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장애노인의 운동행동변화 촉진 전략 개발: 범이론 모델(TTM)과 ICF 개념 활용
Developing Strategies of Promoting exercise behavior changes in Disabled Seniors: Employing Definitions of TTM & ICF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공동연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3S1A5A2A03045717
선정년도 2013 년
연구기간 1 년 (2013년 09월 01일 ~ 2014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구교만
연구수행기관 백석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김춘종(나사렛대학교)
박채희(한국체육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이 연구는 장애노인의 신체활동을 촉진시키고 건강한 삶을 위하여 범이론적 모델(TTM)과 국제기능장애건강분류(ICF)를 활용, 비활동적인 장애노인을 신체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운동행동변화단계 별 촉진 전략을 개발하는데 있으며, 이를 통해 장애노인 당사자와 정책 입안자, 실무자, 보호가족, 연구자 등에게 실천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 장애노인의 신체활동 촉진
    ∙ 장애노인의 삶의 질 향상 및 가족 복지 향상
    ∙ 장애노인 관련 실천적 정책 수립에 기초자료 제공
    ∙ 노인복지관, 장애인복지관 등 관련 기관 활용 및 장애노인 신체활동 관련 실무자의 업무 효율성 증대
    ∙ 장애노인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 시 자료 활용
    ∙ 장애노인 관련 연구의 실증적 활용
  • 연구요약
  • ◎ 연구배경 및 필요성
    ∙ 고령화된 장애인과 노화로 인한 장애인 등 장애노인 문제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음
    ∙ 이러한 장애노인의 문제 해결을 위하여 신체활동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음
    ∙ 하지만 장애노인의 신체활동 참여에 제약 요인이 산재해 있음
    ∙ 더욱이 장애노인의 신체활동 촉진을 위한 구체적인 전략이 부족함
    ∙ 따라서 현실적이고 체계적인 대안이 필요함

    ◎ 연구 목적
    ∙ 이상과 같은 연구의 필요성에 따라 장애노인의 신체활동을 촉진시키고 건강한 삶을 위하여 범이론적 모델(TTM)과 국제기능장애건강분류(ICF)를 활용, 비활동적인 장애노인을 신체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운동행동변화단계 별 촉진 전략을 개발하는데 있으며, 이를 통해 장애노인 당사자와 정책 입안자, 실무자, 보호가족, 연구자 등에게 실천적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음

    ◎ 연구 내용 및 범위
    ∙ 장애노인의 신체활동에 대한 기초조사 및 현황분석,
    ∙ 우리나라 장애노인의 신체활동 참여 실정에 적합하게 ICF 항목 수정
    ∙ 장애노인의 운동행동변화단계별 촉진 전략 개발
    ∙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장애노인으로 할 것이며 선진 사례분석에는 미국, 일본으로 한정할 것임

    ◎ 연구 방법
    ▪ 체계적 문헌고찰, 설문조사, 선진사례 분석, 자문회의 등을 통한 자료 수집 및 분석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장애노인의 신체활동을 촉진시키고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범이론 모델(TTM)과 국제기능장애건강분류(ICF)를 활용하여 비활동적인 장애노인이 신체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변화단계별 촉진 전략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체계적 문헌분석, 실태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목적에 맞게 ICF 항목을 재구성하였다. 그리고 이를 근거로 지체장애노인의 운동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한 촉진 전략을 제시하였다.
    먼저 체계적 문헌분석은 2013년까지 논문을 pubmed를 통해 검색하였다. 논문 검색은 총 4단계로 실시하였으며, 1단계에서는 11,333편을 검색하였고, 본 연구 주제와 관계정도가 낮은 논문을 제외하고 952편으로 정리하였다. 2단계에서는 952편중에서 신체활동, 지체장애와 노인에 관여된 논문만을 정리하여 382편의 논문을 추출하였으며, 3단계에서는 연구 세부사항의 관련 정도가 낮은 논문을 제외하여 172편의 논문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ICF 지표와 상관없는 것으로 나타난 논문을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82편의 논문을 본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총 82편의 논문 중 2000년 이전의 논문은 14편, 2001년부터 2005년까지의 논문은 11편, 2006년부터 2010년까지의 논문은 33편, 2011년부터 2013년까지의 논문은 24편이었다. 그리고 82편의 논문 중 신체기능 및 구조에 해당하는 논문은 40편, 활동과 참여에 해당하는 논문은 25편, 환경요인에 해당하는 논문은 6편, 개인적 요인에 해당하는 논문은 11편이였다.
    실태조사는 개방형 설문지를 통하여 장애노인들의 신체활동에 대한 참여 제약 요인을 알아보았다. 설문 조사 도구는 1차적으로 문헌분석과 연구진 회의를 통하여 개방형 조사도구를 만들었으며 문항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전문가의 의견 수렴을 통해 수정된 설문 조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는 각 단계별 신체활동 참여제약요인에 대해서 확인하였다. 개방형 설문조사에 참여한 장애노인은 총 229명으로, 총 5단계의 대상자들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운동을 하려고 하거나 준비할 때의 참여 제약으로는 신체적 조건, 심리적 제약, 동기부족, 접근성 제약, 운동보조자 부족, 시간 부족, 과인원, 금전적 문제 등으로 나타났으며, 운동을 할 때 어렵거나 방해가 되는 제약요인으로는 신체적 조건, 노화과정, 전용시설 부족, 대인관계문제, 동기 부족, 두려움, 전문지도자 부족, 외부환경, 심리적 제약, 경제력문제 등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운동하고자 하는 생각이 드는 경우는 건강동기, 사회적동기, 적합성, 성공적 노화, 정신건강, 운동수행, 신체적 이득, 장애극복, 자립심 향상 등으로 나타났다.
    각 단계별 대상자들의 운동을 시작하고자 하는 동기에 대한 실태조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1단계(계획 전 단계)는 건강동기, 사회적 동기, 적합성, 성공적 노화, 운동수행, 자립심향상으로 나타났으며, 2단계(계획 단계)에서는 건강동기, 사회적 동기, 적합성, 성공적 노화, 운동수행, 신체적 이득, 장애극복, 자립심향상 등으로 나타났으며, 3단계(준비 단계)는 건강동기, 사회적 동기, 정신건강, 운동수행, 신체적 이득 등으로 나타났으며, 4단계(실행 단계)에서는 건강동기, 적합성, 성공적 노화, 운동수행, 장애극복 등으로 나타났고 마지막 5단계(유지 단계)에서는 건강동기, 사회적 동기, 적합성, 성공적 노화, 정신건강, 운동수행, 신체적 이득, 장애극복, 자립심향상 등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분석된 자료를 토대로 지체장애의 특성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ICF를 재구성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진의 회의와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최초 ICF 분류항목은 신체기능 79개, 활동과 참여 62개, 환경요인 64개에서 재구성된 항목은 신체기능 32개, 활동과 참여 30개, 환경요인 26개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신체기능에서는 정신기능, 감각기능 및 통증, 음성 및 말하기 기능, 심혈관 호흡기계의 기능, 소화기계와 대사 및 내분비계의 기능, 비교생식기와 생식 기능, 신경근육골격 및 운동과 연관된 기능 등 7개 요인으로 재구성하였다. 활동과 참여에서는 지식 및 학습의 적용, 일반적 과제와 요구, 의사소통, 이동, 자기관리, 가정생활, 대인관계 등 7개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환경요인에서는 제품 및 기술, 자연환경, 지원 및 관계, 태도, 서비스와 시스템 및 정책 등 5개 요인으로 재구성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계획전 단계, 계획 단계, 그리고 준비 단계로 한정하여 각 단계에서 운동행동변화과정에 필요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조명하였다. 각 운동행동변화단계별 운동행동변화과정에 따른 절차에 있어 각각의 세 가지 변화단계에서 개인이 내적 혹은 외적으로 영향을 받는 10가지 방법에 대해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각각의 독립적인 요소에 대한 부분을 기반으로 촉진전략의 지침을 구성하였다.
    최종적으로 현장에 다가갈 수 있는 장애노인의 운동행동변화 단계별 촉진전략을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장애노인의 운동행동변화단계의 촉진전략은 전반적으로 행정적인 사항과 더불어 정책적인 지원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기반으로 장애노인을 둘러싸고 있는 가족 및 친지 그리고 다양한 전문가 집단이 협력할 때 장애노인의 운동행동변화단계를 촉진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즉 계획 전 단계와 계획 단계 그리고 준비 단계에 이르기까지 실질적인 사항을 장애노인 주변에서 지속적으로 홍보하고 확인하는 것이 필요로 하며, 장애노인과 함께 활동하는 동료(노인)의 노노케어의 활용 또한 긍정적인 방안으로 제시되었다. 이와 같은 전략을 적절하게 활용한다면 운동행동변화단계의 실행단계와 지속단계에 이르는 지속적인 운동참여 인구로 변화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진행된 각 단계별 운동행동변화단계의 촉진전략은 차후 정책 결정과 제도 마련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서 헬스커뮤니케이션 전략을 구성하고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활용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장애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teps of behavior change strategies for promoting physical activity and for engaging a healthy life among elderly with disability by using the Transtheoretical Model (TTM) and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surveys were conducted to reconstitute items of ICF. Based on that information promoting physical activity behavior strategies were developed for older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y.
    In the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studies were searched employing pubmed from before 2000 to 2013. Article Search was carried out in four steps; in the first step 11,333 studies were found and only 952 papers were relevant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the second-stage, 382 papers from 952 were selected because they were about physical activity, older adults, disability followed by in the third stage, 172 papers that were highly related to the study were selected. In the final stage, 82 papers that were related to ICF index were selected.
    Among 82 papers, 14 studies were from before 2000, 11 papers were from 2001 to 2005, 33 studies were from 2006 to 2010, and 24 studies were from 2011-2013. And, in 82 papers, 40 papers were about function and structure of the body, 25 studies were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6 papers were corresponding to the environmental factors, and 11 papers were related to personal factors.
    Open-ended survey was to examine the participation constraint factors to the physical activity in the elderly with disability. In order to increas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urvey,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insight from expert meetings were employed. In the survey, the limiting factor of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of each stage was confirmed. 229 elderly with disability participated in the survey which was divided into five stages in TTM.
    As a result, physical conditions, psychological constraints, the lack of motivation, accessibility constraints, lack of exercise assistant, lack of time, and lack of money were the participation constraint when people were ready to exercise or preparing for physical activities. The limiting factors for difficult or disturbing when disabled seniors were exercising were physical conditions, the process of aging, lack of dedicated facilities,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lack of motivation, fear, lack of professional leaders, external environment, psychological constraints, and economic problems. And elderly with disability might want to exercise when the motivation of health, social motivation, compatibility, successful aging, mental health, the execution of the exercise, benefits to the body, overcome disability, and independence were improved.
    The results about motivation of starting exercise from the survey were as follows. in the stage 1 (precontemplation), the motivation of health, social motivation, compatibility, successful aging, exercise performance, improvement of independence were key factors; in the stage 2 (contemplation), the motivation of health s, social motivation, compatibility, successful aging, exercise performance, physical benefits, overcome disability, and improvement of independence were key elements; in the stage 3 (preparation), the motivation of health, social motivation, mental health, exercise performance, and physical benefits were key factors; in the stage 4 (action), the motivation of health, compatibility, successful aging, and overcome disability were key parts; and in the stage 5 (maintenance), the motivation of health, social motivation, compatibility, successful aging, mental health, exercise performance, physical benefits, overcome disability, and improvement of independence were key elements.
    In order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physical disability reconfiguration of the ICF was conducted based on the analyzed data. For this reason, opinions from researchers and professionals were complied. The categories of the original ICF were consisted with 79 physical functions , 62 activities and participations, and 64 environmental factors and reconstructed factors were 32 physical functions, 30 activities and participations, and 26 environmental factors. Specifically, physical functions included 7 factors such as mental function, sensory function and pain, voice/conversation function, cardiovascular respiratory function, digestive system/ metabolism/ endocrine system of function, reproductive function, associated with neuro-musculoskeletal and movement functions. Activities and participations also had 7 areas such as, the application of knowledge and learning, general challenges and needs, communication, movement, self-management, family lif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inally, environmental factors included 5 factors such as products and technology, the natural environment, the relationship and support, attitude, service and system, policy were reconstituted.
    Based on the above results, precontemplation, contemplation, and preparation stages were intensively illuminated because three stages were important for changing exercise behaviors. In the three stages, 10 factors which people influenced by internally or externally were studied and a guideline of promoted strategies were developed based on each independent factor.
    The study found that promotion strategies for each exercise behavior change stage in elderly with physically disabled required policy support in addition to the administrative matters. Also, the cooperation of different expert groups, family and relatives of elderly with disability could change exercise behaviors of disabled older adults. It is necessary to check and continuously promote exercise behaviors to seniors with disability and healthy senior helped disabled seniors was positively suggested. If we employed these strategies effectively, elderly with physical disability would continuously participate in physical activity programs.
    Exercise promotion strategies for each behavior change could be used for future policy decisions and institutional development for seniors with physical disability. Additionally, the study results might be utilized to develop physical activity programs as well as health communication strategies, eventually it was possible to provid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with disabilit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장애노인의 신체활동을 촉진시키고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범이론 모델(TTM)과 국제기능장애건강분류(ICF)를 활용하여 비활동적인 장애노인이 신체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변화단계별 촉진 전략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체계적 문헌분석, 실태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목적에 맞게 ICF 항목을 재구성하였다. 그리고 이를 근거로 지체장애노인의 운동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한 촉진 전략을 제시하였다. 먼저 체계적 문헌분석은 2013년까지 논문을 pubmed를 통해 검색하였다. 논문 검색은 총 4단계로 실시하였으며, 1단계에서는 11,333편을 검색하였고, 4단계를 거치며 ICF 지표와 상관없는 것으로 나타난 논문을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82편의 논문을 본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82편의 논문 중 신체기능 및 구조에 해당하는 논문은 40편, 활동과 참여에 해당하는 논문은 25편, 환경요인에 해당하는 논문은 6편, 개인적 요인에 해당하는 논문은 11편이였다. 실태조사는 개방형 설문지를 통하여 장애노인들의 신체활동에 대한 참여 제약 요인과 운동 참여 동기와 관련한 내용을 알아보았다. 설문 조사 도구는 개방형 조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는 각 단계별 신체활동 참여제약요인에 대해서 확인하였다. 개방형 설문조사에 참여한 장애노인은 총 229명으로, 총 5단계의 대상자들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운동을 하려고 하거나 준비할 때의 참여 제약으로는 신체적 조건, 심리적 제약, 동기부족, 접근성 제약, 운동보조자 부족, 시간 부족, 과인원, 금전적 문제 등으로 나타났으며, 운동을 할 때 어렵거나 방해가 되는 제약요인으로는 신체적 조건, 노화과정, 전용시설 부족, 대인관계문제, 동기 부족, 두려움, 전문지도자 부족, 외부환경, 심리적 제약, 경제력문제 등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운동하고자 하는 생각이 드는 경우는 건강동기, 사회적동기, 적합성, 성공적 노화, 정신건강, 운동수행, 신체적 이득, 장애극복, 자립심 향상 등으로 나타났다. 각 단계별 대상자들의 운동을 시작하고자 하는 동기에 대한 실태조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계획전 단계는 건강동기, 사회적동기, 적합성, 성공적노화, 운동수행, 자립심향상으로 나타났으며, 계획 단계에서는 건강동기, 사회적동기, 적합성, 성공적노화, 운동수행, 신체적 이득, 장애극복, 자립심향상 등으로 나타났으며, 준비 단계는 건강동기, 사회적동기, 정신건강, 운동수행, 신체적이득 등으로 나타났으며, 실행 단계에서는 건강동기, 적합성, 성공적노화, 운동수행, 장애극복 등으로 나타났고 마지막 지속 단계에서는 건강동기, 사회적동기, 적합성, 성공적 노화, 정신건강, 운동수행, 신체적이득, 장애극복, 자립심향상 등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분석된 자료를 토대로 지체장애와 뇌병변장애 노인의 특성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ICF를 재구성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진의 회의와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최초 ICF 분류항목은 신체기능 79개, 활동과 참여 62개, 환경요인 64개에서 재구성된 항목은 신체기능 32개, 활동과 참여 30개, 환경요인 26개로 재구성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계획전 단계, 계획 단계, 그리고 준비 단계로 한정하여 각 단계에서 운동행동변화과정에 필요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조명하였다. 각 운동행동변화단계별 운동행동변화과정에 따른 절차에 있어 각각의 세 가지 변화단계에서 개인이 내적 혹은 외적으로 영향을 받는 10가지 방법에 대해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각각의 독립적인 요소에 대한 부분을 기반으로 촉진전략의 지침을 구성하였다. 최종적으로 현장에 다가갈 수 있는 장애노인의 운동행동변화 단계별 촉진전략을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장애노인의 운동행동변화단계의 촉진전략은 전반적으로 행정적인 사항과 더불어 정책적인 지원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기반으로 장애노인을 둘러싸고 있는 가족 및 친지 그리고 다양한 전문가 집단이 협력할 때 장애노인의 운동행동변화단계를 촉진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즉 계획전 단계와 계획 단계 그리고 준비 단계에 이르기까지 실질적인 사항을 장애노인 주변에서 지속적으로 홍보하고 확인하는 것이 필요로 하며, 장애노인과 함께 활동하는 동료(노인)의 노노케어의 활용 또한 긍정적인 방안으로 제시되었다. 이와 같은 전략을 적절하게 활용한다면 운동행동변화단계의 실행단계와 지속단계에 이르는 지속적인 운동참여 인구로 변화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장애노인의 운동행동변화단계의 촉진전략은 전반적으로 행정적인 사항과 더불어 정책적인 지원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기반으로 장애노인을 둘러싸고 있는 가족 및 친지 그리고 다양한 전문가 집단이 협력할 때 장애노인의 운동행동변화단계를 촉진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즉 계획전 단계와 계획 단계 그리고 준비 단계에 이르기까지 실질적인 사항을 장애노인 주변에서 지속적으로 홍보하고 확인하는 것이 필요로 하며, 장애노인과 함께 활동하는 동료(노인)의 노노케어의 활용 또한 긍정적인 방안으로 제시되었다. 이와 같은 전략을 적절하게 활용한다면 운동행동변화단계의 실행단계와 지속단계에 이르는 지속적인 운동참여 인구로 변화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진행된 각 단계별 운동행동변화단계의 촉진전략은 차후 정책 결정과 제도 마련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서 헬스커뮤니케이션 전략을 구성하고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활용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장애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장애노인, 운동행동변화, 촉진 전략, 범이론 모델, 국제기능장애건강분류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