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창조경제와 일자리 창출
사회적경제 조직의 성과평가 지표개발 및 지속가능 전략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한국사회과학연구& #40;SSK& #41;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3S1A3A2043324
선정년도 2013 년
연구기간 2 년 (2013년 09월 01일 ~ 2015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이견직
연구수행기관 한림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중단
공동연구원 현황 임재영(고려대학교)
김성기(성공회대학교)
변재관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현재 한국 사회는 1960년대 이후 추진되어 온 압축성장의 후유증 및 저출산고령화로 인해 경제양극화 및 정부 재정의 극심한 악화를 목전에 두고 있다. 이는 무한경쟁, 승자독식, 그리고 시장 만능의 신자유주의 질서가 확대되면서 실업과 빈곤이 날로 심화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재벌 중심적 경제구조는 고용 없는 성장을 야기해 경제불균형의 심화가 심히 우려스러운 상황에 직면해 있으며 무엇보다 시급한 당면 문제는 정부의 재정적 지원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는 현실적 한계에 있다.
    우리사회에서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사회적경제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등장했다.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커뮤니티 비즈니스, 임팩트 비즈니스, 비영리 조직 등은 정부와 시장의 실패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들은 공공영역에서 강조되었던 협력과 이타적 합리성을 바탕으로 사적 영역의 강점이었던 기업가 정신을 흡수하여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고자 하는 이른바 ‘사회적 또는 임팩트경제 조직’이다. 또한 이들은 미션에 충실한 사업 전개를 우선적으로 추구하며 투명성과 책임성을 바탕으로 창의적인 마케팅과 합리적인 파트너십을 겸비하여 스스로가 존립의 근거를 마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적경제의 최첨병의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사회적 가치 창출이 경제적 가치 창출과 역의 상관관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는 그 ‘무엇’에 대한 문제에서 벗어나 사회적 가치를 ‘어떻게’ 창출할 것인가의 관점으로 전환함을 통해 성장과 분배,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창출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연구함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가치창출이라는 역순환 피드백구조를 선순환 구조로 전환하기 위한 혁신적 사고에 기초해 이른바 ‘사회적경제(social economy)’를 설계하고 이를 구현할 사회혁신 동인을 발굴함에 최우선 가치를 부여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한 사회혁신을 창출하기 위한 전략, 평가, 리서치를 근간으로 하는 차별화된 전문적 지식서비스의 제공을 지향한다. 이러한 장기적 지향점은 두 번째 단계인 지속가능한 사회적경제 생태계의 구축을 통해 가시화할 계획이다. 공유가치의 창출을 지향하는 사회적경제 내의 조직의 성과와 생존은 이익의 극대화라는 단일 목적을 위해 해당 산업의 매력도와 개별 기업의 내부 역량에 치중하여 성과를 창출한 기존 경제 내 조직의 모습과 매우 다른 형태로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즉, 사회적경제 조직의 성공은 해당 비즈니스 생태계 안에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성공적인 협력 여부에 의해 크게 좌우될 것이다.
    첫 단계는 본 제안서에서 담고 있는 ‘사회적경제 조직의 성과평가 지표 개발 및 지속가능 전략 연구’를 토대로 두 번째 단계에서 사회적경제의 생태계를 조성하고 사회적경제 조직의 지속가능한 운영 방안에 대해 연구하며 세 번째 단계에서 비즈니스를 혁신할 전문적인 지식 서비스의 공유 및 확산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토대구축 단계인 첫 번째 단계의 연구 목적은 사회적경제 조직의 성과평가 지표개발 및 지속가능 전략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며 이는 네 개의 세부 연구주제 하에 다음과 같은 12개의 하위 연구들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연구주제
    A. 사회적경제의 비전 및 메커니즘 연구
    A1. 한국 사회적경제의 비전과 방향 연구
    A2. 사회적경제의 일자리, 사회 불평등 및 경제성장 연구
    A21. 사회적경제의 일자리 창출 효과 및 경제성장과의 선순환구조 탐색
    A22. 일자리 창출, 사회 불평등 및 경제성장의 국가비교분석
    A3. 사회적경제의 시스템 다이내믹스 연구
    A31. 사회적경제 시스템의 구조 분석
    A32. 사회적경제의 정책레버리지효과 시뮬레이션 분석
    두 번째 연구주제
    B. 사회적경제 조직의 성과평가 모형 연구
    B1. 사회적경제 조직의 성과평가지표 개발 연구
    B2. 전략적 성과측정을 위한 동적균형성과 모형 연구
    세 번째 연구주제
    C. 사회적경제 조직의 성공(실패) 사례 및 지속가능 전략 연구
    C1. 사회적경제 조직의 성공(실패) 사례의 질적 연구
    C2. 사회적경제 조직의 비즈니스 모델 연구
    C3. 사회적경제 조직의 지속가능 전략 연구
    C31. 이타적 협력에 기초한 사회경영전략 연구
    C32. 사회경제조직의 경쟁력, 지속가능 전략 및 핵심성공요인 연구
    네 번째 연구주제
    D. 사회적경제형 창업 및 리더 양성 방안 연구
  • 기대효과
  • 본 사업의 추진을 통한 연구 결과는 크게 다음과 같이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첫째, 한국 사회적경제의 비전과 메커니즘 연구를 통해 사회적경제의 비전과 방향, 기능, 역할 및 중요성, 경제성장과 사회불평등 및 일자리 창출과의 관련성 및 영향력 등을 국가간 비교를 통한 연구, 사회적경제 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 결과물들은 일반인들에게는 사회적경제에 대한 비전과 방향, 사회적경제의 메커니즘 및 다이내믹스 등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제고하며, 관련 전문가들에게는 경제성장과 사회혁신을 동시에 추구함에 따른 성공 가능성과 실패의 부작용 등에 대한 사회적 담론을 확대시킴에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사회적경제의 확산이 경제성장에 선순환적으로 작동하며 또한 대기업 중심적 경제구조 비중의 완화로 인한 일자리 창출은 사회양극화의 축소로 보다 살기 좋은 사회구현에 촉매적 역할을 할 수 있음을 가시화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통해 사회적경제 영역에 관심을 갖고 학문을 수행할 미래 학자들의 참여를 독려할 선행연구가 되길 기대한다.
    둘째, 사회적경제 조직의 성과평가 모형 연구는 사회적경제 조직의 공유가치 또는 임팩트 성과를 측정하고 평가하기 위한 한국형 지표를 산출하고자 한다. 이의 제공은 사회적경제 조직의 효율적 운영을 지향하는 일선 활동가 및 관리자는 물론이고 이들에게 투자하고자 하는 투자가, 행정적 지원을 생산적으로 가져가고자 하는 정부 행정가, 함께 협력하고 성공경험을 나누고자 하는 관련 조직에게 타당하고 합리적인 기준을 제공하는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목적을 동시에 달성하여야 하며 무형성이 강하고 효과가 장기적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은 사회적 가치 성과에 대한 전략적 접근 시도 및 시스템 다이내믹스, 다이내믹 BSC 등과 같은 상황에 보다 적합한 방법론을 적용한 응용연구는 평가 결과의 정합성을 더욱 제고할 것이라고 사료되어 평가체계 확산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것이라 판단된다.
    셋째, 사회적경제 조직의 성공 및 실패사례 및 지속가능 전략 연구의 결과는 한국형 사회적경제 조직의 유형화 및 유형별 실제적인 성공과 함께 실패사례의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시도한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하겠다. 조직의 미션을 강화하면서도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환경적합적인 생생한 지식과 정보의 생산 및 공유, 확산은 경제적 가치 창출 속에서도 의미있는 삶을 찾을 수 있음에 대한 신뢰와 가능성 확대에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비즈니스 모델 및 지속가능 전략 연구를 통해 경쟁전략에만 익숙한, 삶의 의미를 찾고자 하는 기업가정신에 입각한 수많은 사회혁신가의 실질적 활동 전략을 계획하고 수행함에 실제적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넷째, 사회적경제 조직의 활성화는 입법 및 정책화 과정, 금융지원 못지않게 관련 전문성을 가진 인력 양성이 우선적으로 중요한 인프라이다. 따라서 기업가 정신을 가진 사회혁신가 및 미래 사회과학자 등 사회적경제형 리더의 양성을 목적으로 한 사업별, 지역별 특성을 감안한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이의 시행은 시의 적절하고 효과적인 대안이라 평가된다. 또한 사회적기업 등에 대한 창업은 고령화 및 경제 양극화 등으로 위축되어 있는 우리 경제의 기업가 정신을 되살리고 청년 실업의 문제 해결에 실질적 대안이 되며 아울러 삶과 일의 균형적 가치를 찾고자 하는 선진적 진로 개척에도 긍정적인 해법을 제공해 줄 것이라 기대된다.
    특히, 사회적경제 기업을 평가하고, 비즈니스 모델을 자문하고 공유가치 창출형 경영을 컨설팅할뿐 아니라 기업과 정부, 시민단체 및 유관 조직과의 연계 등 콜라보레이션을 만들어낼 코디네이터의 역할까지 수행할 리더에 대한 전문 자격증의 수여는 본 영역의 확산에 기폭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판단된다.
    기존의 경제와 경영은 경쟁을 통한 이익의 극대화에 치중한 나머지 물질적 풍요는 가져 왔으나 삶의 질을 동반한 체제의 지속성에 대해서는 심각한 우려를 낳고 있는 것이 가장 큰 문제이다. 이에 유사이래 한 번도 시도되지 못했던 경제적 가치와 함께 사회적 가치라는 공유가치 창출을 위한 경제적, 경영적, 정책적 시도는 전 세계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물들이 세계적으로 유래 없는 고령화와 양극화로 인해 사회적 안정성과 경제적 성장성에 심대한 위협이 제기 되고 있는 오늘의 우리나라 현실을 타개해 나갈 ‘기업가 정신을 가진 사회혁신가’의 배출에 작은 도움이라도 될 수 있기를 진심으로 기대하며 본 연구사업을 제안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주로 다음과 같은 내용 및 추진 체계를 통해 수행될 것이다.
    첫째, 사회적경제의 비전 및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로는 먼저 한국 사회적경제의 비전과 방향 연구, 사회적경제의 일자리, 사회 불평등 및 경제성장 연구 및 사회적경제의 시스템 다이내믹스 연구로 구성된다. 본 주제하에서는 주류경영학적 관점이 아닌, 인적 자본, 사회적 자본을 함께 중시하는 관점에 입각하여 태동기에 있는 한국의 사회적경제가 우리 사회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함에 대한 비전과 이를 달성하기 위한 방향에 대해 다양한 관점에서의 연구, 각 국의 사회적경제 관련 예산집행액, 사회적기업의 수 혹은 종사자 수 등을 각 국의 사회적경제 규모를 나타내는 대리변수로 선정하여, 이러한 사회적경제 규모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일자리 창출과, 사회불평등 현상 및 경제성장과의 관계에 대한 메커니즘을 실제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일자리 창출사업에 적용하여 실제 작동하는 지 여부 규명, 사회 및 경제적 가치를 동시에 생산함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적경제 시스템 전반을 시스템 사고의 관점에서 도출 등이 포함된다.
    둘째, 사회적경제 조직의 지속가능성을 실현하기 위한 이들 조직의 성과평가 모형 연구는 먼저 사회적경제 조직의 성과평가지표 개발 연구와 전략적 성과측정을 위한 동적균형성과 모형 연구를 중심으로 수행하고자 한다.
    셋째, 사회적경제 조직의 성공과 실패 사례 및 지속가능 전략 연구는 크게 실패사례를 포함한 성공 사례에 대한 질적 분석 및 이와 연계한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연구와 이들에 기초한 사회적경제 조직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전략 연구를 중심으로 수행하고자 한다. 주요 내용으로는 한국의 사회적경제 부문이 빈번한 생성과 소멸을 반복하지 않고 지속적이고 유의미한 발전을 하기 위해서 조직 운영의 경험적 지혜와 교훈들을 담은 성공 및 실패 사례들의 도출 및 이타적 협력에 기초한 사회경영전략 연구와 사회경제조직의 경쟁력, 지속가능 전략 및 핵심성공요인 연구 등이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사회적기업 등 사회적경제 조직을 창업하고 혁신할 사회적경제형 리더를 양성하기 위한 방안을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경제 인력 양성을 위한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및 사회적경제 확산을 위한 필수 선결조건으로써 사회적경제 조직의 창업과 경영문제에 대한 종합 컨설팅 및 정부, 기업, 시민단체 등 유관기관의 협력을 중재하는 코디네이터의 역할 등을 수행하는 국가 전문자격사로 (가칭) 사회경영컨설턴트/코디네이터 제도 도입 방안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한다.

    본 사업의 원활한 연구 진행을 위하여 현장과 이론의 균형감을 갖춘 경영, 경제 및 사회정책 전문가로 구성된 연구진을 공동 구성하고자 한다. 책임 및 공동연구원들은 각자 보건의료 및 복지분야 등 사회적경제 영역에서 공유가치 창출의 중요성을 관심 있게 연구해 오면서 이기적 합리성에 기초한 경쟁 모형의 한계와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이론적 체계의 연구를 사회적경제의 혁신과정에서 발견하고자 한다.
    이와 별도로 외부연구원 3인을 포함하고자 한다. 이들은 초기 연구진 구성에 포함되었다가 본 사업의 연구자 기준의 불일치로 세 명의 연구진이 부득이 외부 연구원으로 참여하게 되었다. 이들은 각자 현재 사회적경제 조직의 현장 경험이 풍부한 연구자이자 교육자로서 본 연구가 지향하고 있는 성공(실패) 사례에 기초한 비즈니스 모델 및 창업과 사회적기업 양성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 있어 보다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결과 도출에 일조할 것이라 기대한다.
    이와 함께 국내외 기관과 협력을 계획중에 있다. 특히, 사회적경제 조직의 비즈니스 모델 구축 및 전략 수립을 위해서는 연구 체계를 국내외로 확대하여 자문과 선진 경험을 활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 관련기관으로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사회적경제센터 및 임팩트 스퀘어 등과의 자문 및 자료를 활용하고자 하며 외국 관련기관으로 대표적인 사회혁신재단인 미국의 Ashoka Foundation, 일본의 커뮤니티비즈니스 종합연구소 등을 탐방하여 교류를 강화하고자 한다. 또한 사회적경제 조직의 성공사례 완성 및 인력양성 방안 연구를 위해서는 이와 관련된 연구보고서 및 지원사업을 활발히 수행하고 있는 한겨례경제연구소와 한국 사회적기업 진흥원간의 자문과 협력을 확대하고자 하며 특히, 사회적가치 평가에 있어 앞선 회계기준 등을 제시하고 있는 GIIN, 협동조합운영의 선구적 사례를 창출하고 있는 스페인의 몬드라곤협동조합복합체 및 영국 사회혁신의 심장부로 지칭되는 Young Foundation 등을 탐방하여 선진국의 생생한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근본적인 문제 인식은 ‘사회적 분배가 경제적 성장을 저해할 수밖에 없는가’에 있다. 즉, ‘사회적 가치 제고는 무조건 경제적 가치 하락을 의미하는가‘에 대한 물음에 답을 찾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와 관련된 역사적인 논쟁을 다시 거론하고자 한 것은 아니다. ‘파이’도 키울 수 있고 지속성도 제고할 수 있는 새로운 경제를 모색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경영, 경제, 사회, 복지, 법학 등 다학제적 참여를 통해 더 나은 사회를 건설에 대한 논의들을 진척시켰다. 이러한 취지에 따라서, 사회적 가치 창출이 경제적 가치 창출과 역의 상관관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는 그 ‘무엇’에 대한 문제보다 사회적 가치를 ‘어떻게’ 창출할 것인가의 관점에 입각하여 연구를 수행했다. 즉, 성장과 분배,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창출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연구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가치창출이라는 역순환 피드백구조를 선순환 구조로 전환하기 위한 혁신적 사고에 기초하고 있다. 이를 통해 소위 ‘사회적경제(social economy)’를 설계하고 이를 구현할 사회혁신 동인을 발굴하고자 했다. 전체 연구자들의 협력으로 연구수행 초반에 사회적경제 메커니즘 및 성과평가 지표에 대한 기반을 마련했다. 이어서 그 결과를 현장에 적용하여 사회적경제조직의 성공 및 실패사례, 비즈니스모델 연구 등을 질적 사례연구 방식으로 추진했다.
  • 영문
  • Fundamentally, this study started from problem recognition that ‘social distribution hinders economic growth inevitably’. In other word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an answer to the question ‘does social value improvement mean a fall in economic value unconditionally?’, not mentioning the relevant historical argument again. The ultimate aim of this study is to seek new economy for enlarging the ‘pie’ and improving continuity. For this study, discussions over better society construction were carried out through multidisciplinary participation from the field of management, economy, society, welfare and law. According to this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point of view regarding ‘how’ to create social values rather than ‘something’ saying that social value creation has a reverse correlation with economic value creation. In other words, this study explored a way of creating growth and distribution, and economic values and social values at the same time. This study is based on innovation thinking to convert a negative feedback structure of social value creation into a positive feedback structure. This is to design so-called ‘social economy’ and to discover social innovation motives for realizing this. In the beginning of research, a foundation of social economy mechanism and performance evaluation indicators was established through cooperation of all the researchers. Then the result was applied to the field for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success and failure cases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and business model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근본적인 문제 인식은 ‘사회적 분배가 경제적 성장을 저해할 수밖에 없는가’에 있다. 즉, ‘사회적 가치 제고는 무조건 경제적 가치 하락을 의미하는가‘에 대한 물음에 답을 찾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와 관련된 역사적인 논쟁을 다시 거론하고자 한 것은 아니다. ‘파이’도 키울 수 있고 지속성도 제고할 수 있는 새로운 경제를 모색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경영, 경제, 사회, 복지, 법학 등 다학제적 참여를 통해 더 나은 사회를 건설에 대한 논의들을 진척시켰다. 이러한 취지에 따라서, 사회적 가치 창출이 경제적 가치 창출과 역의 상관관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는 그 ‘무엇’에 대한 문제보다 사회적 가치를 ‘어떻게’ 창출할 것인가의 관점에 입각하여 연구를 수행했다. 즉, 성장과 분배,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창출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연구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가치창출이라는 역순환 피드백구조를 선순환 구조로 전환하기 위한 혁신적 사고에 기초하고 있다. 이를 통해 소위 ‘사회적경제(social economy)’를 설계하고 이를 구현할 사회혁신 동인을 발굴하고자 했다. 전체 연구자들의 협력으로 연구수행 초반에 사회적경제 메커니즘 및 성과평가 지표에 대한 기반을 마련했다. 이어서 그 결과를 현장에 적용하여 사회적경제조직의 성공 및 실패사례, 비즈니스모델 연구 등을 질적 사례연구 방식으로 추진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사업의 추진을 통한 연구 결과는 크게 다음과 같이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첫째, 한국 사회적경제의 비전과 메커니즘 연구를 통해 사회적경제의 비전과 방향, 기능, 역할 및 중요성, 경제성장과 사회불평등 및 일자리 창출과의 관련성 및 영향력 등을 국가간 비교를 통한 연구, 사회적경제 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 결과물들은 일반인들에게는 사회적경제에 대한 비전과 방향, 사회적경제의 메커니즘 및 다이내믹스 등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제고하며, 관련 전문가들에게는 경제성장과 사회혁신을 동시에 추구함에 따른 성공 가능성과 실패의 부작용 등에 대한 사회적 담론을 확대시킴에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사회적경제의 확산이 경제성장에 선순환적으로 작동하며 또한 대기업 중심적 경제구조 비중의 완화로 인한 일자리 창출은 사회양극화의 축소로 보다 살기 좋은 사회구현에 촉매적 역할을 할 수 있음을 가시화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통해 사회적경제 영역에 관심을 갖고 학문을 수행할 미래 학자들의 참여를 독려할 선행연구가 되길 기대한다. 둘째, 사회적경제 조직의 성과평가 모형 연구는 사회적경제 조직의 공유가치 또는 임팩트 성과를 측정하고 평가하기 위한 한국형 지표를 산출하고자 한다. 이의 제공은 사회적경제 조직의 효율적 운영을 지향하는 일선 활동가 및 관리자는 물론이고 이들에게 투자하고자 하는 투자가, 행정적 지원을 생산적으로 가져가고자 하는 정부 행정가, 함께 협력하고 성공경험을 나누고자 하는 관련 조직에게 타당하고 합리적인 기준을 제공하는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목적을 동시에 달성하여야 하며 무형성이 강하고 효과가 장기적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은 사회적 성과에 대한 전략적 접근 시도 및 시스템 다이내믹스, 다이내믹 BSC 등과 같은 상황에 보다 적합한 방법론을 적용한 응용연구는 평가 결과의 정합성을 더욱 제고할 것이라고 사료되어 평가체계 확산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것이라 판단된다. 셋째, 사회적경제 조직의 성공 및 실패사례 및 지속가능 전략 연구의 결과는 한국형 사회적경제 조직의 유형화 및 유형별 실제적인 성공과 함께 실패사례의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시도한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하겠다. 조직의 미션을 강화하면서도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환경적합적인 생생한 지식과 정보의 생산 및 공유, 확산은 경제적 가치 창출 속에서도 의미있는 삶을 찾을 수 있음에 대한 신뢰와 가능성 확대에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비즈니스 모델 및 지속가능 전략 연구를 통해 경쟁전략에만 익숙한, 삶의 의미를 찾고자 하는 기업가정신에 입각한 수많은 사회혁신가의 실질적 활동 전략을 계획하고 수행함에 실제적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넷째, 사회적경제 조직의 활성화는 입법 및 정책화 과정, 금융지원 못지않게 관련 전문성을 가진 인력 양성이 우선적으로 중요한 인프라이다. 따라서 기업가 정신을 가진 사회혁신가 및 미래 사회과학자 등 사회적경제형 리더의 양성을 목적으로 한 사업별, 지역별 특성을 감안한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이의 시행은 시의 적절하고 효과적인 대안이라 평가된다. 또한 사회적기업 등에 대한 창업은 고령화 및 경제 양극화 등으로 위축되어 있는 우리 경제의 기업가 정신을 되살리고 청년 실업의 문제 해결에 실질적 대안이 되며 아울러 삶과 일의 균형적 가치를 찾고자 하는 선진적 진로 개척에도 긍정적인 해법을 제공해 줄 것이라 기대된다. 특히, 사회적경제 기업을 평가하고, 비즈니스 모델을 자문하고 공유가치 창출형 경영을 컨설팅할뿐 아니라 기업과 정부, 시민단체 및 유관 조직과의 연계 등 콜라보레이션을 만들어낼 코디네이터의 역할까지 수행할 리더에 대한 전문 자격증의 수여는 본 영역의 확산에 기폭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판단된다.
  • 색인어
  • 사회적경제, 사회적기업, 사회혁신, 성과평가지표, 지속가능 성장전략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