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고리 대금과 자본주의의 탄생
Usury and the rise of Capitalism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4S1A5A2A01016160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2 년 (2014년 05월 01일 ~ 2016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남종국
연구수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프랑스를 대표하는 중세 사가인 자크 르 고프(Jacques Le Goff)는 이자 대부(usury)를 죄악시하는 중세 교회의 경제 윤리가 자본주의의 탄생을 저해하고 지체시켰다고 말한다. 그는 이자 대부를 둘러싼 논쟁을 자본주의 출산과정으로 묘사한다. 본 연구는 르 고프의 주장처럼 이자 대부를 금하는 이데올로기적 장애물이 자본주의 탄생을 얼마만큼 방해했는지를 구체적인 역사적 맥락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자 대부를 죄악시하는 교회의 가르침을 엄격하게 지켰다면 자본주의의 성장은 힘들었거나 지연되었을 것임에 틀림없다. 이자 대부뿐만 아니라 합리적인 이윤 추구 또한 범죄시하는 종교 윤리가 강력한 힘을 발휘했다면 베버가 정의한 합리적인 이윤 추구라는 자본주의 정신은 발전하지 못했을 것이다.
    오늘날 고리 대금을 뜻하는 영어 단어 usury의 어원적인 기원은 라틴어 우수라(usura)였다. 하지만 우수라의 원래 뜻은 고리 대금이 아니었다. 초기 성경과 교부들의 해석에 따르면 우수라(usura)는 준 것보다 더 많이 받는 행위였다. 즉 공짜가 아니라 이자를 받고 무언가를 빌려주는 행위를 의미했다. 다시 말해서 이자가 높거나 낮음에 상관없이 이자를 받는 모든 대부가 usury였던 것이다.
    중세 서유럽 교회는 이런 이자 대부를 혐오스런 행위로 간주했고 이자 대부업자들은 지옥의 벌을 감수해야 한다고 가르쳤다. 이자 대부와 대부업자에 대한 교회와 사회의 비난은 넘쳐났다. 1300년경 단테는 지옥에서 고통 받는 이자 대부업자의 모습을 생생하게 그려냈다. 단테의 신곡의 묘사된 이자 대부업자의 모습은 당시 사람들에게 공포와 두려움을 주기에 충분했었다. 중세 후반 도시를 돌아다니면서 대중들에게 교회의 가르침을 설파했던 설교가들이 전해주는 이야기도 이에 뒤지지 않았다.
    게다가 이자 대부업자는 교회와 세속 권력이 가하는 여러 처벌을 감수해야 했다. 교회는 이자 대부업자에게 성찬식 참여와 교회 묘지 매장을 금지했으며 때론 공동체로부터 파문과 추방을 당했다. 이자 대부업자는 법적 처벌을 받아야 했다. 재산을 몰수당하기도 했다. 이자 대부를 허용하고 이자 대부업자에게 숙소와 영업장을 제공하는 도시는 성무 금지를 당하기도 했다. 때론 자신의 영토에서 이자 대부업자를 쫓아내지 않는 제후들이 파문당하기도 했다.
    그러나 현대 자본주의 사회는 이자 대부를 용인할 뿐만 아니라 합법적인 것으로 간주한다. 이자 대부를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은행은 자본주의 형성과 발전을 이끌었던 핵심적인 제도였다. 이제는 지나칠 정도로 높은 이자 대부 즉 고리 대금을 제외한 대부에 대해서는 종교적, 도덕적 비난이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오늘날에는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으면서 법적 처벌의 두려움이나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도 않는다. 즉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이자 대부에 대한 종교적, 도덕적, 사회적 비난이나 제제는 거의 사라진 것이다.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이자 대부를 둘러싼 사회적 인식에 큰 변화가 있었던 것은 분명하다. 전통적이고 종교적이며 윤리적인 중세 유럽의 경제적 심성이 근대적이며 탈 윤리적이며 자본주의적인 경제적 심성으로 바뀌었던 것이다. 프랑스 아날 학파의 역사가들은 이러한 심성 또한 역사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하나의 구조로 파악한다. 경제적 심성이라는 구조는 하루아침에 급속하게 바뀌지 않고 몇 세기에 걸쳐 장기지속의 흐름 속에서 서서히 변화한다. 실제로 중세 유럽의 경제적 심성이 근대 자본주의의 경제적 심성으로 이행하는 과정 또한 매우 느리고 점진적이었다. 그 과정에서 이러한 이행을 주도하는 세력과 전통적인 경제적 심성을 고수하는 세력 사이의 기나긴 대립과 갈등 때론 싸움이 있었다. 교회는 기존의 윤리를 고수하려 했다면 상인, 기업가, 은행가로 대표되는 새로운 계층들은 이를 벗어나고자 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이행 과정을 분석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이자 대부를 죄악시하는 중세 교회의 윤리가 자본주의의 탄생을 방해할 정도로 상업과 경제에 막강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교회가 어떤 근거로 이자 대부를 금지했는지, 이러한 종교 윤리를 주입하기 위해 어떤 수단들을 사용했는지를 상세하게 살펴볼 것이다. 그런 점에서 이자 대부에 대한 공세의 수위가 높았던 12-3세기는 본 연구에 가장 적합한 시대이다. 이러한 일차적 작업을 마친 후에 이자 대부업자라는 비난을 자주 감수해야 했던 상인들이 교회의 윤리적 가르침을 어떻게 받아들였는지를 알아볼 것이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서양사에서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간과되었던 주제를 소개한다는 점에서 일차적인 의미가 있을 것이다. 정신적 측면에서 자본주의 탄생을 분석하는 연구는 주로 막스 베버가 제기한 문제를 푸는데 집중되었다. 즉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가 자본주의 성장을 촉진시켰는지를 역사적으로 검증하는데 연구가 집중되었다. 그런 점에서 본 연구는 자본주의 초기 발전 과정을 좀 더 상세하게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본 연구는 국내 서양사학계에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제공하는 것 이외에 학제간의 공동 연구를 위한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자본주의 역사를 연구하는 것은 역사학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자본주의가 성장 발전하는데 있어 윤리의 문제는 매우 중요한 요소였다. 그런 점에서 자본주의를 온전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역사학, 경제학, 윤리학 등의 다양한 학문 간의 공동 연구가 절실히 요구된다.
    본 연구는 더 나은 자본주의, 다른 말로 표현하면 윤리적이고 공정한 자본주의를 고민하고 모색할 계기를 제공할 것이다. 이윤을 얻고자 하는 욕망을 7가지 큰 죄 중 하나로 비난했던 중세 교회의 도덕이 현실과는 동떨어진 이상주의적 주장이었을지 몰라도 게걸스럽게 먹어도 멈추지 못하는 인간의 탐욕을 어느 정도 제어하는 역할을 했던 것은 사실이다. 윤리를 벗어던진 현대 자본주의에서 탐욕은 더욱 제어하기 힘들어졌다. 또한 현대 자본주의는 엄청난 물질적 풍요를 가져다주었지만 생태계의 파괴, 부의 불균등, 사회적 불평등과 같은 사회적 문제를 낳았다. 이제 다시 윤리적인 자본주의를 고민해야만 한다. 그런 점에서 윤리적 자본주의가 가능하다는 D. W. Haslett의 지적은 다시 한 번 새겨볼 만하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이자 대부를 죄악시하는 중세 교회의 윤리가 자본주의의 탄생을 방해했는지를 두 가지 논문을 통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첫 번째 논문은 교회가 어떤 근거로 이자 대부를 금지하였는지, 이러한 종교 윤리를 주입하기 위해 어떤 수단을 사용했는지를 상세하게 살펴볼 것이다. 이자 대부에 대한 공세의 수위가 높았던 12-3세기를 집중적으로 조명할 것이다.
    두 번째 논문은 이자 대부업자라는 비난을 자주 감수해야 했던 상인들이 교회의 윤리적 가르침을 어떻게 받아들였는지를 알아볼 것이다. 이자 대부 즉 고리 대금에 대한 분석은 항상 유대인에 집중되어 왔다. 다수의 연구자들이 자본주의와 유대인 사이의 연결고리를 찾으려고 노력했다. 통상적으로 이자 대부하면 먼저 떠오르는 사람이 유대인이다. 아마 이자 대부와 관련해서 가장 많은 피해를 입고 수치스러운 낙인이 찍힌 집단은 유대인일 것이다. 그러나 유대인은 본 연구의 목적에 적합한 인물은 아니다. 우선 교회는 기독교인들에게 이자 대부를 금지하면서 이 혐오스러운 직업을 유대인에게 전가하는 경우가 많았고, 또한 이자 대부와 관련해 유대인에게 적용하는 교회법과 제제가 달랐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이자 대부가 유럽의 자본주의적 경제 성장을 저해했는지를 살펴보는 사례로서 유대인은 예외적이고 특수하다. 본 연구는 유대인을 자본주의 창시자로 간주하는 역사 인식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탈리아 상인들을 통해서 자본주의 정신의 탄생을 살펴볼 것이다.
    <1차 년도 연구 주제: 12-3세기 이자 대부에 대한 교회의 파상 공세>
    1. 이자 대부에 대한 교회의 적극적인 공세.
    12세기 이후 교회는 이자 대부에 강경한 태도를 취하기 시작했다. 이자 대부에 대한 교회의 공세가 강화된 것은 이자 대부가 늘어나면서 사회적 문제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2. 이자 대부 금지를 지지하는 지식인 계층에서 형성된 여론
    12-3세기를 대표할 만한 다수의 지식인들은 이자 대부를 죄악시하는 윤리를 설파했다. 이자 대부는 남의 것을 불법적으로 훔치는 절도 행위이며, 정의에 위배되는 범죄로 간주했다.
    3. 고해와 대중 설교: 지옥의 공포를 심어주다.
    이자 대부를 금지하는 교회의 이데올로기를 현장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한 사람은 대중적인 설교가들이었다. 이들은 이자 대부업자가 겪게 될 불명예스러운 죽음, 교회 묘지에 매장 불가, 지옥의 형벌 등의 이야기를 자극적인 어조로 대중들에게 설파했다.

    <2차 년도 연구 과제: 중세 교회의 이자 대부 금지에 대한 이탈리아 상인의 대응>
    1. 이자 대부에 대한 교회와 세속 권력의 처벌 의지
    이자 대부 금지라는 교회의 원칙이 현실에서 잘 지켜지려면 교회와 세속 당국의 지지와 긴밀한 협조가 필요했다. 하지만 교회는 복잡한 구조를 가진 조직이었다. 교회는 영적인 동시에 세속적인 조직이었다. 교회는 수입이 많고 보유한 재산도 어느 제후 못지않았다. 실제로 교회가 큰 돈 놀이를 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자 대부업을 적극적으로 처벌할 입장이 되지 못했다.
    2. 이자 대부 금지에 대한 이탈리아 상인의 대응
    2-1. 늘어나는 대부 계약
    이자 대부가 결코 근절되지 않았다는 증거는 12-3세기 제노바, 베네치아, 피사 등 이탈리아의 대표적 상업 도시에서 작성된 수없이 많은 투자계약서이다. 너무나 명백한 사실은 당시 이탈리아 상인들이 이자를 받지 않고 돈을 빌려주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는 것이다.
    2-2. 이탈리아 상인과 은행업
    당시 이자 대부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눠져 있었다. 가난한 사람들에게 높은 이자를 받고 돈을 빌려주는 대부업자나 전당포 주인들이 바로 공식적인 이자 대부업자들이었다. 반면 좀 더 낮은 이자로 큰돈을 빌려주는 이탈리아 출신의 상인-은행가들은 이미 대부업자라는 오명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벗어나 있었다.
    3. 이자 대부 행위에 대한 두려움
    3-1. 이자 대부를 숨기려는 노력: 환어음의 유행.
    처벌 사례가 많지 않았다고 이자 대부 행위에 대한 두려움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이러한 두려움이 있었기에 상인들은 계약서에 이자라는 용어를 가급적이면 언급하지 않으려고 노력했다. 또한 이자 대부라는 비난을 피하기 위해 환어음을 자주 이용했다.
    3-2. 사망 직전의 반환
    일부 이탈리아 상인들은 임종 시에 이자 대부로 번 돈을 원주인에게 돌려주려고 노력했다. 이러한 노력은 교회의 이데올로기 공세가 아무런 효과가 없었던 것은 아니었음을 분명히 보여준다. 여러 세기 동안 지속되어 왔던, 이자를 죄악시하는 종교 윤리는 상인들의 마음 속 깊은 곳에 두려움을 심어 놓았다. 그렇다고 그 두려움이 자본주의 정신의 탄생을 방해할 정도로 막강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1차 년도 연구 과제 학술지 게재>

    1차 년도 연구 과제는 2015년 5월 발간된 『서양사연구』52집에 게재하였다. 논문 제목은 「12-3세기 이자 대부를 둘러싼 논쟁: 자본주의의 서막인가?」.
    원래 계획했던 논문의 제목은 12-3세기 이자 대부에 대한 교회의 파상공세였다. 하지만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 이자 대부를 둘러싼 논쟁이 자본주의 탄생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게 되었고 그러면서 좀 더 거시적인 관점에서 문제를 분석할 필요성을 느꼈다. 그런 연유로 처음에 의도했던 제목이 약간 수정되었다.
    이 논문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중세 말까지도 서유럽에서 교회법은 유저리(Usury)를 원금 이상의 것을 받는 모든 이자 대부로 규정하고 있었다. 여전히 이자 대부는 신의 질서를 거스르는 죄악이며 사회적으로 근절해야 할 악행으로 간주되고 있었다. 그러나 현실에서 이자 대부에 대한 교회와 세속 권력의 대응은 사회경제적 상황 변화에 따라 달라졌다.
    본론에서는 12-4세기 교회와 세속 권력이 어떻게 이자 대부를 규제했는지를 종교회의 법령, 왕실 법령 그리고 신학자와 교회법학자들의 저서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몇 가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명한 것은 12-3세기 이자 대부가 일반화되면서 여러 가지 사회 문제가 발생하였고 이에 따라 교회와 세속의 제후들은 이런 문제들을 본격적으로 논의하기 시작했고 이에 대해 각자 나름의 조취를 취했다. 원칙적으로 성경의 가르침을 충분히 따른다면 모든 이자 대부를 처벌하고 금지해야 했다. 그러나 현실에서 이자 대부라는 죄악을 뿌리 뽑는데 있어 모든 사회와 집단이 한 목소리를 내지는 않았다. 고위 성직자들은 명백한 이자 대부업자만을 처벌할 것을 주장했던 반면 신학자들이나 도시를 돌며 설교를 하는 수도사들은 모든 이자 대부를 완전히 제거할 것을 요구했다. 잉글랜드와 프랑스의 왕실 그리고 신민들은 이탈리아 출신과 유대인 이자 대부업자를 처벌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위의 결론에 비추어 볼 때 이자 대부를 금하는 교회의 윤리적인 경제관념이 자본주의 형성에 장애물 역할을 했다는 르 고프의 지적은 부분적으로 재고의 여지가 있다. 왜냐하면 교회와 세속 권력이 한 목소리로 이자 대부의 근절을 주장할 정도로 강력하고 집중적인 공세를 취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르 고프의 지적은 여전히 설득력을 가지며 유효하다. 우선 이자 대부업자에 대한 종교적 제제와 법적 처벌이 완전히 사문화되지 않았고 게다가 자본주의 탄생에 선구적 역할을 했던 이탈리아 상인과 은행가들은 유대인과 함께 항상 처벌과 추방의 위협을 받고 있었기 때문이다. 롬바르드 족속이라는 경멸적인 호칭으로 불리며 이자 대부업자로 간주되었던 이탈리아 상인들은 유럽 전역에서 사회적 비난과 법적 처벌을 가장 많이 받았다. 그러기에 이탈리아 상인들이 이자 대부를 죄악시하는 교회의 가르침과 사회적 제제에 어떻게 대응했는지를 분석해야만 이에 대한 최종적인 결론을 내릴 수 있을 것이다.


    <2차 년도 연구 과제: 수정 및 변경>

    1차 년도 연구 과제를 논문으로 출판하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이탈리아 상인들이 이자 대부를 죄악시하는 교회의 가르침과 사회적 제제를 어떻게 피했는지를 알아야지만 본 연구의 전체 주제에 대한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2차 년도 연구 주제(중세 교회의 이자 대부 금지에 대한 이탈리아 상인들의 대응)를 분석하는 과정에 여러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우선 다루어야 할 내용이 너무 방대하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이자를 숨기기 위해 이탈리아 상인들은 다양한 수단을 만들어냈다. 이자를 숨기기 위해 이탈리아 상인들이 활용했던 여러 방법들에 대해서 심도 있는 분석을 진행하려면 작은 논문 하나로는 부족하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그런 연유로 구체적인 사례 연구를 통해 이자 대부 금지에 대한 이탈리아 상인들의 대응을 알아보는 것이 방법론상으로 현실적일 것이다. 이런 방식은 미시적인 사건을 통해 거시적인 담론을 이해하는 것이다. 사료와 자료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이에 적합한 여러 사례들을 발견했다.
    첫 번째 대안은 중세 말 이탈리아 상인중에 가장 많은 문서를 남긴 프라토 출신의 거상 프란체스코 디 마르코의 사례를 분석하는 것이다. 다티니 또한 동시대의 다른 이탈리아 상인들처럼 이자 대부를 했다. 특히 다티니의 환어음 거래를 분석하면 이탈리아 상인들이 이자 대부에 대한 비난과 처벌을 피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는지 밝힐 수 있을 것이다. 최근까지의 해석에 따르면 환어음은 이자를 숨기기 위해 고안된 상업 제도라는 것이다. 다티니는 환어음 발명가라 불릴 정도로 환어음을 많이 활용했다. 그의 사업은 프라토에 본사를 두고 있었지만 아비뇽, 바르셀로나, 발렌시아, 마요르카, 피사, 피렌체, 제노바에 지사를 두고 있었는데 지점 간의 돈을 송금할 때 환어음을 이용했다. 다티니의 환어음 이용 실태를 분석하면 환어음이 이자 대부에 대한 법적 처벌과 사회적 비난을 모면하기 위해 고안된 상업 제도인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 대안은 파도바 출신의 이자 대부업자 엔리코 스크로베니이다. 스크로베니 가문은 13세기 은행업으로 성공을 거둔 유명한 파도바의 거상이었다. 단테는 엔리코 스크로베니의 아버지를 지옥 편에서 입을 삐죽거리면서 코를 핥는 황소처럼 혓바닥을 밖으로 내밀었다며 동물처럼 묘사했다. 다수의 역사가들이 엔리코 스크로베니가 당대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화가 조토를 불러 예배당 벽화를 그리게 한 이유는 아버지가 행한 죄 즉 이자 대부의 죄를 씻기 위한 행위였다고 해석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에 대한 반론이 제기되고 있다. 그런 연유로 이 사례를 분석하면 이자 대부업자들이 사회적 비난과 법적 처벌을 어떻게 생각했으며 구원을 얻기 위해서 어떤 일들을 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처음 연구계획서에 설정했던 주제와 목표는 연구 진행 과정에서 달라질 수밖에 없다. 사료와 자료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당연히 생길 수밖에 없는 것이다.
  • 영문
  • The first article of my researches aims to review Le Goff's thesis that the church's ban on usury deterred the growth of capitalism in the West. The analysis of decrees of the general councils in the 12-13 centuries reveals that the general councils were focused on punishing manifest usurers lending money at an exorbiant rate of interest, even recognizing the legitimacy of charging moderate interest in the realities of everyday life. On the other hand, many preachers and theologians condemned the taking of any interest, saying that prelates and princes were tolerating or even supporting usurers. Kings of England and France have not been held constant in enforcing the ban on usury, sometimes welcoming or expelling usurers. After considering these different attitudes toward usury, we can conclude that religious and social attack on usury was not so powerful in chorus to deter the growthof capitalism.
    The second article of my researches will be focused on a specific case of Italian usurers. We came to find that the general history of usury was so vast to treat it entirely in an small article. For the moment, I am making researches of two cases of Italian Merchant-usurers. Francesco di Marco Datini and Enrico Scrovegni.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1차 년도 연구 과제 학술지 게재>
    1차 년도 연구 과제는 2015년 5월 발간된 『서양사연구』52집에 게재하였다. 논문 제목은 「12-3세기 이자 대부를 둘러싼 논쟁: 자본주의의 서막인가?」. 원래 계획했던 논문의 제목은 12-3세기 이자 대부에 대한 교회의 파상공세였다. 하지만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 이자 대부를 둘러싼 논쟁이 자본주의 탄생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게 되었고 그러면서 좀 더 거시적인 관점에서 문제를 분석할 필요성을 느꼈다. 그런 연유로 처음에 의도했던 제목이 약간 수정되었다.
    이 논문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중세 말까지도 서유럽에서 교회법은 유저리(Usury)를 원금 이상의 것을 받는 모든 이자 대부로 규정하고 있었다. 여전히 이자 대부는 신의 질서를 거스르는 죄악이며 사회적으로 근절해야 할 악행으로 간주되고 있었다. 그러나 현실에서 이자 대부에 대한 교회와 세속 권력의 대응은 사회경제적 상황 변화에 따라 달라졌다.
    본론에서는 12-4세기 교회와 세속 권력이 어떻게 이자 대부를 규제했는지를 종교회의 법령, 왕실 법령 그리고 신학자와 교회법학자들의 저서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몇 가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명한 것은 12-3세기 이자 대부가 일반화되면서 여러 가지 사회 문제가 발생하였고 이에 따라 교회와 세속의 제후들은 이런 문제들을 본격적으로 논의하기 시작했고 이에 대해 각자 나름의 조취를 취했다. 원칙적으로 성경의 가르침을 충분히 따른다면 모든 이자 대부를 처벌하고 금지해야 했다. 그러나 현실에서 이자 대부라는 죄악을 뿌리 뽑는데 있어 모든 사회와 집단이 한 목소리를 내지는 않았다. 고위 성직자들은 명백한 이자 대부업자만을 처벌할 것을 주장했던 반면 신학자들이나 도시를 돌며 설교를 하는 수도사들은 모든 이자 대부를 완전히 제거할 것을 요구했다. 잉글랜드와 프랑스의 왕실 그리고 신민들은 이탈리아 출신과 유대인 이자 대부업자를 처벌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위의 결론에 비추어 볼 때 이자 대부를 금하는 교회의 윤리적인 경제관념이 자본주의 형성에 장애물 역할을 했다는 르 고프의 지적은 부분적으로 재고의 여지가 있다. 왜냐하면 교회와 세속 권력이 한 목소리로 이자 대부의 근절을 주장할 정도로 강력하고 집중적인 공세를 취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르 고프의 지적은 여전히 설득력을 가지며 유효하다. 우선 이자 대부업자에 대한 종교적 제제와 법적 처벌이 완전히 사문화되지 않았고 게다가 자본주의 탄생에 선구적 역할을 했던 이탈리아 상인과 은행가들은 유대인과 함께 항상 처벌과 추방의 위협을 받고 있었기 때문이다. 롬바르드 족속이라는 경멸적인 호칭으로 불리며 이자 대부업자로 간주되었던 이탈리아 상인들은 유럽 전역에서 사회적 비난과 법적 처벌을 가장 많이 받았다. 그러기에 이탈리아 상인들이 이자 대부를 죄악시하는 교회의 가르침과 사회적 제제에 어떻게 대응했는지를 분석해야만 이에 대한 최종적인 결론을 내릴 수 있을 것이다.


    <2차 년도 연구 과제: 수정 및 변경>

    1차 년도 연구 과제를 논문으로 출판하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이탈리아 상인들이 이자 대부를 죄악시하는 교회의 가르침과 사회적 제제를 어떻게 피했는지를 알아야지만 본 연구의 전체 주제에 대한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2차 년도 연구 주제(중세 교회의 이자 대부 금지에 대한 이탈리아 상인들의 대응)를 분석하는 과정에 여러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우선 다루어야 할 내용이 너무 방대하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이자를 숨기기 위해 이탈리아 상인들은 다양한 수단을 만들어냈다. 이자를 숨기기 위해 이탈리아 상인들이 활용했던 여러 방법들에 대해서 심도 있는 분석을 진행하려면 작은 논문 하나로는 부족하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그런 연유로 구체적인 사례 연구를 통해 이자 대부 금지에 대한 이탈리아 상인들의 대응을 알아보는 것이 방법론상으로 현실적일 것이다. 이런 방식은 미시적인 사건을 통해 거시적인 담론을 이해하는 것이다. 사료와 자료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이에 적합한 여러 사례들을 발견했다.
    하나의 대안은 중세 말 이탈리아 상인중에 가장 많은 문서를 남긴 프라토 출신의 거상 프란체스코 디 마르코의 사례를 분석하는 것이다. 다티니 또한 동시대의 다른 이탈리아 상인들처럼 이자 대부를 했다. 특히 다티니의 환어음 거래를 분석하면 이탈리아 상인들이 이자 대부에 대한 비난과 처벌을 피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는지 밝힐 수 있을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서양사에서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간과되었던 주제를 소개한다는 점에서 일차적인 의미가 있을 것이다. 정신적 측면에서 자본주의 탄생을 분석하는 연구는 주로 막스 베버가 제기한 문제를 푸는데 집중되었다. 즉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가 자본주의의 성장을 촉진시켰는지를 역사적으로 검증하는데 연구가 집중되었다. 그런 점에서 본 연구는 자본주의 초기 발전 과정을 좀 더 상세하게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본 연구는 국내 서양사학계에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제공하는 것 이외에 학제간의 공동 연구를 위한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자본주의 역사를 연구하는 것은 역사학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자본주의가 성장 발전하는데 있어 윤리의 문제는 매우 중요한 요소였다. 그런 점에서 자본주의를 온전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역사학, 경제학, 윤리학 등의 다양한 학문 간의 공동 연구가 절실히 요구된다.
    본 연구는 더 나은 자본주의, 다른 말로 표현하면 윤리적이고 공정한 자본주의를 고민하고 모색할 계기를 제공할 것이다. 이윤을 얻고자 하는 욕망을 7가지 큰 죄 중 하나로 비난했던 중세 교회의 도덕이 현실과는 동떨어진 이상적인 주장이었을지 몰라도 게걸스럽게 먹어도 멈추지 못하는 인간의 탐욕을 어느 정도 제어하는 역할을 했던 사실이다. 윤리를 벗어던진 현대 자본주의에서 탐욕은 더욱 제어하기 힘들어졌다. 또한 현대 자본주의는 엄청난 물질적 풍요를 가져다주었지만 생태계의 파괴, 부의 불균등, 사회적 불평등과 같은 사회적 문제를 낳았다. 이제 다시 윤리적인 자본주의를 고민해야만 한다. 그런 점에서 윤리적 자본주의가 가능하다는 D. W. Haslett의 지적은 다시 한 번 새겨볼만하다. D. W. Haslett, Capitalism with morality(Oxford, 1994), p. 264.

    본 연구 성과를 사학과 전공 수업에 활용할 계획이다. 본 연구에서 얻은 여러 가지 지식과 정보를 학생들과 공유할 것이다.
  • 색인어
  • 이자대부, 고리대금, 자본주의, 유대인, 이탈리아 상인, 종교회의, 인노켄티우스 3세, 자크 르 고프, 단테, 환어음, 칠죄종, 지옥, 연옥, 면벌부.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