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지속가능한 기업-가정-지역사회의 역학관계를 개발하고 연구할 예정임. 기업과 가정 간에는 ‘일가정 양립과 가족친화기업의 모델개발’, 기업과 소비자(가정) 간에는 ‘참여와 협업을 통한 공동가치창출’, 기업과 지역사회 간에는 ‘효과적 ...
본 연구는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지속가능한 기업-가정-지역사회의 역학관계를 개발하고 연구할 예정임. 기업과 가정 간에는 ‘일가정 양립과 가족친화기업의 모델개발’, 기업과 소비자(가정) 간에는 ‘참여와 협업을 통한 공동가치창출’, 기업과 지역사회 간에는 ‘효과적인 사회적 서비스/경제의 개발과 활성화’, 가정과 지역사회 간에는 ‘지속가능한 지역공동체 형성과 발전’이라는 중요한 연구주제들을 본 연구단에서는 다룰 예정임. 특히 최근 급격히 발전하고 있는 IT(정보통신기술)의 인프라를 십분 활용하여 실현가능하고, 지속가능한 모델들을 제시할 계획임. 본 연구모델의 기본 가치는 기업, 가정, 지역사회의 ‘참여’와 ‘협업’, IT인프라의 '효율‘, 그리고 정부의 ‘지원’이며, 실현가능성과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토대로 ‘IT 및 정보 인프라의 활용’과 ‘정책입안과의 연결’에 중점을 둠. 3년간 ‘기업과 가정의 상생편익을 추구하는 가족친화제도 개발,’ ‘정보연결 플랫폼 개발을 통한 지역커뮤니티 기업과 소비자의 협력을 통한 사회적 경제 활성화,’ ‘공동생산을 통한 지역인지적 사회적 서비스기반확충,’ ‘고객참여를 통한 사회서비스 공급.소비 창조적 통합모델 수행,’ ‘소셜네트워크를 통한 공유소비의 지속가능모델 개발,’ ‘지속가능 삶 위한 가계재무관리와 소비방식전환연구,’ 등 총 6개의 세부연구과제를 수행하여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업-가정-지역사회의 지속가능한 역학관계를 개발하고 검증할 계획임. 이를 위해 경영학, 소비자학, 가정학, 사회복지학을 전공한 연합팀의 공동연구, 정기적인 미팅 및 세미나, 국내외 학술대회 특별세션 구성/공동발표 할 예정이며, 여성가족부, 보건복지부, 산업통상부,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지방자치단체(광주광역시 또는 세종특별시), 중앙자활센터, 보육진흥원, 한국정보화진흥원, 한국소비자원, 삼성그룹, 현대그룹, 전국경제인연합회 등 정부기관 및 기업과 세미나/심포지엄/정책제안을 할 예정임. 또한 신진연구인력인 대학원 석박사과정을 연구에 적극 참여시켜 학문후속세대를 양성시킬 예정이며, 세계적인 수준의 학회 및 저널에 논문을 게재하고, 국제학회/심포지엄을 유치하여 성과확산 및 홍보할 예정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