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동사 ir의 단순과거 fui의 기원 연구
A study of the origin of fui, the past tense of the verb ir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6S1A5A2A01024247
선정년도 2016 년
연구기간 1 년 (2016년 07월 01일 ~ 2017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이강국
연구수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현재 스페인어에서는, 동작 동사인 ir의 단순과거형, 즉 fui, fuiste, fue, fuimos, fuisteis, fueron은 공교롭게도 정태 동사인 ser의 단순과거형과 형태가 동일하다. 스페인어에서 접속법 불완료과거는 완료어간에 기초해 만들어지므로, ir의 완료어간이 fu-가 된 이상, 이에 기초해 fuera 또는 fuese가 된다. 따라서 문제는 ir의 직설법 단순과거가 왜 본래의 ii, isti, iit, imus, istis, erunt에서 변화되었을 형태들(*í, iste, ió, imos, isteis, ieron)을 유지하지 못하고 의미가 전혀 다른 ser의 단순과거 형태와 동일해졌을까 하는 것이다. 다른 말로하면 ‘왜 ir가 완료어간으로 fu-를 취하게 되었는가?’ 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된 또 다른 문제는 두 동사 간에 벌어진 이러한 병합 현상이 단순과거 시제에서만 일어났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서는 Corominas & Pascual(1993)이 ser 기원설을 제시했지만, Menéndez Pidal(1940/1992)뿐만 아니라 Lapesa(1981), García de Diego(1981), Lloyd(1987), Cano Aguilar(1988), Lathrop(1989) 등 어느 학자도 아직 왜 그런 지에 대한 명쾌한 설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이에 대한 타당한 설명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기대효과
  • 의미가 전혀 다른 두 동사인 ser와 ir의 단순과거가 동일하다는 사실은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에게 많은 혼란을 야기시키고 있다. 이에 대한 적절한 설명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면 이를 활용하겠지만, 그렇지 않은 실정이므로 이에 관한 연구가 절실한 상황이다. 본 연구를 통해 적절하고 타당한 설명법 및 근거를 제시한다면 스페인어 역사언어학의 학문적 발전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스페인어 문법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도 큰 도움이 되리라고 확신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순서 및 가설 하에서 시작할 것이며, 이를 차례로 검증해 나가면서 결론에 도달할 것이다.
    1. 언제부터 ir의 단순과거가 fui가 되었나?
    2. 다른 언어들, 특히 다른 로망스어들에서는 어떤 현상이 일어났는가?
    3. 가설 1: “ser의 fui와 ir의 fui 모두 라틴 어원에서는 서로 형태가 달랐지만, 각각의 음운변화 결과 현재 두 형태가 동일해졌다.”
    4. 가설 2: “어원에서부터 ire는 esse와 일정 부분 의미자질을 공유했다.”
    5. 가설 3: “ir의 단순과거 fui는 어쩔 수 없이 또는 우연의 일치로 ser의 fui와 동일한 형태를 갖게 되었다.”
    6. 가설 4: “ser 기원설 이외에 또 다른 어원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이상과 같은 의문 및 가설을 하나씩 해결해 나가면서 '왜 동작 동사인 ir의 단수과거가 정태동사인 ser의 단순과거와 형태가 동일해졌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도출할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스페인어 동사 ir의 단순과거형(fui)의 기원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스페인어에서는, 프랑스어, 프로방스어, 카탈루냐어, 이탈리아어, 루마니아어 등의 다른 로망스어들과는 달리, ‘가다(영어의 to go)’를 의미하는 동사 ir의 단순과거형과 ‘이다(영어의 to be)’를 의미하는 ser의 단순과거형이 fui로 동일하다. 완전히 상이한 의미 기능을 하는 두 동사의 변화 형태가 다른 시제에서는 상이한데, 왜 이 단순과거 시제에서만 동일한가? 또 다른 로망스어들에서는 두 동사의 단순과거형이 각기 상이한데, 왜 스페인어(와 포르투갈어)에서만 동일한가? 스페인어를 배우는 학생들은 물론 기존의 학자들조차도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정확하게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이 문제에 대한 설득력 있는 설명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는, 먼저, 스페인어 교육 시에 학생들이 혼란스러워하는 부분, 즉 ‘그렇다면 fui가 어느 동사의 단순과거인지 어떻게 구분하느냐?’하는 초보적인 질문에 대한 답을 설득력 있게 제시할 수 있게 될 것이며, 더 나아가서는 스페인어 역사언어학 연구에서 국제적으로 진일보된 이론을 제시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믿는다.
  • 영문
  • En latín el perfecto del verbo ire (>ir) era ii, isti, iit... (o ivi, ivisti, ivit...), mientras que el del verbo esse (>ser) era fui, fuisti, fuit... Evidentemente, las conjugaciones de cada verbo citado eran completamente distintas. Sin embargo, en el español actual las conjugaciones de ambos verbos en pretérito simple son idénticas: fui, fuiste, fue...
    En torno a esta cuestión Lathrop (1989:191) expone que el perfecto del LC ire (ii, isti, iit...) no podía tener una vida larga, a causa de su aspecto fonológico y que en latín el verbo eo ‘ir’ y sum (‘estar’ y ‘ser’) se relacionan como ‘no resultativo/ resultativo’. Posteriormente, estar/ser se desdoblaron: ‘estar’ llegó a ser resultativo y ‘ser’ ocupó la plaza de ire, que era ‘no resultativo’. Corominas & Pascual (1993:462), en línea con lo expuesto por Lathrop, afirman que “[...] ciertas formas o tiempos de ir se han reemplazado por formas de VADERE o de ESSE”.
    En este caso, la discordancia es que ir es un verbo dinámico o de movimiento y ser es uno estático o de estado, por tanto es muy difícil de entender que ambos verbos de carácter semánticamente opuesto comparten la misma conjugación en el pretérito perfecto simple de indicativo En el pretérito imperfecto de subjuntivo también comparten la misma conjugación, fuera. Empero, este tiempo, el pluscuamperfecto de indicativo en latín, se deriva del tema del perfecto, fu-, por tanto en este trabajo se tratará solo el pretérito perfecto simple de indicativo.
    . ¿Cómo y por qué ha ocurrido esta fusión en las conjugaciones de este tiempo?
    Al respecto de esta cuestión, ninguno de los autores antes mencionados ofrece una explicación satisfactoria. En otras lenguas romances no hay pruebas de que el verbo latino esse ofreció sus conjugaciones al verbo ire. Solo en español y portugués ha ocurrido este tipo de fusión entre los verbos ir y ser. Por tanto, se buscará otra explicación más convincente, pues el sincretismo de las conjugaciones entre los dos verbos semánticamente opuestos es un fenómeno muy raro lingüísticament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스페인어 동사 ir의 단순과거형(fui)의 기원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스페인어에서는, 프랑스어, 프로방스어, 카탈루냐어, 이탈리아어, 루마니아어 등의 다른 로망스어들과는 달리, ‘가다(영어의 to go)’를 의미하는 동사 ir의 단순과거형과 ‘이다(영어의 to be)’를 의미하는 ser의 단순과거형이 fui로 동일하다. 완전히 상이한 의미 기능을 하는 두 동사의 변화 형태가 다른 시제에서는 상이한데, 왜 이 단순과거 시제에서만 동일한가? 또 다른 로망스어들에서는 두 동사의 단순과거형이 각기 상이한데, 왜 스페인어(와 포르투갈어)에서만 동일한가? 스페인어를 배우는 학생들은 물론 기존의 학자들조차도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정확하게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이 문제에 대한 설득력 있는 설명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는, 먼저, 스페인어 교육 시에 학생들이 혼란스러워하는 부분, 즉 ‘그렇다면 fui가 어느 동사의 단순과거인지 어떻게 구분하느냐?’하는 초보적인 질문에 대한 답을 설득력 있게 제시할 수 있게 될 것이며, 더 나아가서는 스페인어 역사언어학 연구에서 국제적으로 진일보된 이론을 제시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믿는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 결과는 가급적 빠른 시일 내에 정리하여 정식 논문으로 발표할 예정이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 현장에서 두 동사 IR와 SER의 단순과거형이 동일한 이유를 설득력 있게 설명할 수 있게 될 것이며, 지속적으로 기존 국제 학계의 주장을 바꾸어 나감으로써 국내 스페인어 역사언어학의 위상을 재정립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믿는다.
    위 연구 내용은 2016년 8월 스페인의 톨레도에서 열린 <국제스페인어문학회 학술대회>에서 발표한 것을 한국어로 번역 정리한 것이다. 이 학술대회 토론에서 제기된 반론과 추가 자료 등을 토대로 정식 논문을 작성해 학술지에 발표할 예정이다.
  • 색인어
  • 본 연구의 목적은 스페인어 동사 ir의 단순과거형(fui)의 기원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스페인어에서는, 프랑스어, 프로방스어, 카탈루냐어, 이탈리아어, 루마니아어 등의 다른 로망스어들과는 달리, ‘가다(영어의 to go)’를 의미하는 동사 ir의 단순과거형과 ‘이다(영어의 to be)’를 의미하는 ser의 단순과거형이 fui로 동일하다. 완전히 상이한 의미 기능을 하는 두 동사의 변화 형태가 다른 시제에서는 상이한데, 왜 이 단순과거 시제에서만 동일한가? 또 다른 로망스어들에서는 두 동사의 단순과거형이 각기 상이한데, 왜 스페인어(와 포르투갈어)에서만 동일한가? 본 연구의 목적은 이 문제에 대한 설득력 있는 설명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