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결과 및 의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 재학생의 경우 적성과 흥미, 전망과 비전, 우수한 근무환경, 직업으로서 매력(동기)-다양하고 재미있는 업무, 고용안정, 다양한 복지혜택, 빠른 승진 및 많은 급여(혜택)-사회적 성공, 장래성, 자아성취( ...
본 연구의 결과 및 의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 재학생의 경우 적성과 흥미, 전망과 비전, 우수한 근무환경, 직업으로서 매력(동기)-다양하고 재미있는 업무, 고용안정, 다양한 복지혜택, 빠른 승진 및 많은 급여(혜택)-사회적 성공, 장래성, 자아성취(가치)의 관계가 강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적성과 흥미(동기)-다양하고 재미있는 업무(혜택)-자아성취(가치)의 관계가 가장 강하게 나타났다. 남학생과 여학생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역시 적성과 흥미(동기)-다양하고 재미있는 업무(혜택)-자아성취(가치)의 관계가 가장 강하게 나타났지만, 남학생은 혜택에 있어서 빠른 승진 및 많은 급여, 가치에 있어서 보람에 대해 고려하지 않은 반면 여학생은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4년제 대학 재학생의 경우에는 적성과 흥미, 직업으로서 매력, 우수한 근무환경, 급여 및 승진, 전망과 비전, 합리적인 업무량 및 시간(동기)-다양하고 재미있는 업무, 다양한 복지혜택, 빠른 승진 및 많은 급여, 고용안정(혜택)-자아성취, 장래성, 사회적 성공, 보람(가치)의 관계가 강하게 나타났으며, 전문대 재학생과 마찬가지로 적성과 흥미(동기)-다양하고 재미있는 업무(혜택)-자아성취(가치)의 관계가 가장 강하게 나타났다. 남학생과 여학생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역시 적성과 흥미(동기)-다양하고 재미있는 업무(혜택)-자아성취(가치)의 관계가 가장 강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4년제 대학 남학생은 혜택에 있어서 빠른 승진 및 많은 급여, 가치에 있어서 사회적 성공에 대해 고려하지 않았으며, 여학생은 가치에 있어 보람에 대해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표본 전체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적성과 흥미, 우수한 근무환경, 직업으로서 매력, 전망과 비전, 급여 및 승진(동기)-다양하고 재미있는 업무, 다양한 복지혜택, 고용안정, 빠른 승진 및 급여(혜택)-자아성취, 장래성, 사회적 성공, 보람(가치)의 관계가 강하게 나타났으며 가장 강한 관계는 역시 적성과 흥미(동기)-다양하고 재미있는 업무(혜택)-자아성취(가치)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전문대 재학생(남, 여), 4년제 대학생(남, 여) 모두 적성과 흥미(동기)-다양하고 재미있는 업무(혜택)-자아성취(가치)의 관계가 가장 강하게 나타나 서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교수 및 대학 취업관련 부서에서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천편일률적으로 취업지도를 하기보다는 학생별 적성이나 흥미에 따라 그에 알맞은 분야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할 것이며, 기업에서도 신입사원을 대상으로 하여 틀에 박힌 교육 및 업무만 요구할 것이 아니라 다양하고 흥미를 가질 수 있는 업무 제공 등의 방법을 통해 이직률을 낮출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호텔 및 관광분야의 직업들은 노동시장변화, 즉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인해 향후 많은 어려움이 예상된다. 이는 종사원의 전문성 및 서비스에 따라 성과가 달라지는 호텔 및 관광분야 산업에 있어서는 치명적이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노동공급의 측면에서 앞으로 호텔 및 관광분야의 전문가로서 활약할 수 있는 예비 취업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진정으로 추구하고자 하는 직업 가치가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우수한 인재 영입을 원하는 기업들에게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기업뿐만 아니라 학생들을 지도하는 대학교수 및 대학취업관련 전문가들도 학생들이 원하는 직업가치가 무엇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면 학생들이 원하는 직업가치에 맞는 직업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호텔 및 관광분야는 이직률에 있어 다른 분야에 비해 높게 나타나는 편이다. 이러한 이직은 개인 및 조직차원에 있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직이 발생되는 근본적인 원인은 다수의 연구에서 자신에게 적합한 직업을 잘못 선택하거나 기업의 잘못된 인사관리에서 발생된다고 한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직업가치를 재직자들에게 적합한 근무 및 고용환경을 제시한다면 이직률이 저하 및 충성도가 증가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