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새 자료, 고려본 『자비도량참법』의 석독 구결[입겿] 분석 및 음독 구결[입겿]과의 상관성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Seokdok Gugyeol and Eumdok Gugyeol on a new material 『Jabidoryangchambeop』, Goryeo script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7S1A5A2A01023420
선정년도 2017 년
연구기간 1 년 (2017년 07월 01일 ~ 2018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남경란
연구수행기관 대구가톨릭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이 연구는 지난 2015년 12월에 기림사에서 발굴된 고려 초주대장경 『자비도량참법』을 대상으로 이 자료에 나타나는 석독 구결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이 자료는 기존에 발굴된 어떤 자료에서도 찾아 볼 수 없는 음독 구결이 기입된 자료가 있어 석독 구결과 음독 구결을 한눈에 비교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국어사적 측면에서는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간행된 『자비도량참법』의 이본은 8종이 있다. 이들은 대부분 조선 초기에 개판(開板)한 것이고, 고려시대에 간행된 것 중에도 구결이 기입된 것은 남경란(2007)에서 소개된 개인소장본 『자비도량참법』뿐이었다. 이 개인소장본 『자비도량참법』에 기입된 음독 구결에는 기존에 논의된 여말선초 음독 구결 자료들에서 흔히 볼 수 없었던 자형과 결합유형들이 많아 학계의 관심이 쏠려 있었던 바, 이제 다시 석독 구결이 기입된 자료가 발굴되어 두 자료의 동시분석 또한 큰 연구거리임은 틀림없다. 이에 이 연구는 1차적으로는 최근 발굴된 고려 초조대장경 『자비도량참법』의 석독 구결을 정밀 분석하고, 2차적으로는 이 자료를 개인소장본 음독 구결 자료 『자비도량참법』과 비교분석하여 석독 구결과 음독 구결의 상관성을 밝히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 기대효과
  • 최근 발굴된 고려시대 귀중본 자료를 소개하고 이 자료에 기입된 석독 구결을 정밀 분석하는 작업 그 자체로서도 국어사적 측면에서의 기대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된다. 뿐만 아니라 이번에 연구되는 『자비도량참법』과 같이 동일 시대, 동일 문헌에서 석독 구결과 음독 구결을 함께 연구할 수 있는 자료가 지금까지 학계에서 소개된 바 없기 때문에 이 연구는 분명 구결연구뿐만 아니라 국어학 전체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동일 시대, 동일 문헌에 기입된 석독과 음독 구결의 비교 분석을 통해 이들 구결의 상관성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도 이번 연구가 학계에서 차지하는 역할이 매우 클 것으로 기대한다. 아울러 두 자료의 비교분석을 통해 석독 구결과 음독 구결의 상관성이 밝혀진다면 기존에 공개된 석독구결 자료에서 미완으로 남겨졌던 숙제들을 풀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믿는다.
  • 연구요약
  • 이 연구는 지난 2016년에 기림사에서 발굴된 고려 초주대장경 『자비도량참법』을 대상으로 이 자료에 나타나는 석독 구결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이 자료는 기존에 발굴된 어떤 자료에서도 찾아 볼 수 없는 음독 구결이 기입된 자료가 있어 석독 구결과 음독 구결을 한눈에 비교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국어사적 측면에서는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간행된 『자비도량참법』의 이본은 8종이 있다. 이들은 대부분 조선 초기에 개판(開板)한 것이고, 고려시대에 간행된 것 중에도 구결이 기입된 것은 남경란(2007)에서 소개된 개인소장본 『자비도량참법』뿐이었다. 이 개인소장본 『자비도량참법』에 기입된 음독 구결에는 기존에 논의된 여말선초 음독 구결 자료들에서 흔히 볼 수 없었던 자형과 결합유형들이 많아 학계의 관심이 쏠려 있었던 바, 이제 다시 석독 구결이 기입된 자료가 발굴되어 두 자료의 동시분석 또한 큰 연구거리임은 틀림없다. 이에 이 연구는 1차적으로는 최근 발굴된 고려 초조대장경 『자비도량참법』의 석독 구결을 정밀 분석하고, 2차적으로는 이 자료를 개인소장본 음독 구결 자료 『자비도량참법』과 비교분석하여 석독 구결과 음독 구결의 상관성을 밝히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 연구 대상으로 삼는 자료는 2015년 12월 경주 祗林寺의 성보박물관에 수장되어 있는 자료들을 조사하면서 발견된 것이다. 이때 발견된 󰡔자비도량참법󰡕은 13세기 중엽으로 추정되는 자료로 권4 부분의 5장(제17장-21장)이 발견되었으며, 묵서로 석독 구결이 기입되어 있어 13세기 중엽에 석독 구결 자료 하나를 더 발견했다는 점에서 학계가 모두 주목하고 있는 자료이기도 하다. 따라서 최근 발굴된 고려시대 귀중본 자료를 소개하고 이 자료에 기입된 석독 구결을 정밀 분석하는 작업 그 자체로서도 국어사적 측면에서의 기대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된다. 뿐만 아니라 이번에 연구되는 『자비도량참법』과 같이 동일 시대, 동일 문헌에서 석독 구결과 음독 구결을 함께 연구할 수 있는 자료가 지금까지 학계에서 소개된 바 없기 때문에 이 연구는 분명 구결연구뿐만 아니라 국어학 전체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 것으로 판단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지난 2015년 12월에 기림사에서 발굴된 고려 초주대장경 『자비도량참법』을 대상으로 이 자료에 나타나는 석독 구결을 분석하고 이를 이본 자료인 고려시대 음독 구결 자료와의 상관성을 비교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의 주요 대상인 기림사 『자비도량참법』은 권4의 17장부터 21장까지만 남아 있는 자료로, 13세기 중엽에 기입된 석독 구결 자료 하나를 더 발견했다는 점에서 학계가 모두 주목하고 있는 자료이다. 비록 본문에 나타나는 구결 자형은 50여 개에 불과하지만 기존의 석독 자료들과 전혀 다른 글자체의 자형들이 사용되었기에 이 자료는 연구자들의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또한 이 자료는 기존에 발굴된 어떤 자료에서도 찾아 볼 수 없는 음독 구결 자료도 있어 석독 구결과 음독 구결을 한눈에 비교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국어사적 측면에서는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그런데 기림사 소장 『자비도량참법』은 원본에 주요 부분 몇 군데의 구결 자형이 지워지거나 훼손되어 공개된 사진 자료만으로 구결 자형의 실체를 명확하게 판단하기가 어렵다. 이에 본 연구자는 보다 더 명확하고 정밀한 구결의 실체 파악을 위해 Adobe Photoshop을 활용하는 새로운 정보처리 방법을 사용하여 구결 자형이 지워지거나 훼손된 석독 구결 자형들을 확인하였다. 이런 정보처리 방법으로 기림사 『자비도량참법』의 석독 구결과 개인 소장본 『자비도량참법』의 음독 구결 자료의 비교분석을 통해 고려시대 석독 구결과 음독 구결의 상관성을 밝혔다는 데 이 연구의 의의가 크다.
  • 영문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Seokdok Gugyeol in Goryeo ChojuDaejangkyung, ‘Jabigoryangchambeop’ discovered at Kirimsa Temple in December 2015. The purpose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Seokdok Gugyeol shown in this new material and Eumdok Gugyeol, which is a previous edition Goryeo period copy.
    The main study object, ‘Jabigoryangchambeop’ from the Kirimsa Temple remains only in chapters 17 to 20 of Volume 4 and it is the crucial information academics are studying due to the discovery of one more Seokdok Gugyeol material dated to the middle of the 13th century. Although the number of Gugyeol letter types in the text is only about 50, it has been paid a great deal of attention in academia because it uses letter types that are quit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Seokdok materials. In addition, this is very precious data in Korean history because it contains Eumdok Gugyeol data that can not be found in any other existing material. Furthermore, Seokdok Gugyeol and Eumdok Gugyeol can be analyzed at the same time, providing the potential for new discoveries.
    However, in ‘Jabigoryangchambeop’ from Kirimsa Temple, Gugyeol letter types have been erased or destroyed in some main parts of original copy, and it is difficult to clearly judge the original image of the Gugyeol letter types based solely on the released images. In order to more accurately understand the presented information, the researcher used Adobe Photoshop to precisely identify missing or damaged Seokdok Gugyeol letter typ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correlation found between Seokdok Gugyeol and Eumdok Gugyeol in the Goryeo period, via and informaton processing method and comparative analysis of Seokdok Gugyeol of ‘Jabigoryangchambeop’ from Kirimsa and Eumdok Gugyeol of ‘Jabigoryangchambeop’ from a private collec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지난 2015년 12월에 기림사에서 발굴된 고려 초주대장경 『자비도량참법』을 대상으로 이 자료에 나타나는 석독 구결을 분석하고 이를 이본 자료인 고려시대 음독 구결 자료와의 상관성을 비교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의 주요 대상인 기림사 『자비도량참법』은 권4의 17장부터 21장까지만 남아 있는 자료로, 13세기 중엽에 기입된 석독 구결 자료 하나를 더 발견했다는 점에서 학계가 모두 주목하고 있는 자료이다. 비록 본문에 나타나는 구결 자형은 50여 개에 불과하지만 기존의 석독 자료들과 전혀 다른 글자체의 자형들이 사용되었기에 이 자료는 연구자들의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또한 이 자료는 기존에 발굴된 어떤 자료에서도 찾아 볼 수 없는 음독 구결 자료도 있어 석독 구결과 음독 구결을 한눈에 비교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국어사적 측면에서는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그런데 기림사 소장 『자비도량참법』은 원본에 주요 부분 몇 군데의 구결 자형이 지워지거나 훼손되어 공개된 사진 자료만으로 구결 자형의 실체를 명확하게 판단하기가 어렵다. 이에 본 연구자는 보다 더 명확하고 정밀한 구결의 실체 파악을 위해 Adobe Photoshop을 활용하는 새로운 정보처리 방법을 사용하여 구결 자형이 지워지거나 훼손된 석독 구결 자형들을 확인하였다. 이런 정보처리 방법으로 기림사 『자비도량참법』의 석독 구결과 개인 소장본 『자비도량참법』의 음독 구결 자료의 비교분석을 통해 고려시대 석독 구결과 음독 구결의 상관성을 밝혔다는 데 이 연구의 의의가 크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의 결과는 본 연구자가 강의하고 있는 대학원 석사과정 및 박사과정 전공 수업인 ‘국어사연구’와 ‘중세한국어연구’, ‘고문헌연구’, ‘고대국어자료연구’, ‘차자표기법연구’ 등과 학부 전공 수업인 ‘국어사’, ‘국어학특강’, ‘국어학개론’, ‘중세한국어’ 등의 강의에 보다 더 풍부한 자료를 제공해 줄 것이다. 특히 본 연구자가 강의하고 있는 ‘국어학특강’과 ‘고대국어자료연구’, ‘차자표기법연구’는 한국어학과 관련된 여러 분야 중 일반적으로 잘 다루지 않는 분야에서 주제를 선정하여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실제의 자료를 분석하는 강의다. 강의에 대한 교수의 목표는 고대한국어의 이해를 위해 필수적인 이두, 향찰, 석독 구결, 음독 구결 등의 차자 표기 원리를 이해하고 실습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아울러 고대․중세 한국어 문헌을 부분적으로 선별하여 집중적으로 분석해 봄으로써 국어의 표기법, 음운, 문법, 어휘 등의 변천과정을 이해하고 국어학 전반에 관한 이론적 바탕을 확립하는 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가 연구한 “새 자료, 고려본 『자비도량참법』의 석독 구결 분석 및 음독 구결과의 상관성 비교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도 대학(원) 전공 수업에서 상당 부분이 활용될 것이며, 구결을 연구할 많은 이들에게 지속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확신한다. 한국어의 통시적 흐름뿐만 아니라 한국어의 문자론 연구, 국어사 연구, 구문론 연구, 문체론 연구 및 번역학적 연구 등 국어학 전반에 걸친 연구에도 보탬이 되리라 믿는다.
    아울러 본 연구는 (1) 새롭게 발굴된 13세기 석독 구결 자료 『자비도량참법』으로 삼았다는 점, (2) 이 자료가 음독 구결과의 비교 분석할 수 있어 학계가 모두 주목하고 있다는 점다는 점, (3) 구결들이 모두 고려시대에 기입되었다는 점, (4) 『자비도량참법』 석독 구결의 필사(筆寫)가 일획의 오류도 없을 정도로 정교하게 쓰였으며 기입된 구결 자형들도 혼란을 일으킬 것 없이 세밀하게 기입되었다는 점, (5) 원문에 달린 구결의 기입 양상을 살펴볼 때 기존의 석독 구결 자료들에 비해 경전의 원문을 최대한 쉽고 정확하게 번역하고자 했다는 점, (6) 기존 석독 구결 자료 가운데 『大方廣佛華嚴經䟽 권35』과 마찬가지로 전훈독(全訓讀)을 충실히 한 자료라는 점, (7) 원문의 새김을 보다 더 명확하게 하기 위한 보조자(補助字)의 사용이 두드러진다는 점, (8) 구결 문장의 고유어 새김이 중세한국어와 대응되는 것들이 많이 나타난다는 점, (9) 기입된 구결이 정교하고 뚜렷하여 구결 자형의 독법과 쓰임에 대하여 보다 체계적으로 논의할 수 있다는 점, (10) 기존 석독 구결 자료에서 발견하지 못했던 자형들이 나타난다는 점, (11) 기존의 논의들에서 미해독으로 남겨져 있는 자형의 독법과 쓰임을 밝히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점, (12) 이 자료를 기존의 석독 구결 자료들과 비교 분석하여 고려 시대 국어의 실체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연구는 분명 국어학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연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동일 시대, 동일 문헌에서 석독 구결과 음독 구결을 함께 연구할 수 있는 자료가 지금까지 학계에서 소개된 바 없기 때문에 석독 구결과 음독 구결의 관계를 정확하게 비교분석할 수 있는 자료라는 점에서 이번에 연구되는 석독 구결 자료 『자비도량참법』과 개인소장본 음독 구결 자료 『자비도량참법』의 상관성을 한눈에 비교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연구라는 점에서도 학문적 기여도가 크다고 판단된다.
  • 색인어
  • 고려본, 초주대장경, 『자비도량참법』, 석독 구결, 음독 구결, 비교 연구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