밴더 의존성과 조직의 클라우드 컴퓨팅 기대성과와 관계: 공급자 신뢰와 조직지원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Vendor Dependency and Expected Benefits of Cloud Comput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Vendor Trust and Organizational Supports
클라우드 컴퓨팅이 기업의 미래 핵심 IT 서비스이자 기술로 주목받으면서 컴퓨팅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클라우드 컴퓨팅의 내재된 혁신적 영향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이 제시되고 있다. 또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와 관련된 기술적 사항 및 미래 전망이 발표되는 등 ...
클라우드 컴퓨팅이 기업의 미래 핵심 IT 서비스이자 기술로 주목받으면서 컴퓨팅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클라우드 컴퓨팅의 내재된 혁신적 영향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이 제시되고 있다. 또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와 관련된 기술적 사항 및 미래 전망이 발표되는 등 이에 대한 주제는 학문 및 기술적 문헌 내에서도 그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Zhang et al., 2010). 특히, 조직적 관점에서 IT 전략에 클라우드 컴퓨팅이 적절하게 사용된다면 비즈니스 성능을 개선하고 규모의 경제를 실현시켜 그 직접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클라우드 컴퓨팅이 가진 이점들이 조직에 긍정적인 기대효과를 가져올 것이라 예상됨에 따라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에 의해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연구도 꾸준히 수행되고 있다. 하지만 클라우드 컴퓨팅에 관한 연구들은 기술 표준 및 기술적 과제 측면의 연구들이 대부분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개발자 입장에서 주도되어 온 경우가 많으며 클라우드 컴퓨팅의 성공적인 구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제시하거나 실질적으로 도입하는 조직적 관점에서의 실증적 증거는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Yang and Tate, 2012). 또한,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연구에서 분석되는 내용들을 살펴보면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에 비용, 조직구조, 기술의 특성, 기존 인프라와의 호환가능성 등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과 구현이 조직의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클라우드 컴퓨팅이 성공적으로 구축되기 위해서 공급자에 따른 기술이나 관리에 대한 의존의 정도나 공급자에 대한 신뢰와 조직의 다양한 지원들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설명은 부족하다. 더 나아가 성공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구축이 조직이 기대하는 성과와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도 완전히 이해하기는 어려운 부분이 존재한다. 이는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에 대한 결정이 상당한 경제적·전략적 위험을 수반할 뿐 아니라(Benlian and Hess, 2011), 이러한 점에서 조직 관리자에게는 기술과 관리에 따른 상호 의존성에 대한 광범위한 판단력과 통찰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Aubert et al., 2012). 따라서 기술과 관리에 대한 의존성과 성공적인 클라우드 컴퓨팅의 구축 그리고 성과와 만족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연구는 매우 필수적이고 흥미로운 주제라 할 수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과 같은 최신 기술사용의 조직에 대한 설득은 아직은 미흡한 수준이라 할 수 있다. 이에 조직 내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과 해당 조직의 요소들을 반영한 충분한 실증적 설명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Kim and Garrison, 2010).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외부 클라우드 공급자에 대한 기술 및 관리의 의존성 요소와 클라우드 컴퓨팅 공급자에 대한 신뢰 그리고 조직의 다양한 지원과 같은 요소와 관련된 변수들을 도출하여 성공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구축에 대한 좀 더 포괄적인 이해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의 네 가지 연구 질문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실증적 증명을 찾아보고자 한다.
RQ1: 성공적인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해 고려되어야 하는 공급자에 대한 기술 및 관리적 의존성은 무엇을 의미하며, 이러한 요인들은 성공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구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RQ2: 성공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구축은 조직의 기대만족과 기대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RQ3: 클라우드 컴퓨팅 공급자에 대한 신뢰는 기술 및 관리적 의존성과 성공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구축 사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RQ4: 조직의 클라우드 컴퓨팅 사용에 대한 다양한 지원은 성공적인 클라우드 구축과 기대성과 및 만족 사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 질문에 대해 실증 분석을 통해 답을 제시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중요한 점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기존의 클라우드 컴퓨팅 구현에 대한 연구들을 바탕으로 조직 관점에서 외부 공급자에 대한 기술 및 관리의 의존성과 성공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구축 그리고 기대성과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이론 개발을 시도함으로써 조직 내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인식과 사용을 높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확인하고자 한다. 둘째, 본 연구는 성공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구축에 있어서 외부 공급자에 대한 신뢰와 클라우드 컴퓨팅 사용에 대한 조직의 다양한 지원의 역할에 대해 확인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직의 성공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구축에 선·후행 변수와의 관계와 신뢰 및 지원의 역할을 설명함으로써 이러한 요소들이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이 조직 내에서 성공적으로 구축될 수 있음을 증명하는 실증적 증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기대효과
본 연구에 기초한 몇 가지 기대효과와 활용방안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학문적으로 본 연구는 외부 클라우드 컴퓨팅에 초점을 두고 외부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을 통한 성공적인 구축과 이를 통한 만족과 성과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이론적 모델을 제안한다는 점에 ...
본 연구에 기초한 몇 가지 기대효과와 활용방안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학문적으로 본 연구는 외부 클라우드 컴퓨팅에 초점을 두고 외부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을 통한 성공적인 구축과 이를 통한 만족과 성과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이론적 모델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기존의 클라우드 컴퓨팅에 관한 연구들은 주로 개인의 관점에서 기술의 수용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조직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연구들의 경우 조직 내 정보기술 적용의 장점 및 이익을 확보하기 위한 과정에 대한 설명이 불분명하다고 결론을 내리는 경향이 있다. 특히, 많은 기업들이 클라우드 컴퓨팅을 외부의 공급자로부터 제공받아 이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외부 공급자에 대한 의존성이 성공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구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이론적 모델이나 실증적 조사는 미비한 실정이며 엄격하게 클라우드 컴퓨팅을 구분하지 않고 포괄적인 관점에서 살펴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의 연구격차를 줄이기 위해 클라우드 컴퓨팅 구축 과정에서의 외부 공급자에 대한 의존성의 의미를 설명하기 위한 연구모델을 개발하고 검정하여 그 기여하는 바가 크다. 다시 말해, 기존의 연구들은 조직 내의 자원, 문화, 기존 기술이 클라우드 컴퓨팅을 구현하고 사용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데 초점을 두고 있는 것과 달리, 실질적으로 기술을 개발하여 제공하는 외부 공급자에 대한 의존의 정도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설명하고 평가함으로써 새로운 연구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하나의 기준이 되어 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는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학문적 전제가 아직은 부족한 상황에서 성공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구축이 조직의 기대성과와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고 실증적 자원을 제공함으로써 기존 연구의 결과를 더욱 뒷받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성공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구축에 대한 클라우드 공급자 신뢰와 조직의 다양한 지원의 조절효과를 제안하였다. 이는 곧 이들 변수들의 유효성을 검정하기 위해 새로운 요소와 인과관계에 대한 논리적 논의로부터 이론화를 시도하여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이론적 모델과 실증적 자원은 향후 비슷한 범위의 실증연구로부터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요소들의 중요성에 대한 타당성을 높이는 계기가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해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실무적으로 본 연구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구축하려는 기업에게는 기업 경쟁 우위를 위한 주요 화두인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실증적으로 증명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외부 클라우드 컴퓨팅 공급자들에게는 기술 및 관리적 의존성에 관한 이해력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다시 말하자면, 클라우드 컴퓨팅을 채택하여 구축한 기업에게는 외부 클라우드 공급자에 대한 의존성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시키고 이해를 도와줄 수 있는 설명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클라우드 공급자와 신뢰를 쌓기 위해 어떤 노력과 관심이 필요한지에 대한 실증적 증거를 제공한다. 또한, 성공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구축이 조직의 기대성과와 만족에도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조직의 다양한 지원이 그 관계에서 어떤 조절효과를 가지는지에 대한 실증적 자원을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기술과 관련된 변화에 기업이 보다 안정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동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외부 클라우드 컴퓨팅 공급업자에게도 기업들이 성공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구축을 위해 기업 간 믿고 의지하는 정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이해하는데 유용한 설명을 제공한다. 특히, 기업 간 신뢰는 기업 비즈니스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뿐 아니라 정보기술을 함께 활용하는 기업들에게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어 왔음을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한 번 더 확인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기술 및 관리적 의존성의 개념을 이해하고 성공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구축을 위해 이들 요소들의 필요성을 이해하기 위한 기반 자료를 제공한다.
연구요약
조직적 관점에서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해 살펴보는 기존의 연구들은 클라우드 컴퓨팅을 포괄적인 범주에서 살펴보고 있으며 조직 필요성, 인지적 요소 등과 같은 측면에서의 변수들을 도출하여 클라우드 컴퓨팅 구현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클라우드 컴퓨팅의 그 ...
조직적 관점에서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해 살펴보는 기존의 연구들은 클라우드 컴퓨팅을 포괄적인 범주에서 살펴보고 있으며 조직 필요성, 인지적 요소 등과 같은 측면에서의 변수들을 도출하여 클라우드 컴퓨팅 구현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클라우드 컴퓨팅의 그 특성에 따라 구분되어지고 그 종류에 따라 중요하게 고려해야하는 상황들에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이에 기존 연구들은 성공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구축에 대한 총괄적인 설득력을 갖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외부 클라우드 컴퓨팅에 초점을 두고 외부 클라우드 공급자에 대한 기술 및 관리적 의존성, 성공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구축 그리고 기대성과 및 만족과 같은 변수들을 도출하여 이에 대한 좀 더 포괄적인 이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외부 클라우드를 조직에 성공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외부 공급자에 대한 신뢰에 대한 접근도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클라우드 컴퓨팅 구축이 조직의 기대성과와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에 대한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 조직적 차원의 다양한 지원에 대한 접근도 필요한다. 이에 본 연구는 성공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구축 과정에 대한 외부 공급자에 대한 신뢰와 조직의 다양한 지원의 조절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의 네 가지 연구 질문에 대한 실증적 증명을 찾아보고자 한다.
RQ1: 성공적인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해 고려되어야 하는 외부 공급자에 대한 기술 및 관리적 의존성은 무엇을 의미하며 이러한 요인들은 성공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구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RQ2: 성공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구축은 조직의 기대만족과 기대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RQ3: 클라우드 컴퓨팅 공급자에 대한 신뢰는 기술 및 관리적 의존성과 성공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구축 사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RQ4: 조직의 클라우드 컴퓨팅 사용에 대한 다양한 지원은 성공적인 클라우드 구축과 기대성과 및 만족 사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이러한 연구 질의를 증명하기 위해 본 연구는 국내·외 클라우드 컴퓨팅을 구축하여 사용하고 있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할 것이다. 자료 수집을 위한 각 측정 항목들은 기존연구로부터 채택하여 연구내용에 적합하게 수정 및 보완을 실시 할 것이다. 또한, 전문가 그룹을 통한 내용타당성(content validity) 검증과 사전조사(pre-test)를 통해 각 측정항목에 대한 정교화와 정확성을 높일 것이다. 이렇게 개발된 측정항목들은 등간척도의 하나인 7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할 것이며, 설문조사는 우편, 이메일, 방문 등 다차원적인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것이다. 수집된 자료는 모든 측정항목에 대한 타당성 검증(신뢰성, 집중타당성 및 판별타당성 검증)을 실시한 후,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해 연구모형에서 제안한 가설을 검증할 것이다. 구조방정식은 AMOS 21.0을 통한 공분산구조방정식 분석을 사용할 것이다. 하지만 조직 단위의 연구이므로 수집된 자료의 양이 적을 경우 이에 적합한 Partial Least Squares(PLS) 접근방법을 사용 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각 변수들 사이의 인과관계를 증명 할 것이다. 또한 구조방정식 분석에서 산출되는 결정계수(R2)을 통해 연구모형에서 외생변수가 내생변수의 변동을 얼마나 잘 설명하는지에 대한 설명력 정도도 해석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연구모형에서 제안하는 조절효과는 조절된 다중집단 회귀분석(Moderated Multiple Regress: MMR) 방법으로 조절효과를 검증 할 것이며, 연구결과를 통해 클라우드 컴퓨팅 분야의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해 낼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클라우드 컴퓨팅은 외부에 위치한 데이터센터에 IT자원을 집적시키고 필요로 하는 만큼만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업은 IT투자에 대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데이터 관리, 유지 및 보수가 쉬워 업무의 효율성 향상이라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이런 경 ...
클라우드 컴퓨팅은 외부에 위치한 데이터센터에 IT자원을 집적시키고 필요로 하는 만큼만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업은 IT투자에 대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데이터 관리, 유지 및 보수가 쉬워 업무의 효율성 향상이라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이런 경우, 클라우드 컴퓨팅은 외부의 데이터센터의 IT자원을 이용해야한다는 점과 중앙 서버에 사용자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저장하는 데이터가 저장 및 관리된다는 점에서 서비스 공급자에 대한 의존성이 높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외부 공급자에 대한 의존성이 클라우드 컴퓨팅의 구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공급자에 대한 신뢰와 조직의 다양하고 적절한 지원 역시 성공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구현이나 기업이 기대하는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기존 연구에서는 살펴보지 못한 공급자에 대한 의존성과 성공적인 클라우드 컴퓨팅의 구현 및 성과 그리고 신뢰와 조직 지원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공급자에 대한 의존성이 성공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구현과 기대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라는 주요 연구 질의에 대한 동기와 해답을 실증 분석을 통해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공급자의 의존성 요인을 기술적 의존성과 관리적 의존성으로 제안하고 이들 요인이 성공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구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성공적인 구현이 만족과 성과라는 기대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해 기존 연구와의 차별화를 확보하였다. 또한 공급자에 대한 신뢰와 조직지원이 의존성과 성공적인 구현 그리고 성과와의 관계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실증적 검증을 통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연구모형의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기술적 의존성은 성공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구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관리적 의존성은 성공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구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공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구현은 만족과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급자에 대한 신뢰는 의존성과 성공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구현 간의 관계를 강화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조직 지원은 성공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구현과 기대성과와의 관계를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성공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구현에 대해 조직적 차원에서 이론적, 실무적으로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Today, many companies try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organization operation through resource sharing. Cloud computing is a technology that represents the concept of sharing rather than resource ownership in the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ref ...
Today, many companies try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organization operation through resource sharing. Cloud computing is a technology that represents the concept of sharing rather than resource ownership in the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refore,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role of two types of dependency on vendors(technical and managerial), which is very important for an organization to implement external cloud computing. We also demonstrate empir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successful external cloud computing implementations and the expected performance of both types (satisfaction, performance) as well as the moderating effects of vendor trust and organizational supports. A total of 219 data were collected from companies using various external cloud services and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Results show that all hypotheses were adopted except for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managerial dependency and successful cloud computing implement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 discussed important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클라우드 컴퓨팅은 외부에 위치한 데이터센터에 IT자원을 집적시키고 필요로 하는 만큼만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업은 IT투자에 대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데이터 관리, 유지 및 보수가 쉬워 업무의 효율성 향상이라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이런 경 ...
클라우드 컴퓨팅은 외부에 위치한 데이터센터에 IT자원을 집적시키고 필요로 하는 만큼만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업은 IT투자에 대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데이터 관리, 유지 및 보수가 쉬워 업무의 효율성 향상이라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이런 경우, 클라우드 컴퓨팅은 외부의 데이터센터의 IT자원을 이용해야한다는 점과 중앙 서버에 사용자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저장하는 데이터가 저장 및 관리된다는 점에서 서비스 공급자에 대한 의존성이 높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외부 공급자에 대한 의존성이 클라우드 컴퓨팅의 구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공급자에 대한 신뢰와 조직의 다양하고 적절한 지원 역시 성공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구현이나 기업이 기대하는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기존 연구에서는 살펴보지 못한 공급자에 대한 의존성과 성공적인 클라우드 컴퓨팅의 구현 및 성과 그리고 신뢰와 조직 지원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공급자에 대한 의존성이 성공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구현과 기대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라는 주요 연구 질의에 대한 동기와 해답을 실증 분석을 통해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공급자의 의존성 요인을 기술적 의존성과 관리적 의존성으로 제안하고 이들 요인이 성공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구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성공적인 구현이 만족과 성과라는 기대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해 기존 연구와의 차별화를 확보하였다. 또한 공급자에 대한 신뢰와 조직지원이 의존성과 성공적인 구현 그리고 성과와의 관계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실증적 검증을 통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연구모형의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기술적 의존성은 성공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구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관리적 의존성은 성공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구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공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구현은 만족과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급자에 대한 신뢰는 의존성과 성공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구현 간의 관계를 강화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조직 지원은 성공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구현과 기대성과와의 관계를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성공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구현에 대해 조직적 차원에서 이론적, 실무적으로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학문적으로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외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공급자와의 관계에 초점을 둔 이론적 연구는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는 외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와 관련된 연구를 위한 초석을 마련하였다. 즉, 외부 클라우드 컴퓨 ...
학문적으로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외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공급자와의 관계에 초점을 둔 이론적 연구는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는 외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와 관련된 연구를 위한 초석을 마련하였다. 즉, 외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가 가장 많이 사용 활용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자와 관련된 영향에 대해 심층적으로 조사한 연구는 매우 부족 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 공급자 관련 요소 중 외부 클라우드 서비스 활용 시 중요한 기술적, 관리적 측면의 의존성을 조직의 클라우드 컴퓨팅 구현 성공에 중요한 요소로 이론화 하였다. 이는 외부 IT자원을 방대하게 활용하는 있는 현 시점에서 시의적절한 학문적 토대를 마련할 뿐 아니라 IT자원을 더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에 좋은 시발점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외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공급자의 의존성 영향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공급자 신뢰의 역할에 대한 부분도 이론화 하였다. 신뢰의 중요성은 이미 정보기술의 많은 연구에서 강조 되었다. 하지만 본 연구와 같이 공급자 의존성과 클라우드 컴퓨팅 구현 성공 사이에서 신뢰의 역할은 클라우드 공급자와의 관계적 측면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려주는 이론적 틀이 될 수 있어 그 시사점이 크다 할 수 있다. 이는 곧 이전 연구에서 증명 되지 않은 요소와 관계를 밝혔다는데 있어 본 연구가 시사 한 바는 크다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에서 조직이 새로운 기술을 구현 하고 성과를 창출해 내기 위해선 지속적인 조직지원의 중요성을 이론화 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증명하였다. 마지막으로 공급자 의존성, 신뢰 등 연구이론에 포함한 변수를 측정하기 위한 새로운 측정항목들을 이전 연구로부터 개발하여 타당성을 검정하였다는 시사점이 있다. 아울러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클라우드 컴퓨팅 사용이 산업 전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에 맞춰 조직들이 대처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곧 본 연구 결과로부터 조직의 관리자 및 정보기술 실무자들은 클라우드 컴퓨팅 구현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 조직 내 정책 및 지원이 필요하며, 어떤 요소에 중점을 두고 외부 클라우드 컴퓨팅 구현을 진행해야 되는지에 대한 구체적 정보를 제시한다. 또한, 본 연구는 국내의 많은 조직들이 다양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사용 하고 있을 뿐 아니라 왜 조직의 정보기술 전략을 클라우드 컴퓨팅으로 하는지에 대한 정보도 제공해 주고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외부 클라우드 컴퓨팅 사용이 현대 조직에서는 일반적이며, 이를 조직의 주요 정보기술 전략으로 하기 위해서 클라우드 공급자와 관계의 중요성에 대해 알려 준다. 일반적으로 조직 관리자들은 중요한 정보나 자산 관리를 위해서는 외부 클라우드가 아닌 사설 클라우드를 개발해 사용 할 것이다. 또한, 외부 클라우드 전략을 사용하는 조직들은 그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공급자에게 기술적으로 의존하게 되지만 관리적으론 많은 간섭을 하고자 하는게 일반적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관리적 의존성은 클라우드 컴퓨팅 구현 성공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이는 공급자에 대한 신뢰가 있을 때 가능하다는 것을 알려 준다. 즉, 외부 클라우드를 성공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공급자에 대한 신뢰 구축이 더 중요한 요소라는 점을 조직의 관리자들에게 알려 주고 있다. 이는 공급자와 수요자의 관계가 아닌 정보기술 사용에 있어 동반자 관계를 구축해 서로간의 신뢰를 쌓는 것이 외부 정보기술 자원을 활용하는 조직에게는 더 큰 이점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다른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새로운 정보기술을 구현 한 후 더 높은 정량적, 정성적 성과를 위해선 조직의 지속적 지원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을 관리자들에게 알려 준다. 많은 정보기술 프로젝트들이 개발 및 구현 과정에 많은 예산을 투입 하지만 정작 구현이 완성 된 후 조직 구성원들에게 필요한 지원에 대해서는 매우 소홀 하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조직의 관리자들은 구성원들이 클라우드 컴퓨팅에 익숙해 질 때 까지 필요한 다양한 지원의 중요성에 대해 알려 줌으로써 단기적인 지원이 아닌 지속적 지원이 새로운 정보기술 구현 후 성과를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 다는 것에 대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해 주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