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EU 난민망명 수용과 통제를 위한 거버넌스 연구 :독일과 이탈리아 사례연구와 관련한
The Study on the Governance for Control of Asylum and Refugee in the EU: Related to the Case study of Germany and Italy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박사후국내연수)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6S1A5B5A01021375
선정년도 2016 년
연구기간 1 년 (2016년 07월 01일 ~ 2017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오현주
연구수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유럽연합은 근대국가의 한계를 뛰어넘는 다양한 초국적 시도를 하고 있다. 유럽연합이 채택한 다층적 거버넌스는 국가와 유럽연합과의 균형과 조화를 기본 근거로 하는 것이다. 그러나 유럽연합의 이민과 망명의 관리는 여전히 국가주권에 관련된 사안이라는 인식이 지배적이며 정책 성립과 이행과정에서 다층적 거버넌스의 적용은 뚜렷이 관찰되지 않는다. 더욱이, 유럽연합에서 발생한 난민과 관련된 일련의 사건에 의해 난민망명에 대해 관대한 정책을 펼친 일부 회원국들조차 기존 유럽연합의 지침에 위배되는 조치를 취하고 있고, 이로써 난민망명관리는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 본 연구는 난민망명관리에 있어 전통적 국가조정방식이 아닌 협력과 결속의 조정방식이 강조된 유럽 연합적 거버넌스 적용의 조건을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는 구체화를 위해, 독일과 이탈리아의 사례연구를 실시할 예정이다. 독일과 이탈리아의 난민망명수용 관리에서는, 국내의 정치‧경제 및 사회 안보 상황을 고려한 정책이행 선호가 두드러지는 한편, 유럽연합과의 조화된 합리성 추구를 위한 내재적 제도 마련과 이행의 제한성이 관찰된다. 사례연구를 통해, 유럽연합 수준의 난민망명 지침과 규제 및 정책과 각 회원국별 국가수준의 난민망명 정책 이행의 특징을 비교 관찰하고 그 간극을 고찰하여, 유럽연합의 정체 확립을 위한 다층적 거버넌스 확장의 필요조건을 알아보고자 한다.
  • 기대효과
  • 1)『학문적‧연구적기여도』- 지역연구의 방법은 지구화, 초국경화, 경제의 사회문화화, 자본주의의 가상화, 탈국가화에 근거하여 그 한계성을 드러낸다. 이에 대해 본 연구는 지역연구의 총체성과 다양성 인식의 기본에 충실하면서도, 보다 횡적인 견해와 시각을 더하여 지역연구 방법의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는 지역의 난민유동을 지리적, 공간적 변화는 물론 출국지역과 도착지역의 정치‧사회적 맥락의 질적 변화, 이 결합의 맥락들 사이, 그 위에서 재구조화되는 새로운 공동체 공간의 창출로 이해하기 위한 연구적 접근을 시도한다. 이를 통해 지역난민유동 현상의 현시적인 상황을 파악하는 것과 동시에, 난민유동 관리를 위한 정치‧사회의 통합적 보편성을 고찰함으로써 세계화의 환경에 적합한 지역학 연구 방법을 제안하기를 기대한다.
    2)『교육적 기여도』-세계화의 환경속에서 글로벌화된 인종의 다양성과 차별성의 인정은 필연적이다. 연구는 전지구적 이동에 의한 민족들의 혼종과 문화적 접촉에 의해 민족들의 공존과 문화적 다원성의 인정에 관한 사회문제가 가시화된 현시적 상황에서, 다민족 소통과 교류를 위한 정치, 사회, 경제적 조건을 고찰하고 다민족의 공생방식을 모색한다. 이는 세계화속에서 변화되는 정치학, 경제학, 사회학, 인류학의 현상을 분석하는 강의와 교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통합의 질적 변화와 함께, 유럽연합 정체 확립에 있어 새로운 문제로 인식되는 난민망명 수용과 통제의 한계를 조망하며, 협력과 조화가 강화된 거버넌스의 필요조건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는 다음의 내용을 중점적으로 알아본다. 첫째, 일국차원에서 문제해결이 제약되고 초국적 협력의 강화를 필요로 하는 난민망명의 사안에 대해 회원국은 유럽연합의 규정과 지침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가? 둘째, 회원국의 정치, 경제, 사회의 특징적 상황과 난민망명 관리의 양상은 어떤 상관관계를 갖고 있으며, 난민망명정책의 성립과 이행에서 국가의 정책적 선호가 반영되는가? 셋째, 난민망명관리를 위한 회원국의 정책 편향성의 반영은 유럽연합 정체의 모순으로 작용하지 않는가? 이를 통해, 유럽연합 난민망명 관리를 위한 국가수준의 통치를 뛰어넘는 유럽연합 통치 방식의 이행과 적용을 위한 조건을 알아본다. 한편, 본 연구과제의 범위는 다음과 같이 규정짓고자 한다. 첫째, 유럽연합 난민유입의 현황을 본격적인 난민유입이 진행된 1990년대 이후를 기점으로 하여 알아보고, 유럽연합의 난민수용에 관한 일련의 조약 과정과 내용을 조망한다. 둘째, 유럽연합 난민망명정책의 성립과 이행의 특징을 알아본다. 셋째, 사례연구를 통해 난민망명 수용과 통제를 위한 유럽연합과 회원국의 정책실행과 사회수용의 간극을 파악하고, 협력과 결속이 강화된 거버넌스의 조건을 알아본다. 넷째, 난민망명신청의 급증에 비해, 난민인정절차와 난민법이 제대로 정비되어있지 않은 한국의 난민망명자 수용을 위한 대안의 예시로 제시하고자 한다. 최근, 한국도 난민망명자들의 수용의 문제가 수면위로 떠오르면서, 난민수용에 대한 적절한 방안의 모색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유럽연합 난민망명 수용의 선례를 다문화사회를 지향하는 한국의 난민망명 수용과 통합을 위한 방안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유럽연합의 난민망명 유입 문제가 테러와 폭동과 같은 사회문제에 의해 보다 가시화된 상황에서, 난민망명 관리의 한계를 파악하고, 유럽연합의 공통된 가치를 추구하는 통합적 난민망명관리의 방향을 알아보고자 한다.유럽연합 정체로써 다층적 통치는 국가의 자발적인 권한 이전을 통해 국민국가를 넘어 초국가 수준에서 새로운 문제해결 방식을 찾는 것이다. 유럽연합의 정책운영에서 다층적 통치의 이행은 전통적 공동체운영방식과 구분되는 다층위의 행위자들의 참여로나타나고 있다.특히 지역정책과 사회정책의 경우 정책결정의 권위는 다층화되고 분산되어진다.다층적 통치의 창출은 신기능주의와 자유간 정부주의의 단점을 보완한 것으로,초국가적 양상의 설명의 한계와 국가와 초국가기구간의 권력분한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그런데, 다층적 통치의 기능적 한계는 모든 정책운영의 구조에서 일률적으로 적용되지 못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국가주권의 사안이 우선 고려되어야 하는 유럽안보방위정책의  경우,국가권한의 이양은 다층적 통치하에서 이루어지기 용이하지 않음을 드러낸다. 난민망명정책 역시, 그 성립과 이행에서 과연 다층적 통치의 적용이 적절한가의 문제가 제기된다. 
    실질적으로, 난민망명정책은 주요조약의 체결과 함께, 정책운영에서 유럽위원회와 유럽의회의 역할이 강화 될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이들의 역할 증대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오히려 난민망명정책의 이행은 난민에 대한 회원국의 개별적인 통제 권한을 유지 혹은 확대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기존의 유럽연합 난민망명 수용과 통제를 위한 이민망명정책의 단일화에 대한 연구들은 통합된 이민망명정책 이행의 회의적 전망을 제시한다. 연구에서는 이민망명 정책의 구조적 모순, 즉 초국가적 기구가 제안한 규범적 성격을 내포하는 동시에 회원국의 전략적 이익이 포함되는 것으로 인해 통합된 정책 이행의 실현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논의하고 있으며, 정치, 경제, 사회적 이해관계를 내세운 각 회원국의 개별적 입장 견지에 의해 정책의 단일화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으로 파악된다. 사회 복지 비용의 증가, 일자리 감소 등과 같은 사회 경제적 요인, 혹은 안보위협과 정체성의 혼란을 야기할 문화적 충돌 등의 이유로 회원국들은 자국의 전략적 이익에 우선한 난민망명 관리 정책을 선호하는 입장을 견지함으로써, 회원국과 유럽연합의 통합되고 단일화된 정책운영방식은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본 연구는 이 같은 문제를 주지하면서, 난민망명의 관리를 위한 유럽연합과 회원국의 공조된 거버넌스 방식의 필요조건을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는 구체화를 위해 독일과 이탈리아의 사례연구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난민망명 관리를 위한 유럽연합과 회원국의 정책이행과 사회적 수용제한의 간극을 고찰하고, 이에 대한 유럽연합과 회원국이 공조를 이루는 정책 적용 강화의 필요성을 논의한다.

  • 영문
  • This article focuses on the specific type policy problem for the control of refugee in the EU. It discusses the necessity of enhancement of multi-level govenance system in practicing of policy making of asylum and refigees.
    So called Multi-level govenrnace has been developed to explain the change of nation state’s rulling mechanism, and this must be an instrument that comprehend the dynamic governing system of the EU.
    According to multi-level govenrnance concept, decision making competences are shaped by actors at different levels rather than monopolized by national government. The practices of policy making under multi level governance are noticeable in different policy areas: regional policy and social policy.
    Although we can notice the adaptation of multi-level governing strategy in various policy areas, it might suggest a question of asylum and refugee policy making on which the national government‘s competence might be limited.
    In fact, even though it has been expected that the upgrading of the European Commission and European Parliament’s role for the asylum process after EU’s major treaties, this has not been occurred. And as the national preference would be prominent on policy making decision, the practice of multi-level governance has not been avtivated well in this policy area. In this paper, it examines the practicable conditions in multi-level governing for asylum and refugee policy, analysing the case study of policy making of asylum and refugee in Italy and German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유럽연합의 정체를 특징짓는 다층적 통치는 국가와 유럽연합과의 균형과 조화를 기본근거로 하는 것이다. 지역정책과 사회정책에서의 다층적 통치의 적용은 현저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들 정책운영에서는 초국가적 수준의 협력은 물론 다양한 행위자수준의 참여와 합의가 이루어 졌다. 본 연구는 유럽연합의 다층적 통치의 정책운영적 효율성을 인식하면서, 한편으로 전반적인 정책적용가능성과 효율성의 제고를 시도하고자 한다. 이는 유럽연합통합의 질적변화와 함께, 정체확립에 있어 새로운 문제로 인식되는 난민망명 관리를 위한 다층적 거버넌스의 조건의 고찰에 대한 분석을 주로한다. 연구에서는 독일과 이탈리아 사례연구를 통해 국가수준의 난민망명정책 이행의 문제점을 조망하고, 초국가적 협력과 결속이 전제된 다층화된 거버넌스의 필요조건을 제시하고자 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학문적 기여도』-

    지역연구의 방법은 지구화, 초국경화, 경제의 사회문화화, 자본주의의 가상화, 탈국가화에 근거하여 그 한계성을 드러낸다. 이에 대해 본 연구는 지역연구의 총체성과 다양성 인식의 기본에 충실하면서도, 보다 횡적인 견해와 시각을 더하여 지역연구 방법의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는 지역의 난민유동을 지리적, 공간적 변화는 물론 출국지역과 도착지역의 정치‧ 사회적 맥락의 질적 변화, 이 결합의 맥락들 사이, 그 위에서 재구조화되는 새로운 공동체 공간의 창출로 이해하기 위한 연구적 접근을 시도한다. 이를 통해 지역난민유동 현상의 현시적인 상황을 파악하는 것과 동시에, 난민유동 관리를 위한 정치, 사회의 통합적 보편성을 고찰함으로써 세계화의 환경에 적합한 지역연구의 방법을 제안하기를 기대한다.

    2)『교육적 기여도』-

    첫째, 세계화의 환경속에서 글로벌화된 인종의 다양성과 차별성의 인정은 필연적이다. 본 연구는 전지구적 이동에 의한 민족들의 혼종과 문화적 접촉에 의해 민족들의 공존과 문화적 다원성 인정의 사회문제가 가시화된 현시적 상황에서, 다민족 소통과 교류를 위한 정치, 사회, 경제적 조건을 고찰하고 다민족의 공생방식을 모색한다. 이는 세계화속에서 변화되는 정치학적, 경제학적, 사회학적, 인류학적 현상을 분석하는 강의와 교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고 기대된다.
    둘째, 국내에서 유럽연합 지역연구와 강좌는 일부 지역에 한정되어 있고, 강좌를 위한 커리큘럼은 다양한 분야의 주제연구를 제시하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 본 연구는 한정적 범위의 지역 대상 연구를 탈피하며, 유럽연합 중심의 통상적 주제보다 전지구적 변화 속에서 고찰되는 유럽연합의 현상분석 주제를 제시한다. 이를 통해 유럽연합 지역 이해의 확장과 유럽연합 현안교육의 실질적 효율성을 높일 수 있기를 기대한다.


    3)『연구적 기여도』-

    한국은 1990년대 이후 이른바 다문화주의 사회로 진입했지만, 여전히 다문화주의의 이론과 실행은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사회는 기본적으로 단일민족의 사회라는 인식이 뿌리 깊으며, 이질적 문화의 인정이 근본적으로 용이하지 않다. 이로 인해 다문화주의의 용어적 정립은 물론, 다문화주의를 표방한 다문화정책의 실행도 큰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다민족이 동등성과 형평성을 이루는 사회문화적 내재와 포함의 방식을 연구하며, 주류사회 대 소수자 집단의 이분적인 구분에서 탈피하는 정책방향을 재고한다. 이는 한국의 다문화주의의 이론과 실행을 위한 연구의 예시로 제시될 수 있으며, 한국사회의 외부 이민자에 대한 차별적 인식 탈피와 다민족 인정방식을 제시할 연구의 선례가 될 수 있다.

  • 색인어
  • 유럽연합, 다층적 거버넌스, 난민망명, 독일, 이탈리아, 제네바 협정, 책임전가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