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업-가정-지역사회의 지속가능 모델에 관한 연구: IT기반의 참여와 협업을 중심으로
Improving Social Well-Being through Sustainable Governance Building among Company, Family, and community: Focused on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Utilizing IT(Information & Technology)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한국사회과학연구(SSK)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4S1A3A2044594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3 년 (2014년 09월 01일 ~ 2017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박철
연구수행기관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정수연(고려대학교)
이현아(서울대학교)
구혜령(서울대학교)
전종근(한국외국어대학교)
이승미(우석대학교)
김선미(광주대학교)
이태민(충북대학교)
김은정(계명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가정은 근로자로서, 소비자로서 기업과 밀접히 연결되어 있으며, 일과 소비는 우리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임. 또한 지역공동체는 일과 소비활동의 중요한 터전이 되며, 건전한 지역공동체의 형성과 발전은 삶의 질 향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 지속가능한 기업-가정-지역사회의 발전 모델은 국민행복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함. 기업과 가정 간에는 ‘일가정 양립과 가족친화기업의 모델개발’, 기업과 소비자(가정) 간에는 ‘참여와 협업을 통한 공동가치창출’, 기업과 지역사회 간에는 ‘효과적인 사회적 서비스/경제의 개발과 활성화’, 가정과 지역사회 간에는 ‘지속가능한 지역공동체 형성과 발전’이라는 중요한 연구주제들이 존재하고 있음. 특히 최근 IT(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말미암아 이전에는 상상도 할 수 없는 기업-가정-지역사회의 지속가능한 모델을 개발하고 실현시킬 수 있게 됨. 따라서 각 전공분야에서 단편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이러한 연구들을 학제간 연구를 통해 보다 통합적으로 전개해야 하며, 이를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더 실현가능하고 지속가능한 기업-가정-지역사회의 관계모델이 개발 될 수 있을 것임. 본 사업단은 경영학, 전자상거래, 소비자학, 가족자원경영, 사회복지학 등 다양한 전공분야 전문가로 연합팀을 구성하여 삶의 질 향상을 위해 IT기반의 기업-가정-지역사회의 지속가능한 모델을 연구하고자 함. 구체적으로 연구목표는 첫째, 일-가정 양립을 위한 가족친화기업 만들기 및 지원서비스를 설계하고자 함. 이를 위해 세부연구과제 ‘기업과 가정의 상생편익을 추구하는 가족친화제도 개발’ 및 ‘지역기반 일가정 양립지원 서비스 설계방안’ 수행할 예정임. 둘째, 지역커뮤니티 기반의 기업-소비자 협력을 통한 사회적경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이를 위해 세부연구과제 ‘지역커뮤니티 기업과 소비자의 협력을 통한 사회적 경제 활성화,’ ‘공동생산을 통한 지역인지적 사회적 서비스기반확충,’ 및 '고객참여를 통한 사회서비스 공급.소비 창조적 통합모델'을 수행할 예정임. 셋째, IT와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지속가능한 소비 및 Social well-being 방안을 구축하고자 함. 세부연구과제 ‘소셜네트웍을 통한 공유소비의 지속가능모델 개발,’ ‘지속가능 삶 위한 가계재무관리와 소비방식전환연구,’ ‘정보연결 플랫폼 개발을 통한 사회적 경제활성화’ 를 수행할 예정임.
  • 기대효과
  • 첫째, 기업들에게 다음과 같은 유용한 시사점과 실행방안을 제시할 것으로 보임 1) 일-가정 양립을 위한 가족친화 제도를 만드는데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임. 세부과제 ‘기업과 가정의 상생편익을 추구하는 가족친화제도 개발’의 연구결과와 우수사례들을 전국경제인연합회, 삼성그룹, 현대그룹에게 제시하고 공유할 예정임. 2) 세부연구과제 ‘효과적인 사회적 서비스/경제의 개발과 활성화’를 통해서는 다양한 사회적 기업 창업과 운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임 둘째, (지방)정부 및 공공기관에게 다음과 같은 유용한 시사점과 정책 또는 법안 입안에 일조할 것으로 보임. 1) 여성가족부와 산업통상부에서가족친화제도 지원제도 마련에 도움을 줄 수 있음. 2) 지방정부에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는데 시사점을 줄 수 있음. '지역커뮤니티 기반의 기업-소비자 협력을 통한 사회적경제 활성화 방안의 연구결과를 제공할 예정임 또한 ‘공동생산을 통한 지역인지적 사회적 서비스기반확충’과 '고객참여를 통한 사회서비스 공급.소비 창조적 통합모델이라는 연구결과는 지역사회서비스 기반 확충에 하는데 도움을 줄 것임. 이 연구결과들은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지방자치단체(광주광역시 또는 세종특별시)와 공동 심포지엄 개최하여 연구성과 확산 및 홍보할 예정임. 셋째, 가정과 소비자들에게 건정한 가계재무설계와 소비방식을 제공할 수 있을 것임. 세부연구과제 ‘소셜네트웍을 통한 공유소비의 지속가능모델 개발’과 ‘지속가능 삶 위한 가계재무관리와 소비방식전환연구’를 통해 이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또한 이 연구결과는 한국정보화진흥원 및 한국소비자원의 정책입안에 도움을 줄 것임. 넷째, 6개의 세부연구과제를 수행하면서 신진연구인력인 학, 석, 박사과정의 학생들을 적극 참여시켜 학문후속세대를 효과적으로 양성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연구의 설계와 진행, 논문작성, 학회발표, 프로젝트관리 등을 배우게 함으로써 이러한 효과를 거둘 수 있음. 뿐 만 아니라, 연구의 결과는 대학교육에서 다양하고 현장감 있는 학습자료로 사용되어 대학교육의 질을 높이는데 일조할 것으로 보임.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지속가능한 기업-가정-지역사회의 역학관계를 개발하고 연구할 예정임. 기업과 가정 간에는 ‘일가정 양립과 가족친화기업의 모델개발’, 기업과 소비자(가정) 간에는 ‘참여와 협업을 통한 공동가치창출’, 기업과 지역사회 간에는 ‘효과적인 사회적 서비스/경제의 개발과 활성화’, 가정과 지역사회 간에는 ‘지속가능한 지역공동체 형성과 발전’이라는 중요한 연구주제들을 본 연구단에서는 다룰 예정임. 특히 최근 급격히 발전하고 있는 IT(정보통신기술)의 인프라를 십분 활용하여 실현가능하고, 지속가능한 모델들을 제시할 계획임. 본 연구모델의 기본 가치는 기업, 가정, 지역사회의 ‘참여’와 ‘협업’, IT인프라의 '효율‘, 그리고 정부의 ‘지원’이며, 실현가능성과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토대로 ‘IT 및 정보 인프라의 활용’과 ‘정책입안과의 연결’에 중점을 둠. 3년간 ‘기업과 가정의 상생편익을 추구하는 가족친화제도 개발,’ ‘정보연결 플랫폼 개발을 통한 지역커뮤니티 기업과 소비자의 협력을 통한 사회적 경제 활성화,’ ‘공동생산을 통한 지역인지적 사회적 서비스기반확충,’ ‘고객참여를 통한 사회서비스 공급.소비 창조적 통합모델 수행,’ ‘소셜네트워크를 통한 공유소비의 지속가능모델 개발,’ ‘지속가능 삶 위한 가계재무관리와 소비방식전환연구,’ 등 총 6개의 세부연구과제를 수행하여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업-가정-지역사회의 지속가능한 역학관계를 개발하고 검증할 계획임. 이를 위해 경영학, 소비자학, 가정학, 사회복지학을 전공한 연합팀의 공동연구, 정기적인 미팅 및 세미나, 국내외 학술대회 특별세션 구성/공동발표 할 예정이며, 여성가족부, 보건복지부, 산업통상부,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지방자치단체(광주광역시 또는 세종특별시), 중앙자활센터, 보육진흥원, 한국정보화진흥원, 한국소비자원, 삼성그룹, 현대그룹, 전국경제인연합회 등 정부기관 및 기업과 세미나/심포지엄/정책제안을 할 예정임. 또한 신진연구인력인 대학원 석박사과정을 연구에 적극 참여시켜 학문후속세대를 양성시킬 예정이며, 세계적인 수준의 학회 및 저널에 논문을 게재하고, 국제학회/심포지엄을 유치하여 성과확산 및 홍보할 예정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지속가능한 기업-가정-지역사회의 역학관계 개발’을 목표로 하여
    -가정 양립을 위한 가족친화기업 만들기 및 지원서비스 설계, 지역 커뮤니티 기반 기업-소비자 협력을 통한 사회적 경제 활성화 방안, IT와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지속가능한 소비 및 social well-being 방안 구축의 세부과제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기업과 가정의 상생편익을 추구하는 가족친화제도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고, 공동생산을 통한 지역인지적 사회적 서비스기반확충을 제시하였다. 또한 사회적 자본 형성을 위한 지역사회 주체간의 협력방안과 정보연결 플랫폼 개발을 통한 지역커뮤니티 기업과 소비자의 협력을 통한 사회적 경제 활성화를 제시하였고, 소셜네트워크를 통한 공유소비의 지속가능모델 개발하였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family - friendly company and support service for the balance of work and family with the aim of developing the dynamics of sustainable corporation - family - community that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social and economic well-being, and social and economic well-being. As a result, we propose a plan to develop a family - friendly system that pursues mutual benefit for the enterprise and the family, and propose the expansion of the local intellectual social service base through joint production. In addition, we suggested the social economy activation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local community companies and consumers through cooperation between community actors for social capital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nnection platform, and developed a sustainable model of shared consumption through social network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지속가능한 기업-가정-지역사회의 역학관계 개발’을 비전으로 하여, 일-가정 양립을 위한 가족친화기업 만들기 및 지원서비스 설계, 지역 커뮤니티 기반 기업-소비자 협력을 통한 사회적 경제 활성화 방안, IT와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지속가능한 소비 및 social well-being 방안 구축을 목표로 연구를 추진하였음. 세부연구과제 중심으로 3년간의 연구 성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음.
    - 기업과 가정의 상생편익을 추구하는 가족친화제도 개발 : 기혼남녀근로자의 생활시간 분석을 통해 근로자의 일상적 삶의 조건과 방식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고, 양성평등한 부모권 확보와 일가정양립지원정책 활용의 효과성 제고를 위해 일-가정 불균형이 상대적으로 심각한 남성근로자에 주목하여 기혼남성 근로자의 일-가정 갈등 양상, 아버지의 돌봄노동시간 결정요인 분석, 돌봄시간지원정책 이용 의향 및 일-가정양립지원정책에 대한 태도를 분석함. 또한 가족친화인증제도의 확산과 제도 개선을 위해 인증 기업의 재무성과와 근로자의 일가정 균형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가족친화 미인증기업 대상으로 가족친화인증에 대한 다양한 인식과 이를 규정하는 기업의 구조적 맥락을 질적 연구를 통해 분석함.
    - 공동생산을 통한 지역인지적 사회적 서비스기반확충 : 일-가정양립을 위한 사회적 지지망의 지형도 파악을 위해 아이돌봄서비스 이용의 어려움과 대처방식, 이용가정의 유형을 분석하였으며, 부족한 공적 양육지원체계의 보완기제로서 할머니들의 양육지원 현상을 다각도로 분석함.
    - 사회적 자본 형성을 위한 지역사회 주체간의 협력 : 광주서구문화센터 내 로비와 공익카페가 제3공간으로 거듭나게 하는 실행 연구를 통해 사회적 자본 형성을 위한 지역사회 공간 활용의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건강가정지원센터 아버지사업 연구를 통해 아버지들이 지역사회 내에서 이웃이나 다른 체계와의 연대, 협동을 통해 성장할 수 있음을 규명함.
    - 정보연결 플랫폼 개발을 통한 지역커뮤니티 기업과 소비자의 협력을 통한 사회적 경제 활성화 : 한국, 미국, 중국, 일본 소비자 대상의 모바일 정보활용에 관한 사회인식 영향력 비교분석, 한국/중국/미국의 IT 활용(모바일정보)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비교분석을 통해 정보역량 향상을 위한 정보연결 플랫폼 개발의 주요 특성을 규명하였음. 또한 IT를 활용한 기업-지역사회 혁신모델인 사마소스 사례 분석, 사회적 기업인 에코맘 분석을 통해 소비자(가정)-기업-지역사회 협력을 통한 각 주체의 상생과 사회혁신의 가능성을 규명함.
    - 고객참여를 통한 사회서비스 공급·소비 창조적 통합모델 수행 : IT기반 고객참여의 토대마련을 위한 SNS 구전과 소셜게임 접근연구, 보육서비스를 중심으로 고객 참여의 양면적 효과 분석, 육아커뮤니티의 온라인구전정보 활용의 영향요인 분석 등을 통해 고객의 참여에 의한 소비의사결정 형태 및 기업의 변화를 규명함으로서 창조적 통합모델의 기반을 마련함.
    - 소셜네트워크를 통한 공유소비의 지속가능모델 개발 : 소비자 혁신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카셰어링 이용의도의 결정요인을 분석함으로서 최근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공유소비, 공유경제의 지속가능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함.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 제3차 건강가정기본계획의 대영역 ‘가족생활의 질 향상’을 가치, 관계, 안전의 세 영역으로 구성할 것과 대영역 ‘가족정책 인프라’에서 건강가정지원센터 확대방안의 정책과제를 제안
    - 아이돌봄지원사업의 문제점을 이용자의 경험을 통해 제언함. 제도결함 서비스특징, 이용자의 심리적 내적 요인, 사회구조적으로 대안의 활용가능성과 맞벌이가정의 근로여건 서비스기관관리자의 재량 등 세부사항별로 조언함. 이용자와 아이돌보미를 연계하는 중간관리자에 대한 연구 제언
    - 여성가족부 가족정책과의 가족친화인증기업 조사 협조에 대한 피드백을 실시하고, 가족친화인증제의 재무적, 비재무적 효과에 관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의 활용방안과 제도 홍보 및 개선 방안을 제시
    - 여성가족부 가족정책과와의 회의를 통하여 가족친화마을만들기 시범사업 성과를 검토하고 그 동안의 중단사유를 점검, 주민주체에 의한 가족친화마을만들기 시범사업에 대한 향후 전개방향을 논의
    - 고객참여를 통한 사회서비스 공급·소비 창조적 통합모델 수행 : IT기반 고객참여의 토대마련을 위한 SNS 구전과 소셜게임 접근연구, 보육서비스를 중심으로 고객 참여의 양면적 효과 분석, 육아커뮤니티의 온라인구전정보 활용의 영향요인 분석 등을 통해 고객의 참여에 의한 소비의사결정 형태 및 기업의 변화를 규명함으로서 창조적 통합모델의 기반을 마련
    - 소셜네트워크를 통한 공유소비의 지속가능모델 개발 : 소비자 혁신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카셰어링 이용의도의 결정요인을 분석함으로서 최근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공유소비, 공유경제의 지속가능모델 개발을 위한 시사점 제공.
  • 색인어
  • 기업 가정 지역 IT 삶의질 지속가능 일가정양립 가족친화기업 협력적소비 소셜미디어 웰빙 사회서비스 사회적기업 돌봄서비스 국제비교연구 사회혁신 정보연결플랫폼 고객참여 보육서비스 온라인구전 공유소비 공유경제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