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고대교회슬라브어 번역에서 어휘적 다양성과 형태적 통일성의 상관관계 연구
Lexical Diversity or Formal Uniformity in the Old Church Slavic Translation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20417
선정년도 2016 년
연구기간 1 년 (2016년 05월 01일 ~ 2017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채유정
연구수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고대슬라브어의 전통을 잘 간직하고 있는 클리멘트 오흐리드스키의 저작 ‘성 키릴 찬미가’에 나타난 성경인용구와 복합어를 언어학적으로 분석하고 연구하는 것을 일차적인 연구 목적으로 하고 있다. 클리멘트 오흐리드스키의 위 저작은 아직까지 국내에서 단 한번도 연구가 되지 않는 문헌이지만 슬라브어 역사언어학 분야에서는 매우 중요한 고전으로 통하는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은 문헌이다. 연구 1차 자료에서 성경인용구와 복합어를 추출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우선 성경인용구의 경우에는 어구의 성격상 매우 보수적이고 통일된 번역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는 언어기제이다. 왜냐하면 성경 그자체가 갖는 외경성으로 인하여 필사자나 번역자들이 감히 자신의 언어적 지식을 이용한 개작이나 개편을 시도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러한 일반적인 경향에도 불구하고 고대슬라브어에서 다양한 변이형태가 나타날 가능성이 보이는데, 그 이유는 고대슬라브어 성경인용구의 원전이 바로 그리스어 성경본이었으며, 이 과정에서 다양한 어휘적 선택과 변형이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복합어를 연구하는 이유는 교회용어들과 달리 복합어에서는 일상생활 어휘들이 자주 나타나기 때문에 다양한 어휘적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제들에 의해 초기 필사되고, 교회의식이나 교회교육용으로 사용되었다는 점을 본다면 보수적 성향도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연구 1차 자료에 나타난 성경인용구와 복합어를 추출하고 분석한 이후에는 통시적, 공시적 관점에서 추출된 인용구와 복합어를 다른 필사본과 번역본과 비교연구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비교연구를 통하여 성경인용구와 복합어가 통시적이고 공시적인 관점에서 어떻게 번역되고 있는가를 밝힐 것이며 이를 통하여 개별 필사본과 번역본의 작가들이 갖고 있는 번역과정에서의 원칙과 이들 속에서 나타나는 번역 특성들을 찾아내게 될 것이다. 이것이 본 연구의 두 번째 목적이다.
    일반적으로 번역과정에서는 필자와 독자 중 어느 주체를 중심으로 작업하는 가에 따라 형태적 통일성이나 어휘적 다양성이 선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필자가 중심이 된 경우에는 원전과 번역본의 형태적 통일성에 그 무게나 가치를 더 두게 되어있다. 반면에 독자가 중심이 된 경우에는 원전과의 통일성 보다는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어휘적 다양성이 채택되는 경우가 더 많다. 이러한 일반적인 원칙들이 과연 고대슬라브어 문헌 필사와 번역에도 적용되었는지, 적용되었다면 과연 어떠한 특성을 추가적으로 보이는지를 본 연구에서는 깊이 있게 다룰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개별 필사본이나 번역본의 성격 규정을 할 수 있을 것이며, 아울러 이것은 번역자들의 성향 혹은 나아가서 동시대 번역자들에게 나타난 사회언어학적 경향이나 특징을 연역할 수 있는 모티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규명하고 밝힐 수 있을 것이다. 1. 학술적으로 가장 중요한 의미로서, 고대슬라브어 문헌의 번역과정에서 나타나는 번역의 대표적 특징을 고찰할 수 있다. 과연 그들은 어휘의 자유로운 선택(Lexical Diversity)과 형태적 통일성(Formal Uniformity) 중에서 어떤 측면을 더 중요시하는 문제이다. 이것은 다양성과 통일성이라는 언어철학적 문제의 사유가 될 수도 있고, 고대슬라브인들이나 현대 불가리아인들의 번역과정에서의 해석의 문제와 특성을 규명할 수도 있다. 2. 번역과정에서 어휘의 선택이 이루어졌다면 그 양상을 더 깊이 연구하여 번역자들의 언어 운용 양상을 역으로 규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당시의 사회문화적 특성과 인문학적 연구 방향을 추적할 수 있다. 3. 언어의 역사적 변화 연구는 항상 미래변화를 담보로 한다. 고대슬라브어에서 현대 불가리아어로 진행된 일련의 통시적 번역 과정과 특성 분석을 바탕으로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번역본을 선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향후 언어변화나 사용상의 특이성을 조심스럽게 관측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고대슬라브어연구 중 번역학이나 해석학 분야에서 새로운 연구 패러다임을 만들어낼 것이다. 아울러 슬라브어 번역학이나 해석학 강의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연구이론이나 논문자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현대 불가리아어 교육 분야에서도 어휘선택 문제의 형태적 보수성의 주제로 교육 자료로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점에서 본 연구는 꼭 필요한 연구이다. 이제 한국에서의 고대슬라브어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도 30여년 이상의 역사를 갖고 있다. 학문적 성숙 단계로 도약할 시기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아직까지 한 번도 한국에서 연구되지 않았고 학문적으로도 매우 가치 있는 문헌에 대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꼭 필요한 시점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수행되게 된다. 1. 우선 1단계에서는 클리멘트 오흐리드스키의 ‘성 키릴 찬미가’를 서지학적으로 규명하고 이 문헌에 나오는 성경인용구와 복합어를 추출하게 될 것이다. 많은 재료 중에서 특별히 성경인용구를 선택하게 된 이유는 바로 성경인용구가 갖고 있는 보수성 때문이다. 성경의 번역 필사자들은 성경 어구를 번역 혹은 필사할 때 그 원본과 가장 가까운 형태로 번역이나 필사를 하고자 노력한다. 이것은 성경 그 자체가 갖는 신성성의 유지라고도 볼 수 있다. 따라서 어휘의 자유로운 선택(Lexical Diversity)보다는 형태적 통일성(Formal Uniformity)이 중시된다고 볼 수 있다. 2. 다음으로 이렇게 추출된 성경인용구와 복합어를 다른 고대슬라브 번역본과 현대불가리아어 번역본 그리고 그리스어 원전과 공시적, 통시적 관점에서 비교 고찰하게 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리멘트 오흐리드스키의 ‘성 키릴 찬미가’는 원전에 가장 가까운 두 가지의 판본이 존재한다. 이들 필사본을 그리스 원전과 비교하게 될 것이다. 비교에 이용될 문헌들의 서지학적 정보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판본은 단 하나의 필사본만 남아 있는 것으로 러시아 학자인 П. И. Севастиянов가 발견한 것으로 현대 모스크바 국립도서관에 보존되어 있다(Москва, ГРБ, а. 270 № 1467). 두 번째 판본은 14세기부터 17세기까지 총 24개의 필사본이 존재한다. 비교 분석하게 될 현대 불가리아 번역본은 총 여섯 개로서 계획서에 자세한 서지사항이 기록되어 있다.
    본 연구는 소외학문분야이다. 한국연구재단의 학문 분류표에서도 볼 수 있듯이 본 연구가 속하는 고대슬라브어문학은 개별 학문 분과가 아닌 기타 서양어문학 분과에 속해 있다. 현대 슬라브어문학에 대한 연구자도 일천한 가운데 고대슬라브어문학에 대한 연구는 그야말로 소외학문분야 중에서도 가장 소외된 부분이다. 그러나 이 분야의 연구를 반드시 지속해야 하는 이유는 유관 분야 연구의 기반역할을 하는 연구 분야이기 때문이다. 러시아어문학을 비롯한 슬라브어문학을 심도 있게 연구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와 같은 통시적이고, 서지학적이며 어휘론, 번역학, 해석학 등을 아우르는 학문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사실은 현재 국내외 대학원에서 슬라브어문학 관련 종합시험 과목 중 유일하게 필수과목으로 지정되어 있는 과목이 바로 고대슬라브어 혹은 고대교회슬라브어임을 본다면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얼마나 중요한가를 알 수 있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중세 불가리아 텍스트인 “성 키릴 찬미가 (Похвално слово за св. Кирил Философ)”와 이를 번역한 다섯 개의 현대 불가리아어 번역본을 비교 분석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클리멘트 오흐리드스키의 어휘의 형태적 통일성과 어휘적 다양성에 주안점을 두고 비교 분석하고 있으며, 특히 ‘성 키릴 찬미가’에서 인용하고 있는 성경인용구를 통해서 분석하고 있다. ‘성 키릴 찬미가’는 현재까지 다양한 시기의 다양한 작가에 의한 번역이 존재한다. 이들 번역 사이에서 어휘 선호는 번역가의 기호뿐만 아니라, 교육적 배경, 독자의 선호도, 텍스트의 성향과 같은 요소가 크게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성경 인용구의 현대어 번역 비교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번역된 성경인용구 중 약 76%의 어휘가 원전에 있는 그대로의 대응 어휘로 번역되고 있다. 이는 보수적인 텍스트 번역에 있어 어휘적 다양성을 추구하는 것은 상당한 제약이 있을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 영문
  • This article analyzes lexical selection of translators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Похвално слово за св. Кирил Философ” into 5 contemporary Bulgarian language texts. In the article, the author compares uniformity features and diversity features of the Kliment’s lexicon in the modern Bulgarian translations, specially in Bible citations. The different versions of Kliments works in the middle Bulgarian ages are caused by different reasons. Also the reasons of different translator‘s solutions(or lexical preferences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s) are found in many cases. They are innovations and word ranges of the translator, translator‘s preference and educational background, concerning the tentative readers.
    In the second part of the article is reviewed and analyzed the translation correspondences of bible citations in the “Похвално слово за св. Кирил Философ” to 5 modern Bulgarian translations.
    In conclusion, the modern translators of Kliment’s “Похвално слово за св. Кирил Философ” prefer to archaic corresponding forms of Bible citations in their works(about 76%, fully and partly corresponding forms). This is some different phenomenon from text translations like Old Slavic Chronicl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This article analyzes lexical selection of translators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Похвално слово за св. Кирил Философ” into 5 contemporary Bulgarian language texts. In the article, the author compares uniformity features and diversity features of the Kliment’s lexicon in the modern Bulgarian translations, specially in Bible citations. The different versions of Kliments works in the middle Bulgarian ages are caused by different reasons. Also the reasons of different translator‘s solutions(or lexical preferences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s) are found in many cases. They are innovations and word ranges of the translator, translator‘s preference and educational background, concerning the tentative readers.
    In the second part of the article is reviewed and analyzed the translation correspondences of bible citations in the “Похвално слово за св. Кирил Философ” to 5 modern Bulgarian translations.
    In conclusion, the modern translators of Kliment’s “Похвално слово за св. Кирил Философ” prefer to archaic corresponding forms of Bible citations in their works(about 76%, fully and partly corresponding forms). This is some different phenomenon from text translations like Old Slavic Chronicle.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고대슬라브어연구 중 번역학이나 해석학 분야에서 새로운 연구 패러다임을 만들어낼 것이다. 아울러 슬라브어 번역학이나 해석학 강의에서 사용될 수 있는 연구이론이나 논문자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현대불가리아어 교육분야에서도 어휘선택 문제와 형태적 보수성의 주제로 교육 자료로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꼭 필요한 연구이다. 이제 한국에서의 고대슬라브어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도 30년 이상의 역사를 갖고 있다. 학문적 성숙 단계로 도약할 시기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아직까지 한 번도 한국에서 연구되지 않았고, 학문적으로는 매우 가치 있는 문헌에 대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꼭 필요한 시점이라는 점에서 연구의 적정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다음과 같은 면에서 활용될 수 있다.

    첫째, 본 논문에서 연구되는 기본 자료는 아직 한국에 한 번도 소개되지 않은 자료이다. 학문적 저변확대를 위하여 꼭 필요한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번역본도 존재하지 않으며 그와 관련된 소개글이나 연구논문도 전무하다시피하다. 따라서 슬라브어문학사에 중요한 이정표가 되는 텍스트를 학계에 처음 소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둘째로 기존의 고대슬라브어 연구나 번역학 연구에서 동일 문건에 대한 공시적 혹은 통시적 연구에 한정하여 연구가 이루어졌다. 가령 예를 들면 한 문헌의 공시적 변형이나 이형태 등에 대한 연구라든가 아니면 이들의 통시적 변화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통시성과 공시성을 아우르는 종합연구의 성격을 띠게 된다. 즉, 클리멘트 오흐리드스키의 문헌에 대한 공시적 필사본들을 수평적으로 연구하고, 이들 문헌의 중세 및 현대 번역본을 수직적으로 연구하는 체계를 갖고 있다. 이것은 공시성 혹은 통시성 하나만을 강조하며 연구하는 파편적 연구의 단점을 보완하여 줄 수 있으며, 기존의 연구이론이나 틀을 획기적으로 확대하고 넓힐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물은 향후 다양한 분야에서 추가 연구나 응용연구가 가능한 학문적 자료가 될 것이다.
  • 색인어
  • 고대슬라브어, 클리멘트 오흐리드스키, 생애전, 성경인용어구, 번역학, 해석학, 어휘선택의 다양성, 형태적 통일성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