(1550년 이후)→ 보각판(1600년 이후)의 순서로 책이 만들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② 전체 목록은 164가지로, 비교 가능한 목록은 中風, 舌腫, 骨鯁, 墮壓傷, 失音, 鬼魘, 九竅出血, 吐血, 中寒, 難産, 霍亂, 纏喉風喉閉, 凍死, 溺死, 自縊死, 卒死 모두 16가지에 불과하다.
③ 각 문헌의 내용상 특징은 《구급방》은 발병의 원인과 증세에 관해 비교적 전문적이고 과학이고, 《구급간이방》은 양이 매우 방대하고 처방 또한 매우 다양하며,《언해구급방》은 《구급방》과 《구급간이방》에 비해 구체적이고 체계적이며, 처방의 마지막에 침구법을 다루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3장에서는 구급방류에 나타나는 문자 체계와 세 문헌의 표기 및 음운을 비교하였다.
① 《구급방》은 동국정운식 한자음을, 《구급간이방》과 《언해구급방》은 현실한자음으로 표기하고 있다. 《구급방》에서는 ‘’이 1회 나타나며, 《구급간이방》에서는 각자병서 ‘ㅉ’이 쓰였다.
② 연철, 분철, 중철 표기는《구급방》과 《구급간이방》에 비해 《언해구급방》이 연철의 빈도가 매우 낮은 수준이고, 분철과 중철의 빈도가 매우 우세함을 알 수 있었다. 모음조화에 있어서 《구급방》에서는 대체로 모음조화를 따르고 있었고, 《언해구급방》은 모음조화에 어긋난 표기가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셋째, 4장에서는 구급방류의 어휘를 사전에 등재되지 않은 어휘와 용례가 가장 앞선 시기인 어휘를 찾아 분석하였다.
① 사전에 등재되지 않은 어휘로는 《구급방》의 선행 연구에서 다루어진 어휘를 포함하여, 《구급간이방》에서는 ‘림질, 부목/브목, 새, 슈마, 투, 글구다, 두위여디다, 펴··갇‘ 《언해구급방》에서 ’고겨셕, 곱갓기다, 걱쉬다, 옴, 뒤틀다, 부들좃, ㄱㄱ, 산구화, 쇠진에, 잇기플, 잇츠다, 젼다, 나질, 디골피, 현호삭‘이 있었다.
② 용례가 가장 앞선 시기인 어휘로는 《구급방》에서는 ‘곰다, 믓고·기, , 신, 마기’, 《구급간이방》에서는 ‘고쵸, 구블, 이, 도·랏 ,:도·와:리, 마좀, 막딜·이다, 벽돌, 수유, 슴슴다, 시·욱, 어르·러지, , , , 딥지·즑, 머·릿곡뒤ㅎ, 미·긔·치, ·티다, 욕죠기다’, 《언해구급방》에서는 ‘쥐울(藺根), 서모난(三稜), 부거미’ 등이 있었다.
넷째, 5장에서는 원문의 한자와 언해문 고유어의 대응 양상을 고찰하여 구급방류 언해들의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① 고유어에 대응되는 한자들을 추출하여 각 문헌에 나타나는 한자들을 비교하였다. 고유어는 체언, 용언, 수식언으로, 체언은 다시 사람(신체, 성별, 호흡 및 배설), 곡물, 동물, 수량으로, 용언은 증세, 처방, 치유로 나눈 것이다. 또한 한자에 대응되는 고유어를 가나다 순으로 제시하였다.
② 같은 한자원문이 문헌별, 문맥별로 어떻게 언해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대체로 《구급방》에서는 한문원문의 순서에 맞추어 언해하였음을 알 수 있고, 《구급간이방》의 어순은 《구급방》에 비해 고유어 어순에 더 가까움을 알 수 있다. 또한 《구급방》에서 한자어가 많다는 점, 전문 용어가 많이 쓰인 점, 사동형이 많다는 점 등은 민간에서 직접 이 문헌을 보고 병을 구완했을 가능성보다는 전문지식이 있는 사람들에 의해 읽혀졌을 가능성을 생각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구급방》과 《구급간이방》 및 《언해구급방》 세 문헌이 지니고 있는 서지적인 특징에 근거하여 문자 체계, 표기, 어휘들을 비교․분석하고, 나아가 원문의 한자와 언해문의 고유어의 대응 양상을 고찰하는 데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