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중국 TV 드라마의 역사 : 드라마를 통한 당대 중국인의 인식
History of Chinese TV Drama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2S1A5B5A07037475
선정년도 2012 년
연구기간 1 년 (2012년 09월 01일 ~ 2013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김은수
연구수행기관 상명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중국 당대 역사극에 대한 이해의 심화를 위한 작업의 일환

    첫 번째 목적 및 필요성은 다음입니다. 중국 역사극 이해를 위한 기초 작업의 일환으로써 「중국 TV드라마의 역사에 대한 이해와 드라마를 통한 당대 중국인들의 인식」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신청자는 2009년에 베이징 사범대학에서 중국 근현대 문화사 연구자인 고 공서탁 교수에게서 「歷史和電視歷史劇」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귀국 이후 본인의 박사 연구를 심화시키기 위해, 박사 논문의 일부를 수정 보완해서 발표하고 있으며, 연구 분야의 심화를 위해 작년에 「화극(話劇) ‘역사극’을 통해 본 TV 역사드라마의 전제 이해」라는 제목으로 중국 TV 역사극의 전사(前史)를 살펴보았습니다.
    그 과정에서 신청자는 TV 역사극의 이해를 위해서는 TV 드라마의 전체적인 역사를 파악해야 할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었습니다. TV 드라마는 중국 당국의 대중문화 정책과 대중들의 사회문화적 욕구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TV 역사극을 통해 중국 당국의 대중문화 정책과 대중들의 사회문화적 욕구를 연구하려는 신청자의 입장에서는 우선 TV 드라마의 역사적인 흐름을 이해해야 합니다.

    2) 당대 중국의 정치, 사회, 문화에 대한 이해를 위한 통로

    본 연구의 두 번째 목적 및 필요성은 다음입니다. 중국 TV드라마에 대한 역사적 흐름과 함께 중요한 드라마들에 대한 검토를 통해, 각 시기마다 중국의 정치, 사회, 문화와 드라마의 상호작용을 살펴보는 것입니다.
    TV 드라마는 중국 당국의 대중문화 정책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즉 TV 드라마에 대한 정책은 중국의 정치적 상황과 밀접한 관련성을 갖고 변화해왔습니다. 따라서 드라마에 대한 정책과 드라마의 내용을 살펴보면 중국의 정치적 변화를 보다 심층적으로 인식할 수 있습니다. 물론 그 반대도 필수적입니다. 드라마에 대한 역사적 인식은 중국 정부의 정치적 변화를 염두에 두어야합니다.
    TV 드라마는 중국 대중들의 사회문화적 욕구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중국 정부는 드라마가 갖는 대중의 교육적 영향력을 충분히 인식해왔습니다. 따라서 드라마는 중국 정부가 대중들을 사회문화적으로 어떠한 방향으로 이끌어가려는가 하는 점을 살펴볼 수 있는 통로입니다. 드라마는 반대로 중국 대중들의 사회문화적 현실과 욕구를 검토할 수 있는 통로이기도 합니다.

    3) 당대 중국의 대중 생활과 관심사에 대한 이해를 위한 통로

    본 연구의 세 번째 목적 및 필요성은 다음입니다. 각 시기 중국 TV드라마의 내용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각 시기마다 중국인들의 생활 문화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것입니다.
    TV 드라마는 제작자와 정부 당국의 목적의식과 의도가 반영된다고 하더라도, 대중들의 생활상과 대중들의 관심사를 반영할 수밖에 없습니다. 중국과 같이 대중문화를 정부의 선전활동과 직결시키는 국가에서도 위와 같은 드라마의 특성을 완전히 말살할 수는 없습니다. 대중과 완전히 유리된 드라마는 대중에게 외면당할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1958년 이래 중국에서 만들어진 TV 드라마에는 각 제작 시기 중국의 대중 생활과 대중들의 관심사가 반영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각 시기의 대표적인 드라마들을 살펴보고 분석한다면, 문화사와 생활사 등의 측면에서 당대 중국사 연구에 새로운 내용들을 더할 수 있을 것입니다.

    4) 당대 중국사 교육을 위한 미시사적 사례 제공

    본 연구의 네 번째 목적 및 필요성은 다음입니다. 각 시기 대표적인 중국 TV드라마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한 제시를 통해, 각 시기마다 중국인들의 생활 문화에 대한 현실적인 사례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세 번째 연구 목적을 달성하게 되면 각 시기의 정치 사회적 흐름이 중국인들의 생활 문화에서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구체적인 사례를 밝혀낼 수 있을 것입니다.
    신청자도 현재 모 대학에서 중국근현대사를 강의하고 있는데, 중국근현대사의 내용은 주로 정치적 흐름과 약간의 경제적 흐름에 치우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이 학생들에게 중국근현대사의 전반적인 전개를 이해시키는 데에는 일정 정도 역할을 하지만, 당대 중국의 상황에 대해 낯설어하는 학생들이 쉽게 다가갈 수 없는 점도 있습니다.
    이제 신청자의 연구가 위에서 제기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면, 중국 당대사의 각 시기 예컨대 대약진시기, 1960년대 초반 조정기, 문화대혁명시기, 개혁개방초기, 남순강화시기, 경제급성장 시기, 대국굴기 시기의 중국인들의 일상 생활과 욕구에 대한 미시사적인 구체적 사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일반인들의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된 사실들을 통해 학생들은 당대 중국의 상황에 대해 보다 현실적인 인식을 갖게 만들 수 있을 것입니다.
  • 기대효과
  • 1) 새로운 내용

    과거 역사극의 창작방법을 둘러싼 가장 중요한 이론 문제인 ‘역사진실과 예술진실의 통일’ 은 역사극의 창작 방법상에서 역사 사실과 예술적 허구성 가운데 어느 것을 더 중시해야 하는지를 둘러싼 역사학자와 문학가의 입장이 팽팽히 맞섰다. 그런데 80년대에 들어서 이러한 논쟁은 더 이상 무의미하며, 역사극은 보는 사람들의 지식수준과 관점에 따라서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다는 수용자의 측면을 강조하는 새로운 견해가 등장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입장을 기본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기존의 연구들은 각각 시대에 벌어진 논쟁들이 각 시대의 어떠한 사조의 흐름과 연관되어서 벌어졌는지, 시대적 의미가 거의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가 중시하는 새로운 내용은 각 시대의 사조와 논쟁의 관련성을 보다 명확하게 제시하고, 나아가서는 역사연구/역사극과 시대의 관련성을 밝혀내는 것이다.
    아울러 중국은 다른 여러 나라에 비해 텔레비전 역사드라마가 역사교과서의 역할을 하면서 역사를 이해하는 보다 중요한 경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역사극이 당시 대중들에게 미친 영향과 대중들의 반응을 조금 더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나아가 본 연구는 국내에서 최근 부분적으로 연구되어지는 영상사학에 일정 정도 새로운 방향과 다른 시각을 제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현재 한국의 영상사학은 역사적 사실과 시대적 정황에 부합되는 역사적 상상력의 결합이 사극의 지향점이라는 결론을 도출하고 있는데, 이것은 중국에서 이미 제기되어 도출된 결론과 비슷한 것이다. 또한 사극이 반영한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시대의식을 읽어내고, 그것을 만드는 사람들의 사관까지도 읽어낼 필요가 있다고 하는 주장이 한국에서도 제기되고 있다. 본인의 중국의 TV 역사극에 대한 연구는 이러한 한국의 영상사학 연구에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2) 교육

    (1) 교육 내용

    이 작업의 수행을 통해 현장 교육에서 많은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현재 본인이 진행하고 있는 교육 내용은 A대학교에서 <평화와 공존의 동아시아 역사>와 역사콘텐츠학과에서 <백화사료를 통한 당대 중국문화 읽기>를 강의하고 있습니다. 또 B대학교에서는 <중국 근현대사>사 교육대학원의 <영상으로 교육하는 중국현대사>를 강의하고 있습니다.
    <평화와 공존의 동아시아 역사>는 고대부터 현재까지의 동아시아 역사를 중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강의합니다. <백화사료를 통한 당대 중국문화 읽기>라는 수업은 중국어 자료 강독 수업이지만, 이때 읽은 자료들은 과의 특성상 현재 중국의 문화, 특히 TV 드라마와 관련된 자료들입니다.
    <중국 근현대사>는 19세기부터 현재까지 중국의 역사를 강의합니다. <영상으로 교육하는 중국현대사>는 중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중국현대사 수업인데, 수업 과정에서 영상 자료들을 어떻게 이용할 것인가에 대한 이론, 실습입니다.

    (2) 교육으로의 환류

    교육으로의 환류 측면에서 볼 떄 본인의 금번 연구는 우선 중국 현대 문화산업과 관련된 <백화사료를 통한 당대 중국문화 읽기>에서, 학생들의 중국의 연극, 드라마와 관련된 백화문 사료들을 읽기 위한 사전지식 확보에 커다란 도움을 줄 것입니다. 구체적으로 보면 수업에서 읽을 사료와 세미나에는 "중국의 TV 드라마 극본 및 드라마를 둘러싼 논쟁들"입니다. 따라서 우선 저는 본 연구를 수행하면서 수업과 관련된 자세한 정보와 함께 저의 관점을 확고히 가질 수 있을 것이며, 학생들은 앞으로 위 수업을 진행할 때 저의 연구를 통해 기초적인 이해를 갖춘 뒤 사료 읽기를 해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영상으로 교육하는 중국현대사> 수업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어떠한 드라마 자료들을 중국현대사 수업에서 사용할 수 있겠는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나아가 본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중국 당대사의 각 시기 예컨대 대약진시기, 1960년대 초반 조정기, 문화대혁명시기, 개혁개방초기, 남순강화시기, 경제성장시기, 대국굴기시기의 중국인들의 일상생활과 욕구에 대한 미시사적인 구체적 사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일반인들의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된 사실들을 통해 학생들로 하여금 당대 중국의 상황에 대해 보다 현실적인 인식을 갖게 만들 수 있을 것입니다.
  • 연구요약
  • 중국에서 최초의 드라마는 1958년 베이징방송국의 『一口菜餠子』로, 이 드라마는 방송국의 텔레비전 스튜디오에서 생방송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이 드라마는 대약진 운동 시기 당 중앙에서 추진하고 있던 “億苦思甛”, “節約糧食”의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드라마의 내용은 식사를 마친 여동생이 떡으로 강아지를 약 올리는 것을 본 언니가 여동생을 야단치며 예전 생활의 비참함에 대해 이야기를 시작합니다. 결국 언니의 이야기를 다 들은 동생은 뼈저리게 후회하며 과거의 고난했던 세월을 잊지 않겠다고 다짐을 하는 것으로 드라마는 끝이 납니다. 당 중앙의 극좌노선을 선전하고 있는 이 드라마는 정책의 실패가 야기한 사회의 문제점을 비판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구사회의 고난함을 더 부각시킴으로써 당시 중국사회의 대약진 운동의 실패를 숨기려는 의도를 담고 있습니다.
    문화대혁명의 정치적 탄압은 텔레비전 드라마 분야도 피할 수 없었습니다. 드라마 역시 단순한 정치의 선전 도구가 되었는데 1967년 제작된 드라마 『考場上的反修鬪爭』은 최초로 녹화 제작된 흑백드라마입니다. 이 드라마는 중국 유학생이 소련 대학시험을 치루면서, 미하일 숄로호프의 단편소설 『인간의 운명』둘러싸고 벌어지는 논쟁을 다루고 있습니다. 논쟁의 초점은 어떻게 반파시스트 전쟁을 평가할 것인가에 집중되고 있습니다.

    1979년 7월 14일 중앙 방송국은 상해 방송국이 녹화 제작한 『永不凋謝的紅花』를 방송하는데 이는 중국 드라마의 부흥을 예고하는 것이었습니다. 이후 같은 해 방송된 『有一個靑年』도 젊은 지식인들이 과거 정치의 도구화로 이용된 자신을 반성하고 각성하는 모습을 그리고 있습니다. 문화대혁명의 결속 이후 지식인들의 반성과 보통 사람(凡人)을 주인공으로 내세운 드라마는 80년대 초 드라마의 주류를 이루었습니다.

    1978년에는 유고슬라비아 대통령의 방중을 기념하면서 유고슬라비아의 영화를 방송하게 되는데, 이는 외화가 중국 텔레비전에서 방송된 최초의 사례입니다. 이후 두 편의 미국 드라마의 주인공에게 열광하는 젊은 중국인들에게 우려의 시선과 함께 많은 비판이 이루어집니다. 이것은 곧 중국의 “미남계” 드라마의 창작으로 발전되었습니다. 1981년 2월 중앙 방송국은 중국 최초의 연속극 『敵營十八年』을 녹화 제작하여 방송하게 됩니다. 그 내용은 위협에도 굴하지 않고, 부귀에도 현혹되지 않고, 가난해도 뜻을 바꾸지 않는 절개가 굳은 공산당원을 그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드라마는 유행을 너무 추구한 나머지 왜곡된 공산당원을 묘사하고 있다고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개혁개방과 서구사상의 유입은 드라마 창작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 것입니다.
    90년대에 들어서면서 중국 특색의 자본주의 경제는 대중문화 영역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습니다. 상품경제의 발전은 권리로 사욕을 도모하고, 부를 도모하는 금전만능주의 현상을 가져왔습니다. 이에 중국인들은 선량하고 품성이 곱고 남을 먼저 생각하는 전통의 아름다운 미덕을 갈망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대중의 심리적인 욕구에 따라 북경 방송국은 북경의 보통 사람들의 일상을 그린 『渴望』을 제작하였습니다. 여주인공 劉慧芳의 선량하고 어진 중화민족의 전통적인 미덕을 갖춘 여성상을 묘사하여 많은 시청자들의 관심과 심금을 울려, 『渴望』은 당시 사람들에게 가장 많은 관심을 받는 화제가 되었습니다.
    1997년 홍콩의 중국반환과 1999년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50주년을 맞아 중국의 드라마 역시 이와 같은 분위기를 반영하였습니다. 특히 1999년 방송된 역사드라마『擁正王朝』는 세기 말 강력한 국가, 통치자에 대한 중국인들의 심리를 반영하여 당시 최고 시청률을 기록하였습니다.
    21세기에 진입하면서 중국 드라마는 홍색 열풍과 맞물려 중국공산당의 위대한 업적을 칭송하는 드라마를 연이어 제작하고 있는 것이 그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長征』은 제1차 혁명전쟁시기 병사의 대이동을 그렸고,『突出重圍』은 제2차 국내혁명전쟁시기 중원을 옮겨 가면서 싸운 이야기입니다. 역사드라마도 세기말의 청사 열풍을 이어받아, 『太平天國』、『康熙王朝』、『一代廉吏于成龍』등과 같은 드라마가 제작되었습니다. 무엇보다 혁명의 이념이 아닌 근대국가의 수립이라는 측면이 강조된 『走向共和』의 제작과 방송은 변화된 중국 방송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좋은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신세기 중국드라마의 또 다른 특징 가운데 하나는 도시와 농촌의 현실에 전면적으로 개입함으로써 대중들의 생활을 인식하고 관심을 갖는다는 것입니다. 이는 정치극과 법제극、공안극의 출현을 야기시켰습니다. 『忠誠』、『絶對權力』、『國家訴訟』、『大法官』같은 드라마를 통하여 현재 중국의 법제 현황을 되돌아보는 계기를 마련하였습니다
  • 한글키워드
  • TV 드라마, 『一口菜餠子』, 『渴望』, 대중문화, 미시사, 생활사
  • 영문키워드
  • TV Drama, 『A piece of cake』, 『Desire』, popular culture, micro history, life history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중국에서 TV 드라마는 중국 당국의 대중문화 정책과 대중들의 사회문화적 욕구를 반영하고 있다. 이것은 TV 드라마가 문화의 한 장르로서‘예술은 정치를 위해 이용되어야 한다’、‘국가의식을 전달하고 교육하는 수단이다’라고 하는 전통적인 문화 인식의 출발과도 상통하는 것이다.
    과거 역사극이 창작될 때 당시의 정치상황이 반영되어 창작된 것과 마찬가지로, 현재 TV 역사드라마는 당대 중국의 국가의식을 반영하고 그것을 선전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아울러 대중문화의 한 장르가 된 TV 드라마 가운데 특히 역사드라마는 공연 위주의 과거 역사극과는 다르게 많은 대중을 확보하고 그에 따른 시청률을 보장이 있어야 하는 대중문화의 또 다른 측면도 고려해야 한다. TV 역사극은 과거 문예 정책으로서의 전통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 외에도 대중들의 사회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그들의 입장을 반영하는 측면에서의 연구도 필요하다.
    TV 역사드라마의 이해를 위해서는 중국 TV 드라마의 전체적인 역사를 파악해야 할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었다. 다른 무엇보다 TV 드라마는 중국 당국의 정치와 문화 정책을 반영하는 도구이자 대중들의 사회문화적 욕구를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TV 역사드라마를 통해 중국 당국의 대중문화 정책과 대중들의 사회문화적 욕구를 연구하려는 본인의 입장에서는 우선 TV 드라마의 역사적인 흐름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리하여 앞으로의 연구를 위한 과정으로서 그 바탕이 될 수 있는 TV 드라마의 역사를 살펴보고자 했다.
  • 영문
  • Historical plays are not history textbooks. For the laypeople, however, historical plays are a major source for their knowledge in history, and as a result, these television shows form their historical perspectives.
    In our contemporary information society, the influence of television expands; especially that of the scripted shows. Following the trend, historical play also changed its venue from the theater stage to the TV screen.
    A historical play is an important form of art that reflects the Chinese society when the play was written. Hence, it is the responsibility of both the creative director and the historian. When the combination of both inputs becomes harmonious, presentation of historical background in the historical plays will become less ideological and therefore more acceptable as an alternative of history textbook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중국에서 TV 드라마는 중국 당국의 대중문화 정책과 대중들의 사회문화적 욕구를 반영하고 있다. 이것은 TV 드라마가 문화의 한 장르로서‘예술은 정치를 위해 이용되어야 한다’、‘국가의식을 전달하고 교육하는 수단이다’라고 하는 전통적인 문화 인식의 출발과도 상통하는 것이다.
    본인은 박사학위 논문인 「歷史和電視歷史劇」에서 다음의 내용을 밝혔다. 과거 역사극이 창작될 때 당시의 정치상황이 반영되어 창작된 것과 마찬가지로, 현재 TV 역사드라마는 당대 중국의 국가의식을 반영하고 그것을 선전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아울러 대중문화의 한 장르가 된 TV 드라마 가운데 특히 역사드라마는 공연 위주의 과거 역사극과는 다르게 많은 대중을 확보하고 그에 따른 시청률을 보장이 있어야 하는 대중문화의 또 다른 측면도 고려해야 한다. TV 역사극은 과거 문예 정책으로서의 전통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 외에도 대중들의 사회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그들의 입장을 반영하는 측면에서의 연구도 필요하다.
    위 연구 분야의 심화를 위해 먼저 「화극(話劇) ‘역사극’을 통해 본 TV 역사드라마의 전제 이해」라는 제목으로 중국 TV 역사극의 전사(前史)를 살펴보았다. 중국에서 역사에서 소재를 찾아 극을 만드는 것은 고대에서부터 시작되었지만, TV 역사드라마의 시작은 오히려 근대극인 ‘화극’에서 찾고 있다. 화극은 20세기 초반에 서구로부터 들어온 외래 양식으로 대사, 즉 ‘말(話)’을 표현의 주요 수단으로 삼는다고 해서 화극이라 부른다. 이 화극에서 ‘역사극’이라는 개념과 용어가 생겨나고 이때부터 역사극이라는 장르로서의 창작이 이루어졌다. 이 화극의‘역사극’은 TV 역사드라마의 발전과 무관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첫째, TV 역사드라마가 당대를 묘사하고 풍자한다는 서사방식으로서의 역사극의 전통을 반영하여 당대 중국의 모습을 그려내고 풍자한다는 것이다. 둘째, 중국에서 제작되고 있는 TV 역사드라마의 성격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논쟁은 이미 화극의 역사극에서 시작되었다는 것이다. 이 논의의 쟁점 가운데 가장 중요한 ‘역사진실과 예술진실의 문제’는 현재 TV 역사드라마에도 ‘正劇’과 ‘戱說劇’이라는 장르를 구분하는 기점이 되어 여전히 유효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거치면서 본인은 TV 역사드라마의 이해를 위해서는 중국 TV 드라마의 전체적인 역사를 파악해야 할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었다. 다른 무엇보다 TV 드라마는 중국 당국의 정치와 문화 정책을 반영하는 도구이자 대중들의 사회문화적 욕구를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TV 역사드라마를 통해 중국 당국의 대중문화 정책과 대중들의 사회문화적 욕구를 연구하려는 본인의 입장에서는 우선 TV 드라마의 역사적인 흐름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리하여 앞으로의 연구를 위한 과정으로서 그 바탕이 될 수 있는 TV 드라마의 역사를 살펴보고자 했다.
    중국 TV 드라마에 대한 역사적 흐름과 함께 중요한 드라마들에 대한 검토와 내용의 분석을 통해, 각 시기마다 중국의 정치와 문화 그리고 TV 드라마의 상호작용을 분석하고 있다. 아울러 대중문화로서 TV 드라마에 반영된 대중들의 생활상과 관심을 반영한다는 측면도 살펴보고자 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과거 역사극과 관련된 가장 격렬한 이론의 논쟁점은 ‘역사진실과 예술진실의 통일’의 문제였다. 역사극의 창작 방법상에서 역사 사실과 예술적 허구성 가운데 어느 것을 더 중시해야 하는지를 둘러싸고 역사학자와 문학가의 입장이 팽팽히 맞섰다. 그런데 80년대에 들어서 이러한 논쟁은 더 이상 무의미하며, 역사극은 보는 사람들의 지식수준과 관점에 따라서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다는 수용자의 측면을 강조하는 새로운 견해가 등장하였고, 본 연구는 이러한 입장을 기본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기존의 연구들은 각각 시대에 벌어진 논쟁들이 각 시대의 어떠한 사조의 흐름과 연관되어서 벌어졌는지, 시대적 의미가 거의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각 시대의 사조와 정치적 상황을 보다 명확하게 제시하고, 이것이 역사연구、역사극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시대와의 관련성을 밝혀내는 것이다.
    아울러 중국은 다른 여러 나라와 달리 TV 역사드라마가 역사교과서의 역할을 하면서 역사를 이해하는 보다 중요한 경로가 되고 있다고 말한다. 따라서 각 시기 TV 역사드라마의 역사를 통해 당시 대중들에게 미친 영향과 대중들의 반응을 조금 더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1. 한국 학계에 대한 도움
    현재 한국의 중국근현대사학계에서는 문화사나 思潮史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미흡한 편입니다. 또한 중국 현대사(1949년 이후)에 대한 연구도 막 시작한 상황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대 중국의 정치적 흐름과 TV 드라마 역사를 살펴보는 본 연구는 현대 중국을 이해하는데 일정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며, 또한 대중문화와 문예에 대한 역사학적 연구의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나아가 국내에서 최근 부분적으로 연구되어지는 영상사학에 일정 정도 새로운 방향과 다른 시각을 제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현재 한국의 영상사학은 역사적 사실과 시대적 정황에 부합되는 역사적 상상력의 결합이 사극의 지향점이라는 결론을 도출하고 있는데, 이것은 중국에서 이미 제기되어 도출된 결론과 비슷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사극이 반영한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시대의식을 읽어내고, 그것을 만드는 사람들의 사관까지도 읽어낼 필요가 있다고 하는 주장이 한국에서도 제기되고 있는데, 본인의 연구는 이러한 한국의 영상사학 연구에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2. 역사 교육에의 활용
    현재 한국의 대학교육에서는 중국 당대에 대한 교육과정이 그 필요성에 비해 매우 미흡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피교육자들에게 보다 손쉽게 관심을 끌 수 있는 TV 드라마라는 소재를 다루고 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해서 당대 중국을 이해시키는 것은 피교육자들의 관심도를 제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쉽게 이해시킬 수 있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최근 역사교육계에서 교육의 다양한 통로의 하나로 관심을 갖게 된 ‘드라마를 통한 교육’의 방법론적인 모색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3. 사회에서의 활용
    우리나라와 중국과의 교류는 앞으로 더욱 활발해질 것이다. 그때 중국 드라마의 수입뿐만 아니라, 중국과 한국이 합작해서 드라마를 제작할 때에 중국의 상황을 이해할 수 있는 기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TV 드라마, 『一口菜餠子』, 『渴望』, 대중문화, 미시사, 생활사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