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예술인 음악의 연구를 위해서는 악보가 필요하지만 전통음악 가운데 판소리와 같은 음악은 구전되어 왔기 때문에 전통적인 악보가 부재하다. 연구자들이 개별적인 연구를 진행하면서 악보를 만들기도 하고, 한 바탕 전체를 악보화하려는 노력도 진행한 바 있으나 아직 ...
시간예술인 음악의 연구를 위해서는 악보가 필요하지만 전통음악 가운데 판소리와 같은 음악은 구전되어 왔기 때문에 전통적인 악보가 부재하다. 연구자들이 개별적인 연구를 진행하면서 악보를 만들기도 하고, 한 바탕 전체를 악보화하려는 노력도 진행한 바 있으나 아직은 매우 소수의 바디가 채보되었을 뿐이다. 특히 심청가의 경우 채보 악보도 드물고 연구 성과도 미약하여 본격적으로 다루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판소리의 음악 연구가 대부분 특정 대목의 연구에 그치는 것은 악보화하는 작업이 지난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큰 규모의 악보를 발간하는 일 역시 상업성의 부재로 힘든 상황이다. 이로 인해 현재 연구들이 판소리의 완판을 보지 못하고 미시적인 비교와 분석에 그치는 상황에 머물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을 넘어서고자 마련되었다. 다섯 바탕 가운데 특별히 심청가를 택한 이유는 심청가가 판소리 다섯 바탕 중 춘향가 다음으로 예술성이 높다고 하여 ‘소 춘향가’라고 불리기도 하는 만큼 선율적 구성과 형식적 짜임새가 탄탄하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비록 악곡의 크기 면에서 춘향가에 비해 작은 규모이나 오히려 판소리의 음악적 특징을 보다 압축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는 점에서도 연구의 대상으로 적합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전승되는 네 가지 유파의 심청가를 모두 채보하여 악보화하고 이들을 비교 분석하여 각 바디별 음악적 특성을 드러내는데 두고자 한다. 먼저 1차년도와 2차년도에는 2개씩의 유파를 채보함과 동시에 각 바디의 개별적 특성을 찾는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그리고 3차년도에는 모든 바디의 심청가를 음악적으로 비교ㆍ분석함으로써 바디별 특성과 심청가의 보편성이 어떻게 드러나는지 살펴볼 것이다.
기대효과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를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첫째, 판소리의 음악적 분석을 위한 연구모델로 활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판소리에 대한 연구는 관련 이론정립을 위해 다소 분절적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모든 바디의 심청가를 연구대상으로 ...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를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첫째, 판소리의 음악적 분석을 위한 연구모델로 활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판소리에 대한 연구는 관련 이론정립을 위해 다소 분절적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모든 바디의 심청가를 연구대상으로 삼고 이들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기존연구와 다르게 전체적 접근을 통해 심청가에 내재된 음악적 특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방법과 연구결과는 향후 판소리에 대한 음악적 특징을 보다 분명하게 제시하기 위한 연구에 효과적인 방법론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교육의 기초 자료로 사용함으로써 교육적 활용 효과를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심청가의 바디별 음악적 특징은 한국음악개론의 판소리 분야의 내용을 체계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교육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음악적 특징분석과 선율 구성 원리 구축은 국악 창작 분야에 기여할 수 있다. 결과로 도출된 음악적 구조와 특성에 대한 이해는 판소리 작창을 넘어 새로운 한국음악 창작에 커다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넷째, 여러 인접 학문과의 연계된 연구를 활성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음악학만의 논의가 아니라 판소리를 다루고 있는 여러 인접 학문들 즉, 국문학 및 민속학 등에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 동안 판소리의 구성 원리를 제시하기 위해 일부요소에 국한 되었던 시각에 음악적 이해를 더함으로써 그간의 누적된 연구 성과를 확대하고 나아가 판소리와 관련된 새로운 해석과 접근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연구요약
심청가는 정응민바디와 김채만바디(박동실바디), 김연수바디, 김창진바디가 전승되고 있다. 본 연구는 4명의 명창이 완창한 심청가를 모두 악보화하고 이를 분석하여 음악적 논의를 다양하게 구축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방대한 분량의 악보가 채보되어야 하고 이를 모 ...
심청가는 정응민바디와 김채만바디(박동실바디), 김연수바디, 김창진바디가 전승되고 있다. 본 연구는 4명의 명창이 완창한 심청가를 모두 악보화하고 이를 분석하여 음악적 논의를 다양하게 구축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방대한 분량의 악보가 채보되어야 하고 이를 모두 출판할 계획이므로 다년간의 연구가 필수적이다. 3차년도에 걸쳐 이루어질 연구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차년도에는 정응민바디와 박동실바디의 심청가를 채보할 것이다. 박유전이라는 한 인물로부터 비롯된 소리이기 때문에 일견 친연성이 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기존의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미적 지향을 하고 있음이 밝혀지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 역시 두 세 대목을 분석하여 비교한 것이므로 전반적인 논의에 이르지 못한 것이었다. 따라서 전체 악곡을 모두 채보하고 본격적으로 비교ㆍ분석한다면 보다 실체를 명확히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채보한 악보를 대상으로 정응민바디와 박동실바디 심청가의 각각의 특성에 대한 논의, 두 바디의 비교 논의가 모두 가능할 것이다. 전체를 채보했다는 장점을 살려 바디 전체의 음악적 구성과 바디별 차이점을 논의하는 연구 논문을 작성할 것이다. 2차년도에는 김연수바디와 박동진바디의 심청가를 채보할 것이다. 두 사람은 정응민바디나 김채만바디와 달리 직접 더늠을 만들어 넣기도 하고 개작하기도 한 인물들이므로 음악적인 구도에 큰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위의 표에서 박동진과 김연수가 김채만바디나 정응민바디와 달리 많은 대목 수를 보유하고 있음을 볼 수 있으며 장단구성도 사뭇 다른 구성을 보이고 있다. 음악적 분석을 해보면 더욱 흥미로운 결과가 도출될 것으로 생각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본 연구는 판소리 심청가 한 바탕을 모두 채보하여 악보로 만들었으며, 여기에 분석과 해설을 더한 자료집을 만들었다. 또 악보 분석을 바탕으로 판소리 악조 활용의 관계조를 파악하여 정리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판소리 악조 분석 방법과 심청가의 바디별 특성을 밝히는 ...
본 연구는 판소리 심청가 한 바탕을 모두 채보하여 악보로 만들었으며, 여기에 분석과 해설을 더한 자료집을 만들었다. 또 악보 분석을 바탕으로 판소리 악조 활용의 관계조를 파악하여 정리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판소리 악조 분석 방법과 심청가의 바디별 특성을 밝히는 연구 성과를 거두었다. 심청가는 정응민 바디의 정권진 창 심청가를 중심으로 하되 박동실 바디의 한애순 창을 함께 비교하였으며, 유성기음반에 남아 있는 충청도 중고제의 방진관의 소리도 분석하여 바디별 음악적 차이점이 얼마나 폭이 넓을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여러 연구 결과 가운데 가장 의미있는 결과로는 판소리 악조의 관계조를 파악했다는 점이다. 서양음악의 관계조와 유사한 면도 있지만 서양음악에서 사용하지 않던 변조 방식이 판소리에서 사용되고 있어서 흥미로운 결과가 도출되었다고 본다. 이외에도 채보와 분석의 방법론 구축, 방진관의 중고제 심청가를 비롯한 지역별 바디별 음악적 차이, 정권진의 더늠 단가 효도가를 중심으로 한 판소리의 음악어법 확장의 방법 등도 살펴보았다.
영문
This study transcribed, composed music, and conducted musical analysis on Pansori Shimchungga; found the relative keys in the application of pansori musical tone; and finally proposed the analysis method for pansori musical tone and the characteristic ...
This study transcribed, composed music, and conducted musical analysis on Pansori Shimchungga; found the relative keys in the application of pansori musical tone; and finally proposed the analysis method for pansori musical tone and the characteristics of Shimchungga bodi. The kind of Shimgchungga used for this study is Jung, Eungmin’s bodi and Jung, Kwonchang chang Shimchungga which was compared to Park, Dongsil’s bodi and Bang, Jinkwan’s sori in order to find out the range of musical differences in bodi. The most notable accomplishment is that this study figured out the relative tone of pansori tone among all other things. This would not have been possible if the whole pansori had not been transcribe and analyzed. Based on the transposition or the original tone prior to the transposition, the byunchung on the 4th note higher is named utchungjo; hachungjo for the byunchang on the 4th note lower; and transposition with the same bonchung bonchungjo; transposition on the same key signature naranhanjo, utchungjo of naranhanjo, hachungjo of naranhanjo, etc. Compared to relative tone of the western music, transpositions such as utchongju of naranhanjo and hachungjo of naranhanjo are only used in pansori, which calls for special attention to it. Individual research were also conducted which were related to the transcription work of the whole note and analysis. The first year organized the temporary byunchung, frequently used in kyemyeonjo, and the use of such byunchung was compared by bodi and was used to draw differences between musical realization. This was meaningful in a way that it was used for the following transcription and analysis. The second year examined Bang, Jinkwan’s Junggoje Shimchungga and looked at the regional differences by finding the existence of butimsae which was similar to the gut rhythm of southern Kyunggido Dodanggut. The third year focused on the existence of danga hyodoga inserted by Jung, Kwonjin as deonum and examined on the detailed method for expanding the musical grammar of pansori that Shimchungga can flexibly change, not a fixed item.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본 연구는 판소리 심청가 한 바탕을 모두 채보하여 악보화하고 음악 분석을 실시하여 판소리 악조 활용의 관계조를 파악하여 정리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판소리 악조 분석 방법과 심청가의 바디별 특성을 밝히는 연구 성과를 거두었다. 심청가는 정응민 바디의 정권진 창 ...
본 연구는 판소리 심청가 한 바탕을 모두 채보하여 악보화하고 음악 분석을 실시하여 판소리 악조 활용의 관계조를 파악하여 정리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판소리 악조 분석 방법과 심청가의 바디별 특성을 밝히는 연구 성과를 거두었다. 심청가는 정응민 바디의 정권진 창 심청가를 중심으로 하되 박동실 바디의 한애순 창을 함께 비교하였으며, 유성기음반에 남아 있는 충청도 중고제의 방진관의 소리도 분석하여 바디별 음악적 차이점이 얼마나 폭이 넓을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여러 연구 결과 가운데 가장 의미있는 결과로는 판소리 악조의 관계조를 파악했다는 점이다. 이는 한 바탕의 판소리를 모두 채보하여 분석하는 과정 없이는 추출할 수 없었을 내용이다. 변조나 변청 이전의 본래 악조를 기준으로 4도 위의 변청은 엇청조, 4도 아래로의 변청은 하청조, 같은 본청이지만 변조되는 경우는 같은 본청조, 같은 조표를 사용하지만 변조되는 경우는 나란한조, 나란한조의 엇청조와 나란한조의 하청조 등으로 명명하였다. 서양음악의 관계조와 비교하면 나란한조의 엇청조, 나란한조의 하청조 등으로의 변조는 판소리에서만 사용되는 것이어서 더욱 주목된다. 전체 악보 채보와 분석 이외에도 연계되는 개별 연구들도 함께 진행하였다. 1차년도에는 계면조에서 많이 사용되는 일시적 변청의 양상을 정리하였으며, 이러한 변청의 사용을 바디별로 비교하여 음악적 구현방법의 차이를 드러내었다. 이는 이후 채보와 분석작업의 방법론 구축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는 논의였다. 2차년도에는 방진관의 중고제 심청가를 살펴보았으며, 중고제 소리에서 경기도 남부 도당굿의 굿 장단과 유사한 붙임새의 존재를 찾아내어 지역적 특성이 어떻게 드러나는지 살펴보았다. 3차년도에는 정권진이 더늠으로 심청가에 넣은 단가 효도가의 존재를 중심으로 심청가가 고정적 대상이 아니라 유동적으로 변화되어갈 수 있다는 점, 그리고 그러한 사례를 통해 판소리의 음악어법 확장의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물은 다음과 같이 활용될 수 있다. 첫째, 판소리의 음악적 분석을 위한 연구모델로 활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판소리에 대한 연구는 관련 이론정립을 위해 다소 분절적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모든 바디의 심청가를 연구대상으로 삼고 ...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물은 다음과 같이 활용될 수 있다. 첫째, 판소리의 음악적 분석을 위한 연구모델로 활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판소리에 대한 연구는 관련 이론정립을 위해 다소 분절적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모든 바디의 심청가를 연구대상으로 삼고 이들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기존연구와 다르게 전체적 접근을 통해 심청가에 내재된 음악적 특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과 연구결과는 향후 판소리에 대한 음악적 특징을 보다 분명하게 제시하기 위한 연구에 효과적인 방법론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해석이 곁들여진 악보를 통해 판소리 분석 실습을 해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둘째, 교육의 기초 자료로 사용함으로써 교육적 활용 효과를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었던 심청가의 악조 관계도와 음악적 특징은 한국음악개론의 판소리 분야의 내용을 체계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교육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음악적 특징분석과 선율 구성 원리 구축은 국악 창작 분야에 기여할 수 있다. 결과로 도출된 음악적 구조와 특성에 대한 이해는 판소리 작창을 넘어 새로운 한국음악 창작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넷째, 여러 인접 학문과의 연계된 연구를 활성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음악학만의 논의가 아니라 판소리를 다루고 있는 여러 인접 학문들 즉, 국문학 및 민속학 등에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 동안 판소리의 구성 원리를 제시하기 위해 일부요소에 국한 되었던 시각에 음악적 이해를 더함으로써 그간의 누적된 연구 성과를 확대하고 나아가 판소리와 관련된 새로운 해석과 접근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