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과학역량강화를 위한 '시민과학 플랫폼' 연구
A study of 'citizen science platform' for scientific empowerment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공동연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6S1A5A2A03927422
선정년도 2016 년
연구기간 2 년 (2016년 11월 01일 ~ 2018년 10월 31일)
연구책임자 강윤재
연구수행기관 동국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김지연
김동광(고려대학교)
박진희(동국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이 연구는 불확실성이 가중되는 현대사회에서 전문가 중심의 전통적 문제해결방식의 대안을 찾기 위한 시도이다. 주지하다시피, 환경문제와 각종 위험, 전염병, 재난 등의 영역에서 현재의 전문가 중심의 대응체계는 시민들의 뿌리 깊은 불신을 받고 있다. 과학기술학(STS)은 과학기술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물론 전문성의 정치 및 시민참여(과학기술 시티즌십)에 대한 연구를 통해 불신의 원인과 이유를 진단하고,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이 연구는 STS의 연구 성과를 비판적으로 재검토하면서, 보다 현실적인 방안을 마련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STS 연구가 시민참여를 통해 대안적 문제해결방식을 추구한다는 점은 높게 평가할 수 있다. 그렇지만 전문성을 견제하고 비판하는데 치중한 나머지 지식생산의 단계로 나아가지 못한 결과, 참여라는 형식논리에 갇혔다는 비판을 피하기는 힘들어 보인다. 이런 점에서 시민참여의 내실화는 시민들의 과학역량강화를 통해 현실화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과학역량강화를 위한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한 시도로 현재 선진국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펼쳐지고 있는 시민과학 활동에 주목하고자 한다. 특히, 사회문제해결형 시민과학 활동은 과학역량강화를 통한 시민참여의 내실화를 위한 유용한 시사점을 던져줄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런 잠재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민과학 플랫폼 모형’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 기대효과
  • 1. 공공부문의 연구개발과제 풀(pool)의 다양화에 기여할 수 있다. 현재 과제관리 전문기관을 중심으로 과제 수요조사가 실시되고 있는데, 전문가들이 자신의 전공분야를 중심으로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한계를 보인다. ‘시민과학 플랫폼’은 시민들의 요구와 시선, 경험, 지식 등을 투입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새로운 과제개발을 가능하게 해줄 수 있을 것이다. 국내에서도 추진되고 있는 다양한 사회문제해결형 기술개발사업 등의 과제발굴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2. 과학적 난제의 해결에 실질적 기여를 할 수 있다. 전문가 위주의 과학 활동에서는 미처 수행될 수 없었던 다양한 과학적 난제들을 대규모 시민참여를 통해 돌파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함으로써 과학진보에 실질적 기여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시민과학은 과학자라는 전문가와 시민이라는 비전문가로 이루어진 일종의 협업네트워크라고 볼 수 있다. 과학자들은 기존에 전문가 위주의 과학 활동에서는 해결할 수 없었던 난제를 시민들의 참여를 통해 일종의 집단지성을 활용함으로써 비용과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특히, 생태학과 천문학, 지리학 분야 등에서는 시민과학의 가능성은 매우 큰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3. 자발적 참여와 시민과학 활성화를 통한 과학문화의 확산에 기여할 수 있다. 다양한 시민과학 플랫폼을 통해 일반 시민은 거대 과학연구나 각종 탐사 프로젝트에 직접 참여하고 연구에 기여할 수 있다. 기존의 우리나라 과학문화 정책이 ‘과학대중화’라는 공급자 위주로 이루어졌다면, 시민과학은 수요자 중심의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자연스럽게 ‘시민참여’를 중시하는 정책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다. 자발적 참여와 연구개발 프로젝트에 대한 경험 등을 통해 자연스럽게 과학적 사고와 실천, 합리적 의사결정이라는 과학문화의 장점이 시민사회에 확산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이 연구는 시민과학과 관련된 핵심쟁점을 분석하고, 그런 분석을 바탕으로 과학역량강화를 위한 ‘시민과학 플랫폼’ 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해서 2단계 연구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1단계는 기초/이론 연구로서, 연구목표와 관련된 시민과학의 핵심쟁점들을 다각도로 분석해주고 있다. 핵심쟁점으로는 “IT와 시민과학”, “불확실성과 시민과학”, “참여와 시민과학” 등을 꼽을 수 있고, 여기에 시민과학 현황 및 동향을 파악하고자 “시민과학 네트워크분석”을 추가하고 있다.
    2단계는 모형개발 연구로서, 1년차의 성과를 종합하여 시민들의 과학역량강화를 위한 ‘시민과학 플랫폼’ 모형을 개발하고 있다. ‘시민과학 플랫폼’ 모형 개발은 1년차 연구성과에서 도출해낸 원리와 원칙을 토대로 모형의 개념적 뼈대를 마련하고, 해외사례를 발굴하여 그런 사례의 국내 적용 및 활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프로젝트는 시민과학의 사례들을 분석하여 과학역량강화를 위한 ‘시민과학 플랫폼’을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해 모두 5가지 영역으로 나눠서 연구를 진행했다-"IT 기술과 시민과학", "불확실성과 시민과학", "시민참여와 시민과학", "전문가와 시민과학", "시민과학 네트워크 분석".
    연구결과, 선진국을 중심으로 시민과학 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었으며, 국가적으로도 다양한 지원사업이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국내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활동이 펼쳐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시민들의 자발성을 최대한 보장해줄 수 있으면서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시민과학 플랫폼 개발이 본격적으로 시도될 필요가 있다.
  • 영문
  • This project aims to research 'citizen science platforms' for empowering citizens' scientific capacity by analyzing cases of citizen sciences. For this, five categories was constructed: "It technology and citizen science", "uncertainties and citizen science", "citizen engagement and citizen science", "experts and citizen science", "citizen science network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we know that, in advanced countries, citizen science activities has become common and various supports has been also given.We can confirm that various forms of activities are spreading in Korea as wel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ry to develop citizen science platform that can assure citizens' spontaneity as much as possible and provide practical help.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과학기술학(STS)은 규제과학과 전문성, 시민참여 등을 핵심개념으로 삼아 현대사회에서 전문성 중심의 문제해결방식을 문제 삼고, 그 해결책을 모색해왔다. 규제과학의 불확실성은 전문성 중심의 문제해결방식이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으며, 따라서 시민참여는 필수적이라는 논리적 귀결에 도달한다. 1990대 이후 선진국을 중심으로 과학기술 거버넌스에 대한 논의가 활성화되고 있으며, 국가적/국제적 차원의 시민참여 프로그램도 점차 활성화되고 있다. 그러나 시민참여의 성과가 처음에 기대했던 바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논란과 회의의 시선이 커지고 있다. 무엇보다도 시민참여가 형식적이고 절차적인 요식행위로 취급되어 실질적인 효과를 발휘하고 있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이제 과제는 ‘단순한’ 참여가 아니라 ‘효율적’ 참여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런 이론적 모색을 현실화하기 위한 방안을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 만약 현실 속에서 그 맹아가 존재하고 있다면 그 가능성의 탐색을 넘어서서 새로운 문제해결방안의 구체적 플랫폼 개발을 시도해볼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바로 이런 문제의식에서 출발하고 있다.
    이 연구는 STS의 문제의식과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시민과학을 분석하여 과학역량강화를 위한 ‘시민과학 플랫폼’ 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해서 2단계 연구전략을 수립했다.
    1단계는 기초/이론 연구로서, 연구목표와 관련된 시민과학의 핵심쟁점들을 다각도로 분석했다. 처음에 제출했던 연구 내용의 핵심쟁점은 “IT와 시민과학”, “불확실성과 시민과학”, “시민참여와 시민과학”의 3가지였는데, 연구 개시 이후에 새로 “전문가와 시민참여”가 추가되었다. 또한 시민과학 현황 및 동향을 파악하고자 “시민과학 네트워크분석”을 수행했다. 네트워크분석은 그 특성상 전문기법을 활용해야 하기 때문에 관련 분야의 전문가와 협력을 통해 이루어졌다.
    2단계는 모형개발 연구로서, 1년차의 성과를 종합하여 시민들의 과학역량강화를 위한 ‘시민과학 플랫폼’ 모형을 개발하고, 그 정책 활용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시민과학 플랫폼’ 모형 개발은 1년차 연구성과에서 도출해낸 원리와 원칙을 토대로 모형의 개념적 뼈대를 마련하고, 해외사례를 발굴하여 그런 사례의 국내 적용 및 활용가능성을 검토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 외국은 물론 국내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시민과학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시에, 국내의 시민과학 활동은 아직 체계적이지 못하며, 따라서 적절한 지원이 매우 절실함도 확인할 수 있었다. 시민과학 플랫폼 연구를 통해서, 외국에서는 인터넷 기반으로 활성화가 되어 있는 반면 국내에서도 아직 맹아적 형태에 머물고 있고, 따라서 플랫폼 개발 작업이 시급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이런 현실을 확인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시민과학 플랫폼 개발의 방향성을 진지하게 모색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렸다고 할 수 있다. 국내의 경우, 시민과학의 핵심 활동가들의 이해와 요구를 반영하려는 노력보다는 행정적 편리성과 단기적 성과에 매달리는 경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현실은 지원의 목적과 방식에 대한 전면적 전환을 요구하고 있으며, 무엇보다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와 소통을 활성화하고, 활동가들이 실질적으로 도움을 얻을 수 있는 플랫폼 개발이 필요함을 말해주고 있다. 물론, 플랫폼을 개발하기 위한 별도의 연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 연구는 후속 연구를 위한 발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들어, 사회문제해결형 기술혁신을 비롯하여 과학기술을 사회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시도가 늘고 있다. 이런 노력에도 시민과학 활동은 매우 유용하며, 시민과학 플랫폼은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측된다. 국내에서도 이미 다양한 활동 사례들이 존재하는데, 팹랩(무한상상실), 리빙랩, 메이커운동 등이 그것이다. 이번 연구에는 이런 활동들이 모두 시민의 참여에 기반한 과학활동이라는 차원에서 보면, 비슷한 범주에 속하는 활동으로 보고 연구대상으로 삼아 연구를 진행한 바 있다. 정책적 차원에서, 이들 활동들을 개별적인 것으로 분류하기보다는 서로 공유된 활동으로, 즉 동일한 범주로 보고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끌어내고, 활동의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연계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노력의 발판이 마련된 셈이다. 향후에는 이들 활동들의 연계를 모색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며, 시민과학 플랫폼 개발에도 이 점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함이 강조될 필요가 있다.
    4차산업혁명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지고 있는 현실을 비춰볼 때, 이 연구결과는 시민참여 과학활동이 4차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이유와 역할에 대해서도 적지 않은 시사점을 던져준다.
  • 색인어
  • 과학 역량강화, 시민과학, 시민참여,대중의 과학이해, IT 기술, 불확실성, 전문가, 네트워크 분석, 팹랩, 리빙랩, 메이커운동, 규제과학, 전문성의 정치, 참여적 과학활동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