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호텔 및 관광전공 학생들의 직업선택에 대한 직업가치 연구: 수단-목적 사슬모형 및 래더링 기법의 적용
A Study on the Occupational Value of Occupational Choice in Hotel and Tourism College Students: An Application of Means-End Chain Model and Laddering Technique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3S1A5A8021079
선정년도 2013 년
연구기간 1 년 (2013년 05월 01일 ~ 2014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최우성
연구수행기관 호남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과거의 기업의 채용정책이 다수의 구직자 중 기업에 적합한 인재를 채용하는 것 이였다면 앞으로는 구직자의 입장에서 구직자가 원하는 직업과 가치가 무엇인지를 파악하여야 할 것이다. 즉, 우수한 인재를 채용하기 위해서는 구직자의 관점에서 직업선택 및 직업가치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구직자의 인지구조를 이해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직업선택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직업선택요인을 밝히는 연구(Gottfredson, 1981; Casado, 1992; 서우석, 1994), 직업선택에 관한 실태조사(조일규, 1991), 직업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에 대한 연구(직업가치, 진로장벽, 성역할, 직무환경 등) 직업선택과 나타날 수 있는 결과변인에 관한 연구(만족도, 이직, 추천의도 등) 등 단순히 영향관계만을 살피는 연구로 한정되어 진행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직업선택과 관련하여 구직자가 원하는 궁극적인 가치를 파악하기 위해 수단-목적 사슬이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즉 구직자의 직업선택동기와 이를 통해 구직자가 얻을 수 있는 혜택 혹은 결과 그리고 그럼으로써 개인이 얻을 수 있는 궁극적인 가치를 파악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목적을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첫째, 전문가 집단(호텔 및 관광분야 인사담당자, 교육학 전문가, 대학취업지도담당자)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통해 구직자의 직업선택동기, 직업적 혜택, 직업가치에 대한 문항을 개발한다.
    둘째,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4학년을 대상으로 소프트 래더링을 통해 구직자의 직업가치항목과 혜택항목 그리고 직업선택동기항목을 추출하고 최종 직업가치추구를 위해 어떤 선택동기와 혜택을 선택하는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셋째, 소프트 래더링에 의해 얻어진 자료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써 하드 래더링 종이 설문지 기법을 시행하고 이를 이용하여 2개의 분류(전문대:4년제, 남자:여자)에 따라 직업선택동기, 혜택 그리고 직업가치 간에는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를 파악하여 가치계층도(HVM: Hierarchical Value Map)로 작성하여 구직자들이 갖는 가치구조를 파악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이론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기존의 직업선택와 관련된 연구들은 대부분 변수들간의 영향관계 및 직업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 및 결과변수 도출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단순 영향관계 검증이 아닌 구직자의 직업선택동기와 이를 통해 구직자가 얻을 수 있는 혜택 혹은 결과 그리고 그럼으로써 개인이 얻을 수 있는 궁극적인 가치를 파악하고자 한다.
    둘째, 직업가치 도출에 있어 새로운 연구방법론을 이용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마케팅 분야에서 가치도출을 위해 사용되는 수단-목적 사슬모형(Means-End Chain Model)을 이용하여 직업가치를 도출하고자 하며 더불어 MEC 방법론을 인사조직관리분야에 적용하고자 한다.
    셋째, 기존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변수들(직업선택속성, 직업적 혜택, 직업가치)을 측정함에 있어 단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측정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래더링 기법을 이용하여 전문가와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호텔 및 관광분야의 직업선택속성, 직업적 혜택, 직업가치에 대한 새로운 측정항목을 개발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호텔 및 관광분야의 직업들은 노동시장변화, 즉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인해 향후 많은 어려움이 예상된다. 이는 종사원의 전문성 및 서비스에 따라 성과가 달라지는 호텔 및 관광분야 산업에 있어서는 치명적이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노동공급의 측면에서 앞으로 호텔 및 관광분야의 전문가로서 활약할 수 있는 예비 취업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진정으로 추구하고자 하는 직업 가치가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우수한 인재 영입을 원하는 기업들에게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기업뿐만 아니라 학생들을 지도하는 대학교수 및 대학취업관련 전문가들도 학생들이 원하는 직업가치가 무엇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면 학생들이 원하는 직업가치에 맞는 직업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호텔 및 관광분야는 이직률에 있어 다른 분야에 비해 높게 나타나는 편이다. 이러한 이직은 개인 및 조직차원에 있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직이 발생되는 근본적인 원인은 다수의 연구에서 자신에게 적합한 직업을 잘 못 선택하거나 기업의 잘못된 인사관리에서 발생된다고 한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직업가치를 파악하여 재직자들에게 적합한 근무 및 고용환경을 제시한다면 이직률이 저하 및 충성도가 증가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일반적으로 경영은 내부의 사람과 외부의 사람을 설득하여 목표를 달성하는 기술이다. 설득을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상대의 마음을 알아야 한다. 먼저 마음을 알고 거기에 자신의 메시지를 맞추어야 한다. 마음을 안다는 것은 무엇인가? 그 사람이 무엇을 선호하고 그것을 선호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그리고 궁극적으로 어떠한 가치를 추구하기 때문에 그것을 선호하는지를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송수용, 2005). 따라서 기업에서는 우수한 종사원들을 충원하고 잔류시키기 위해서는 종사원들의 직업과 조직에 몰입하게 할 수 있는 영향요인을 찾아내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과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예비 호텔 및 관광분야의 전문가로서 활동할 호텔 및 관광관련 전공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는 호텔 및 관광산업에 대한 직업으로서의 이미지는 낮은 수준의 월급과 숙련도, 정규근무시간 이외의 긴 근무시간, 부정적인 이미지, 높은 이직률 등의 이유로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은 종사원의 태도와 행동이 고객만족이나 고객충성도에 직결되는 서비스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호텔 및 관광업계에 큰 파장을 예고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직업선택과 관련하여 구직자가 원하는 궁극적인 가치를 파악하기 위해 수단-목적 사슬이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는 대부분의 직업선택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직업선택요인을 밝히는 연구(Gottfredson, 1981; Casado, 1992; 서우석, 1994), 직업선택에 관한 실태조사(조일규, 1991), 직업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에 대한 연구(직업가치, 진로장벽, 성역할, 직무환경 등) 직업선택과 나타날 수 있는 결과변인에 관한 연구(만족도, 이직, 추천의도 등) 등 단순히 영향관계만을 살피는 연구로 한정되어 진행되어 왔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직자의 직업선택동기와 이를 통해 구직자가 얻을 수 있는 혜택 혹은 결과 그리고 그럼으로써 개인이 얻을 수 있는 궁극적인 가치를 파악함으로써 호텔 및 관광관련 기업인사담당자들이 종사원 채용 및 효율적인 관리를 할 수 있도록 우수 인재 채용전략 방안을 제공하고자 하며 더불어 대학생들의 취업과 관련하여 지도를 담당하는 대학교수 및 취업담당부서의 학생취업지도와 관련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에서는 예비 호텔 및 관광분야의 전문가로서 활동할 호텔 및 관광관련 전공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직업선택과 관련하여 구직자가 원하는 궁극적인 가치를 파악하기 위해 수단-목적 사슬이론을 바탕으로 구직자의 인지구조를 이해하기 위해 인지구조의 대부분의 구성개념인 희망하는 가치, 목표 혹은 최종적인 상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 재학생의 경우 적성과 흥미, 전망과 비전, 우수한 근무환경, 직업으로서 매력(동기)-다양하고 재미있는 업무, 고용안정, 다양한 복지혜택, 빠른 승진 및 많은 급여(혜택)-사회적 성공, 장래성, 자아성취(가치)의 관계가 강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적성과 흥미(동기)-다양하고 재미있는 업무(혜택)-자아성취(가치)의 관계가 가장 강하게 나타났다. 남학생과 여학생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역시 적성과 흥미(동기)-다양하고 재미있는 업무(혜택)-자아성취(가치)의 관계가 가장 강하게 나타났지만, 남학생은 혜택에 있어서 빠른 승진 및 많은 급여, 가치에 있어서 보람에 대해 고려하지 않은 반면 여학생은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4년제 대학 재학생의 경우에는 적성과 흥미, 직업으로서 매력, 우수한 근무환경, 급여 및 승진, 전망과 비전, 합리적인 업무량 및 시간(동기)-다양하고 재미있는 업무, 다양한 복지혜택, 빠른 승진 및 많은 급여, 고용안정(혜택)-자아성취, 장래성, 사회적 성공, 보람(가치)의 관계가 강하게 나타났으며, 전문대 재학생과 마찬가지로 적성과 흥미(동기)-다양하고 재미있는 업무(혜택)-자아성취(가치)의 관계가 가장 강하게 나타났다. 남학생과 여학생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역시 적성과 흥미(동기)-다양하고 재미있는 업무(혜택)-자아성취(가치)의 관계가 가장 강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4년제 대학 남학생은 혜택에 있어서 빠른 승진 및 많은 급여, 가치에 있어서 사회적 성공에 대해 고려하지 않았으며, 여학생은 가치에 있어 보람에 대해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영문
  • This study has targeted the university students with majors related to hotel and tourism who are the reserves for acting as an expert in the field of hotel and tourism. In relations to the occupational selection, in order to identify the ultimate value desired by the job seekers, and to understand the cognitive structure of job seekers based on the means-purpose chain theory, the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desired value, purpose or the final status which are a construct of the cognitive structu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junior college stud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aptitudes and interests, outlook and vision, excellent working environment, occupational appeal(motives), diverse and interesting work, job security, a variety of welfare benefits, rapid promotion and high salary(benefits), social success, prospects and self-fulfillment(value) were shown to be strong, and especi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ptitude and interest(motivation), diverse and interesting work(benefits) and self-fulfillment(value) were shown to be the strongest.
    Second, in the case of 4 year university stud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aptitudes and interests, occupational appeal, excellent working environment, salary and promotion, outlook and vision, reasonable workload and time(motivation), diverse and interesting work, a variety of welfare benefits, rapid promotion and high salary, job security(benefits), self-fulfillment, prospects, social success and worthwhileness(value) were shown to be strong, and like the junior college stud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ptitude and interest(motivation), diverse and interesting work(benefits) and self-fulfillment(value) were shown to be the stronges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에서는 예비 호텔 및 관광분야의 전문가로서 활동할 호텔 및 관광관련 전공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직업선택과 관련하여 구직자가 원하는 궁극적인 가치를 파악하기 위해 수단-목적 사슬이론을 바탕으로 구직자의 인지구조를 이해하기 위해 인지구조의 대부분의 구성개념인 희망하는 가치, 목표 혹은 최종적인 상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 재학생의 경우 적성과 흥미, 전망과 비전, 우수한 근무환경, 직업으로서 매력(동기)-다양하고 재미있는 업무, 고용안정, 다양한 복지혜택, 빠른 승진 및 많은 급여(혜택)-사회적 성공, 장래성, 자아성취(가치)의 관계가 강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적성과 흥미(동기)-다양하고 재미있는 업무(혜택)-자아성취(가치)의 관계가 가장 강하게 나타났다. 남학생과 여학생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역시 적성과 흥미(동기)-다양하고 재미있는 업무(혜택)-자아성취(가치)의 관계가 가장 강하게 나타났지만, 남학생은 혜택에 있어서 빠른 승진 및 많은 급여, 가치에 있어서 보람에 대해 고려하지 않은 반면 여학생은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4년제 대학 재학생의 경우에는 적성과 흥미, 직업으로서 매력, 우수한 근무환경, 급여 및 승진, 전망과 비전, 합리적인 업무량 및 시간(동기)-다양하고 재미있는 업무, 다양한 복지혜택, 빠른 승진 및 많은 급여, 고용안정(혜택)-자아성취, 장래성, 사회적 성공, 보람(가치)의 관계가 강하게 나타났으며, 전문대 재학생과 마찬가지로 적성과 흥미(동기)-다양하고 재미있는 업무(혜택)-자아성취(가치)의 관계가 가장 강하게 나타났다. 남학생과 여학생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역시 적성과 흥미(동기)-다양하고 재미있는 업무(혜택)-자아성취(가치)의 관계가 가장 강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4년제 대학 남학생은 혜택에 있어서 빠른 승진 및 많은 급여, 가치에 있어서 사회적 성공에 대해 고려하지 않았으며, 여학생은 가치에 있어 보람에 대해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결과 및 의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 재학생의 경우 적성과 흥미, 전망과 비전, 우수한 근무환경, 직업으로서 매력(동기)-다양하고 재미있는 업무, 고용안정, 다양한 복지혜택, 빠른 승진 및 많은 급여(혜택)-사회적 성공, 장래성, 자아성취(가치)의 관계가 강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적성과 흥미(동기)-다양하고 재미있는 업무(혜택)-자아성취(가치)의 관계가 가장 강하게 나타났다. 남학생과 여학생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역시 적성과 흥미(동기)-다양하고 재미있는 업무(혜택)-자아성취(가치)의 관계가 가장 강하게 나타났지만, 남학생은 혜택에 있어서 빠른 승진 및 많은 급여, 가치에 있어서 보람에 대해 고려하지 않은 반면 여학생은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4년제 대학 재학생의 경우에는 적성과 흥미, 직업으로서 매력, 우수한 근무환경, 급여 및 승진, 전망과 비전, 합리적인 업무량 및 시간(동기)-다양하고 재미있는 업무, 다양한 복지혜택, 빠른 승진 및 많은 급여, 고용안정(혜택)-자아성취, 장래성, 사회적 성공, 보람(가치)의 관계가 강하게 나타났으며, 전문대 재학생과 마찬가지로 적성과 흥미(동기)-다양하고 재미있는 업무(혜택)-자아성취(가치)의 관계가 가장 강하게 나타났다. 남학생과 여학생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역시 적성과 흥미(동기)-다양하고 재미있는 업무(혜택)-자아성취(가치)의 관계가 가장 강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4년제 대학 남학생은 혜택에 있어서 빠른 승진 및 많은 급여, 가치에 있어서 사회적 성공에 대해 고려하지 않았으며, 여학생은 가치에 있어 보람에 대해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표본 전체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적성과 흥미, 우수한 근무환경, 직업으로서 매력, 전망과 비전, 급여 및 승진(동기)-다양하고 재미있는 업무, 다양한 복지혜택, 고용안정, 빠른 승진 및 급여(혜택)-자아성취, 장래성, 사회적 성공, 보람(가치)의 관계가 강하게 나타났으며 가장 강한 관계는 역시 적성과 흥미(동기)-다양하고 재미있는 업무(혜택)-자아성취(가치)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전문대 재학생(남, 여), 4년제 대학생(남, 여) 모두 적성과 흥미(동기)-다양하고 재미있는 업무(혜택)-자아성취(가치)의 관계가 가장 강하게 나타나 서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교수 및 대학 취업관련 부서에서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천편일률적으로 취업지도를 하기보다는 학생별 적성이나 흥미에 따라 그에 알맞은 분야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할 것이며, 기업에서도 신입사원을 대상으로 하여 틀에 박힌 교육 및 업무만 요구할 것이 아니라 다양하고 흥미를 가질 수 있는 업무 제공 등의 방법을 통해 이직률을 낮출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호텔 및 관광분야의 직업들은 노동시장변화, 즉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인해 향후 많은 어려움이 예상된다. 이는 종사원의 전문성 및 서비스에 따라 성과가 달라지는 호텔 및 관광분야 산업에 있어서는 치명적이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노동공급의 측면에서 앞으로 호텔 및 관광분야의 전문가로서 활약할 수 있는 예비 취업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진정으로 추구하고자 하는 직업 가치가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우수한 인재 영입을 원하는 기업들에게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기업뿐만 아니라 학생들을 지도하는 대학교수 및 대학취업관련 전문가들도 학생들이 원하는 직업가치가 무엇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면 학생들이 원하는 직업가치에 맞는 직업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호텔 및 관광분야는 이직률에 있어 다른 분야에 비해 높게 나타나는 편이다. 이러한 이직은 개인 및 조직차원에 있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직이 발생되는 근본적인 원인은 다수의 연구에서 자신에게 적합한 직업을 잘못 선택하거나 기업의 잘못된 인사관리에서 발생된다고 한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직업가치를 재직자들에게 적합한 근무 및 고용환경을 제시한다면 이직률이 저하 및 충성도가 증가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직업선택동기, 직업적 혜택, 직업가치, 가치계층도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