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대학 교육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한 학습자지원체제 개발
Development of the learner support system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5S1A5A8017971
선정년도 2015 년
연구기간 3 년 (2015년 05월 01일 ~ 2018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홍성연
연구수행기관 아주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학습자지원체제란 학습자들이 원활한 대학생활과 성공적인 학습성과를 달성하도록 하기 위해 자원, 안내, 조언, 상담 등 유무형의 지원들이 교육과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제공되는 체제를 의미한다. 교육의 질을 제고하기 위해 대학은 지원적 교육환경을 제공하는 학습자지원체제로 재구조화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대학교육의 질을 제고하고 수요자의 요구에 부응하며 실제적으로 대학에 적용 가능한 학습자지원체제의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3차년에 걸쳐 계획되었다.
    1차 년도에는 대학교육의 효과와 질에 대한 구성원들의 인식의 차이를 공급자와 수요자의 관점에서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는 학습자지원체제의 발전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필요하다.
    2차 년도에는 학생들의 역량배양이 대학에서의 활동과 경험에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확인하고, 역량이 우수한 학생들이 대학에서 무엇을 배우고 경험하는지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대학에서 우수한 역량을 가진 학생들을 양성하기 위해 어떤 경험을 핵심적으로 제공해야 하는지 규명해보고자 한다. 이 결과는 3차년도 학습자지원의 주요 영역이 될 것이다.
    3차 년도에는 대학교육의 질에 대한 수요자의 인식(1차년도 연구성과)과 학생들에게 요구되는 경험(2차년도 연구성과)을 바탕으로 지원적인 교육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대학에서 무엇을 지원해야 하는지 구체적인 지원요구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교과, 비교과 교육과정과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입학에서 졸업까지 학습주기에 따라 효과적으로 학습자를 지원할 수 있는 학습자지원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교육학에서 상대적으로 연구가 활발하지 않은 고등교육분야에 대한 연구를 3개년에 걸쳐 집중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해당 분야의 학문적 발전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학습자지원체제라는 대학개혁의 실천적 지침과 전략을 산출함으로써 대학의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다.
    이 연구는 학문적으로 깊이있게 다루지 않았던 주제들을 다룬다는 점에서 고등교육의 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 대학교육의 질이 구성원에 따라 어떻게 인식되는지 분석하거나, 역량이 높은 학생들의 대학경험들을 분석하는 것은 이제까지 다루어지 않았던 주제이다. 또한 프로그램이나 서비스 단위로 연구되었던 학습자지원을 대학의 구조개혁과 연계하여 시스템적으로 연구함으로써 처음으로 학습자지원체제라는 개념을 구체화한다는 점도 학술적으로 의미가 있다.
    또한, 본 연구결과가 대학교육의 개혁과 발전을 위해 실제적으로 유의미하게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사회적 기여도도 충분하다. 학령인구감소, 교육의 질에 대한 책무성 증가, 교육부의 대학구조개혁 요구 등 급격한 변화와 혁신이 요구되는 대학이 개혁의 방향을 결정하는데 이 연구결과가 시사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사회적 측면의 효과를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 대학교육의 질과 효과에 대한 수요자의 인식을 밝힘으로써 수요자 중심의 대학교육 발전방향 수립에 기여
    ● 역량이 우수한 학생들의 교육경험을 검토함으로써 대학의 한정된 재원이 효율적으로 활용되도록 유도
    ● 대학에서 부수적으로 여겼던 학습자지원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제시하고 학습자지원체제라는 대학의 개혁을 위한 방향을 제시
  • 연구요약
  • 학습자지원체제란 학습자들이 원활한 대학생활과 성공적인 학습성과를 달성하도록 하기 위해 자원, 안내, 조언, 상담 등 유무형의 지원들이 교육과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제공되는 체제를 의미한다. 교육의 질을 제고하기 위해 대학은 지원적 교육환경을 제공하는 학습자지원체제로 재구조화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대학교육의 질을 제고하고 수요자의 요구에 부응하며 실제적으로 대학에 적용 가능한 학습자지원체제의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3차년에 걸쳐 계획되었다.
    1차년도의 목표는 대학교육의 질에 대한 공급자-수요자 간의 인식을 비교하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는 수요자 중심 학습자지원체제의 발전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필요하다. 이를 위해 1) 대학교육의 질과 효과성에 대한 국내외 선행연구 및 관련 자료 분석을 수행하고, 2) 공급자로서 교수·교직원을 대상으로 대학교육의 질과 효과에 대한 기대 및 인식을 조사하고, 3) 수요자로서 학생·학부모를 대상으로 대학교육의 질과 효과에 대한 기대 및 인식 조사하고, 4) 전문가 자문과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고등교육의 발전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인터뷰 대상은 집단별로 5명 내외(학생은 10명 이상)로 구성하며, 설문은 온라인을 통해 되도록 많은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2차년도의 목표는 역량이 우수한 학생들이 대학생활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했던 교육활동과 경험을 조사함으로써 역량배양을 위해 어떠한 활동과 경험이 중요한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 결과는 3차년도 학습자지원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이를 위해 1) 대학의 교육경험과 역량에 대한 선행연구 및 관련 자료를 분석하고, 2) 역량이 우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과 인터뷰를 통해 대학 교육경험 분석한 후, 3) 역량배양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적 교육경험 및 시기를 도출하고, 4) 대학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결과에 대한 타당성 검토받을 예정이다. 설문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수행한 대학생학습역량진단(K-CESA) 결과 여섯 영역 중 우수 이상의 영역이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며, 설문도구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개발한 ‘대학생학습과정실태조사’ 설문을 이 연구에 맞게 변형하여 사용할 예정이다. 현재 수도권 대학 중 하나의 협조를 얻었으며, 연구 기간 중 협조 대학의 수를 늘릴 예정이다.
    3차년도의 목적은 대학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학습자지원 요구를 분석하고 체제를 제안하는 것이다. 대학교육의 질에 대한 수요자의 인식(1차년도 연구성과)과 학생들에게 요구되는 경험(2차년도 연구성과)을 기초연구로 활용하여 교과, 비교과 교육과정과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입학에서 졸업까지 학습주기에 따라 효과적으로 학습자를 지원할 수 있는 학습자지원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1) 대학의 학습자지원과 학습자지원체제에 대한 선행연구와 관련 자료를 분석하고, 2) 학습, 활동, 관계의 질을 높이기 위한 지원 요구를 수집하기 위해 다수의 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고, 3) 학습자지원체제의 프레임워크 개발을 위해 대학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온라인설문에 학습자지원의 중요도-필요도 분석과 지원시기 등을 포함함으로써 학업주기와 연계된 학습자지원체제의 설계가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학습자지원체제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델파이조사를 통해 개발되고 개선되고 타당성이 검증될 것이다.
    본 연구는 고등교육의 연구영역을 확대했다는 점에서 학술적으로 의미가 있으며, 학습자지원체제를 대학의 발전 방안으로 제안했다는 점에서 실제적으로 의미가 있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대학은 학습자의 잠재적 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교육과 경험을 제공하는 지원의 장이 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대학이 지원적 교육환경을 제공하는 학생지원체제로 변화하기 위한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총 3년에 걸친 연구의 최종 목적은 학생지원체제를 제안하는 것이지만, 년차별로 각각의 세부 연구목표를 가지고 비교적 독립적으로 이루어졌다.

    1차 년도에는 대학 구성원의 대학교육 및 대학지원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교수 및 교직원을 대상으로 대학교육의 질과 효과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또한, 신입생을 대상으로 대학의 지원이 자기결정성 요인(유능감, 관계성, 자율성)을 통해 대학교육의 성과(학습성과, 대학만족, 미래기대)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살펴보았다. 대학의 지원은 관계성과 유능감을 매개로 학습성과, 대학만족도, 미래기대 등 대학의 교육성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2차 년도에는 우수한 대학생들이 대학에서 어떤 교육적 경험을 하며, 이러한 대학 교육과 활동에 참여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개인투자이론을 바탕으로 우수한 공대생 다섯 명의 자아감과 대학환경에 대한 인식, 행동패턴 등을 통해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수행하게 된 원인을 분석해 본 결과, 효과적인 자기관리, 원만한 대인관계, 성실한 학습태도와 생활태도, 그리고 비교적 명확하고 빠른 진로계획 등이 적극적으로 교육 활동에 참여하도록 하는 긍정적인 결과를 이끈 것으로 나타났다.

    3차 년도에는 학생들이 충분한 학습과 경험을 하기 위해 대학에서 무엇을 지원해야 하는지 분석하고, 이를 입학에서 졸업까지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프레임워크로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대학에서의 학생지원의 목적이 대학생의 효과적인 전환이라고 상정하고, 이를 지원해 줄 학생지원모형을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개발하였다.

    이 외에도 토픽모델링 기법에 따라 학생지원에 대한 고등교육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 연구는 대학에서 부수적으로 여겨졌던 학생지원과 관련된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이 분야의 이론적 논의를 심화시켰으며, 학생지원을 확대하고자 하는 대학에도 실제적인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 영문
  • The university should provide appropriate supports for students to engage the educational experiences for developing their potential competenci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the conceptual framework of student support system creating supportive educational environments from entrance to graduation in higher education. The goal of the three-year research was to propose a student support framework, however, the studies conducted in each year were designated for separate and individual purposes.

    The purpose of the first year study was to recognize how faculty, staff, and students’ perceptions were different in the education quality and students supports in higher education. Five faculties and five staff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the interview about the quality and support services in higher education. In addition, 379 first-year students answered the survey which investigated the effect of student supports and three elements of self-determination theory (autonomy, relatedness and competence) on first-year student outcome (learning achievement, university satisfaction and further expectation). The result implied that student support to promote relatedness and competence would be effective in order to improve learning achievement, university satisfaction and further expectation.

    The purposes of the second year study were to analyze the educational experiences of competent students and to find the reason why they invest their time and efforts engaging in school activities. Five students with high GPA and K-CESA scores, and successful employment or entrance into graduate school,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the interview. As a result, the competent engineering students were able to manage themselves, in maintaining a good relationship with the collegiate, and in having high self-efficiency. Offering freshman foundation programs, building the relationship in college, providing students' activities related to the future career, and supporting economic stability during studies were suggested for supporting students in universities.

    The purpose of the third year study was to suggest the student support framework for promoting student transitions in higher education. According to delphi method, 16 experts answered the questionnaire three times. As the final outcome, two student support models were suggest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대학은 학습자의 잠재적 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교육과 경험을 제공하는 지원의 장이 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대학이 지원적 교육환경을 제공하는 학생지원체제로 변화하기 위한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총 3년에 걸친 연구의 최종 목적은 학생지원체제를 제안하는 것이지만, 년차별로 각각의 세부 연구목표를 가지고 비교적 독립적으로 이루어졌다.

    1차 년도에는 대학 구성원의 대학교육 및 대학지원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교수 및 교직원을 대상으로 대학교육의 질과 효과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또한, 신입생을 대상으로 대학의 지원이 자기결정성 요인(유능감, 관계성, 자율성)을 통해 대학교육의 성과(학습성과, 대학만족, 미래기대)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살펴보았다. 대학의 지원은 관계성과 유능감을 매개로 학습성과, 대학만족도, 미래기대 등 대학의 교육성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2차 년도에는 우수한 대학생들이 대학에서 어떤 교육적 경험을 하며, 이러한 대학 교육과 활동에 참여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개인투자이론을 바탕으로 우수한 공대생 다섯 명의 자아감과 대학환경에 대한 인식, 행동패턴 등을 통해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수행하게 된 원인을 분석해 본 결과, 효과적인 자기관리, 원만한 대인관계, 성실한 학습태도와 생활태도, 그리고 비교적 명확하고 빠른 진로계획 등이 적극적으로 교육 활동에 참여하도록 하는 긍정적인 결과를 이끈 것으로 나타났다.

    3차 년도에는 학생들이 충분한 학습과 경험을 하기 위해 대학에서 무엇을 지원해야 하는지 분석하고, 이를 입학에서 졸업까지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프레임워크로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대학에서의 학생지원의 목적이 대학생의 효과적인 전환이라고 상정하고, 이를 지원해 줄 학생지원모형을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개발하였다.

    이 외에도 토픽모델링 기법에 따라 학생지원에 대한 고등교육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 연구는 대학에서 부수적으로 여겨졌던 학생지원과 관련된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이 분야의 이론적 논의를 심화시켰으며, 학생지원을 확대하고자 하는 대학에도 실제적인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를 통해 대학생의 교육경험과 학생지원을 연계한 3편의 논문을 작성하였다. 수행된 연구를 통해 대학의 지원은 신입생의 관계성과 유능감 향상에 기여하였으며, 이는 학습성과, 대학만족도, 미래기대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학에서 우수한 역량을 가진 학생들은 효과적인 자기관리와 원만한 대인관계, 그리고 성실한 생활태도로 교내외 활동에 참여하였으며, 이를 통해 비교적 명확한 진로계획을 세울 수 있었다. 대학은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여러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대학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대학에서의 학생지원은 입학에서부터 취업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범주에서 연구되어 왔으며, 최근들어 국내는 물론 국외에서도 관련 연구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등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그동안 우리 대학에서 주변부로 밀려 있었던 학생지원의 실제적인 효용성을 인식하게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실제 대학이 무엇을 목적으로 학생들을 지원해야 하는지, 수업 외에 어떤 교육적 경험이 학생의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지, 언제 어떤 기준에서 학생을 지원해야 하는지 등 대학교육의 질을 개선하고, 대학 교육과 대학생활을 실제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이는 대학과 대학생의 교육경험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는 학자들에게 선행연구로 유의미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학생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자 하는 고등교육 기관에도 실제적인 도움을 제공해 줄 수 있기를 희망한다.
  • 색인어
  • 고등교육, 학습자지원, 학생지원, 학생서비스, 신입생경험, 교육경험, 학생지원모형, 대학에서 전환, 자기결정성, 개인투자이론, 토픽모델링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