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환경평가등급 재평가 이후 수도권 개발제한구역 1-2등급지 변화내용분석 및 효율적 관리방안연구
Analysis on the Changes of the 1st and 2nd Class Lands of the Green Belt and Their Efficient Management Plans in Seoul Metropolitan Area After the Revaluation of Environmental Assessment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_학술연구교수(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7S1A5B5A02023636
선정년도 2017 년
연구기간 3 년 (2017년 07월 01일 ~ 2020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박지희
연구수행기관 성신여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우리나라 개발제한구역은 1971년 「도시계획법」을 기초로 전 국토의 5.4%인 5,397.1㎢가 지정되어 지난 40여 년 동안 커다란 변화없이 유지되어왔다. 그러나 오랜 기간 개발과 보전이라는 상반된 입장의 지속적인 대립이 이루어지면서 개발제한구역의 해제론까지 대두되었다. 이러한 논쟁은 1997년 대통령후보의 개발제한구역 해제공약을 시작으로 해제에 관한 논의가 더욱 본격화되었고, 1999년에는 개발제한구역의 합리적 조정관리를 위해 환경평가제도가 도입되었다. 환경평가에 따른 등급결과는 수도권을 비롯하여 대도시권 개발제한구역 조정에 필수적인 지표로 활용되는 것은 물론, 개발제한구역 내 불가피하게 입지하는 개별시설 심사의 경우에도 중요한 판단지표로 활용되었다. 환경평가 결과에 따라 지정된 1-5등급지역 중 보전지역인 1-2등급지역에 대해서도 최근 수도권지역 일부 지자체에서 조정신청을 적극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조정과정은 지난 17년간 개발제한구역을 유지해온 핵심적 정책이기 때문에 조정절차상의 많은 어려움과 문제점이 야기될 가능성이 있다. 예로 한강상류지역을 포함한 몇 개 지자체에서 제기했던 수도권 개발제한구역 환경평가등급조정과 관련된 내용이 사회적으로 쟁점화 된 경우가 있었다. 이는 개발제한구역의 본래 정책의지에 대한 성찰보다는 개발의지를 드러낸 것이기 때문에 논란이 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이에 국토교통부는 2013년 9월2일 발표된 “국토부 훈령” 과 2014년 3월 발표된 “개발제한구역 규제완화방안”을 발표하면서 개발제한구역 규제완화정책을 추진하였다. 또한 가장 핵심논쟁인 환경평가를 통한 개발제한구역 등급지 지정에 관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제기하면서, 2013-2014년에 걸쳐 “개발제한구역 환경평가등급 재평가”를 실시하였다. 이것이 시사하는 바는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오던 개발제한구역의 규제에 대한 새로운 검토와 완화정책을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함으로써 개발제한구역 해제를 포함해서 많은 변화가 나타날 것이 예상되는 상황이다.
    국토교통부는 개발제한구역 환경평가등급 재평가 실시의 필요성을 인식하기에 이르렀다. 환경평가의 재평가 필요성은 먼저 1999년 환경평가 이후 환경평가등급 및 환경평가자료 갱신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두 번째는 변화된 지역현황을 반영하지 못하는 기존자료의 사용으로 인해 자료의 신뢰성 저하와 개발제한구역의 효율적 관리지원 상의 문제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세 번째는 1999년 평가 이후의 환경변화를 반영해 환경평가등급을 재검증하고 DB구축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드러났다. 이러한 이유로 2013년 12월∼2014년 9월까지 개발제한구역 환경평가등급 재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로써 2000년 이후 개발제한구역관련 법률적 근거와 정책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2013-2014년 사이 진행된 환경평가등급 재평가 이후 변화가능성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먼저 최근 지속적인 지자체들의 개발제한구역 해제와 등급조정 요구와 이와 함께 발표되는 정책추진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이 나타난다. 이에 따라 개발제한구역에 관한 보다 정확하고 객관적인 점검을 시행하기 위한 것이다. 두 번째 목적은 개발제한구역 환경평가등급 재평가이후 수도권지역 개발제한구역의 1-2등급지의 변화 내용과 지자체의 정책변화를 확인하고 분석 검토 후, 실질적이고 객관적인 수도권 개발제한구역 1-2등급지의 효율적인 활용방안에 대해 좀 더 정확하게 연구하고자 한다. 이는 수도권의 많은 지자체들이 개발제한구역의 등급 재평가를 통한 1-2등급지의 변화가 개발제한구역의 미래 변화와 활용가능성에 대해 많은 변화를 줄 수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고 이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절실하다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최근 가장 관심이 높은 지자체의 개발제한구역 환경정책 및 관리정책과 수도권 지역경제의 회복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즉, 수도권지역 지자체들의 경제관련 지표를 분석·조사하여 선정하고, 이를 통해 개발제한구역의 활용방안에 대해서 보다 실증적이고 객관적인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현재 우리나라 개발제한구역은 개발제한구역에 관한 다양한 입장과 정책이 나타나면서, 1971년 지정 이래 가장 많은 변화기를 겪고 있다고 생각된다. 이에 개발제한구역의 현재를 정확히 확인하고 미래에 대한 정책진행을 위한 점검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판단된다.
    지난 40여 년 동안 지속적으로 유지·보전되면서 개발제한구역 제도개선에 관한 크고 작은 정책들이 발표되었고, 개발제한구역 등급조정을 통한 개발제한구역 활용에 관한 주장이 대두되었다. 특히 최근에는 지역경제의 회복력이 지자체별로 핵심과제로 대두되면서 개발제한구역 등급지에 따른 활용방안들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개발제한구역 환경평가는 개발제한구역의 제도개선을 위한 근거를 제시하여 활용방안을 마련했다. 이를 통해 보전가치가 높은 개발제한구역은 계속 존치하되, 보전가치가 낮은 지역은 해제하여도 환경훼손의 우려가 적을 것으로 판단하여 실시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평가가 17년이 지난 현재 많은 지자체들의 개발제한구역 해제요구와 함께 개발제한구역 등급조정신청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국토교통부는 개발제한구역 환경평가등급 재평가를 실시하였다.
    국토교통부의 환경평가 등급 조정에 따른 개발제한구역 조정면적은 전체 개발제한구역 면적 약 3,859㎢(2015. 12월 기준) 중 전국적으로는 약 100㎢ 이상, 여건 변화가 많은 수도권은 약 50㎢ 이상 조정되었다. 개발제한구역 특히 수도권 개발제한구역은 전 국토의 1.4%이며, 전체 개발제한구역 면적의 약 37%에 해당된다. 이에 수도권 개발제한구역의 지속적인 해제가 이루어지고 특히 1-2등급지의 비율의 변화는 우리나라 전체 개발제한구역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재평가된 개발제한구역 등급지 조정을 확인하고, 이중 수도권지역 개발제한구역의 1-2등급지를 중심으로 1999년 시행된 환경평가등급과 2013-2014년에 이루어진 환경평가등급 재평가 이후, 현 시점에서 개발제한구역의 권역별 현황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두 번째는 권역별·지역별로 세부적으로 분류하고, 이 중에서 기존 1-2등급지 중 조정요구가 진행되었던 지자체의 1-2등급지 특징을 파악하여 현재 가장 시급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세 번째는 실질적으로 가장 넓은 면적인 수도권 개발제한구역 1-2등급지의 변화내용을 확인하여, 정확한 규모 및 위치 뿐 아니라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과 유지보전을 위한 방법 등 수도권 개발제한구역에 대한 중요한 내용을 파악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이다. 네 번째는 환경보호차원에서 개발제한구역 1-2등급지 보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수도권 지자체별로 친환경적인 보전 및 관리정책을 분류·분석하여 개발제한구역 보전·관리를 위한 효율적인 방안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다섯 번째는 최근 국가 뿐 아니라 각 도시지역이 현 시점에서 체감하고 있는 중요한 문제 중 하나가 지자체별로 논의되고 있는 경제활성화 방안이다. 이에 지자체별로 지역경제 회복력 강화를 위한 방법으로 개발제한구역의 경제지표 조사·분석을 통해 효율적이고 지자체에 맞는 활용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연구요약
  • 우리나라 개발제한구역은 당초 5,397㎢에서 1,538㎢가 해제되어 2015년 12월말 현재 3,859㎢가 남아있다. 이 중 해제 가능총량도 전체 532㎢ 중 299㎢가 해제되어 233㎢가 남아있으며, 권역별로는 20㎢~97㎢ 여유물량이 있다. 이중 전체 개발제한구역 면적의 약 37%인 수도권 개발제한구역의 변화는 전체 개발제한구역의 정책변화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정부의 정책방향이나 흐름으로 볼 때 앞으로 개발제한구역은 점차적이지만 해제가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좀 더 장기적이고 광범위한 차원에서 개발제한구역 해제지역의 활용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된다.
    개발제한구역 제도개선은 지난 40여 년 동안 많은 논쟁과 조정을 거치면서 이루어졌다. 이런 과정속에서 개발제한구역 해제문제는 가장 핵심적인 화두였다. 개발제한구역의 해제지역에 관한 활용방안은 대통령선거와 연계되어 해제가 이루어지기 시작한 1998년을 시작으로 지속적으로 논의되어왔다. 특히 최근에는 1999년 환경평가 이후 오랫동안 유지되어왔던 개발제한구역의 등급화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여러 가지 변수로 작용하여 이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기에 이르렀다. 많은 지자체들이 지역개발과 경쟁력강화를 위해 개발제한구역 등급조정을 요구하거나 변칙적인 방법으로의 등급조정을 시도하는 현상들이 등장하면서 그 심각성이 드러났다.
    개발제한구역 등급조정에 있어 가장 중요하게 대두되고 관심이 집중되는 지역이 개발제한구역 환경평가 1-2등급지에 관한 것이다. 3-5등급지의 경우 해제가 이미 이루어지거나 해제가능지역이므로 논쟁의 여지가 적으나, 1-2등급지의 경우 보전지역으로 지정되어 유지되었던 지역이다. 이에 편법적이고 불법적인 방법으로까지 1-2 등급지의 등급조정을 요구하는 상황들이 전개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개발제한구역의 환경평가등급 재평가를 통한 등급조정과 해제를 요구하고, 해제지역을 개발하기 위한 논의가 진행되기에 이른 것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 수도권 개발제한구역에 대한 지자체들이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개발제한구역 해제지역에 대한 지자체들의 관심은 실질적으로 수도권 지역의 지역경제 회복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개발제한구역 해제지역의 효율적인 활용방안을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이에 따라 가장 먼저 1년차 연구에서는 환경평가등급 재평가 이후 수도권 개발제한구역 1-2등급지역의 변화내용을 비교분석하고, 1-2등급지의 올바른 활용방안과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개발제한구역 해제에만 집중되는 관심을 보전지역인 1-2등급지의 정확한 평가를 통해 개발제한구역 1-2등급지의 중요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2년차 연구에서는 1971년 지정당시부터 2016년 12월까지 개발제한구역 제도개선방안이 발표되고 시행되면서 실질적으로 나타난 개발제한구역 해제지역의 정책변화양상을 시기별·유형별·주제별(내용별)로 분석하여 미래 개발제한구역 정책변화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3년차 연구에서는 최근 지자체의 가장 큰 관심분야인 지역경제의 회복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이에 수도권 28개 시 3개 군 지역의 다양한 경제지표를 선정하고 분석하여 보다 실증적인 방법으로 개발제한구역 해제지역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 효율적이고 타당성 있는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우리나라 개발제한구역 해제는 1998년을 시작으로 지속적으로 논의되어왔다. 특히 최근에는 많은 지자체들이 보전지역으로 지정되어 유지되었던 1-2등급지에 대한 등급조정을 요구하는 등 지역개발과 경쟁력강화를 위해 개발제한구역 등급조정을 요구하거나 변칙적인 방법으로의 등급조정을 시도하는 현상들이 나타나면서 그 심각성이 드러났다.
    이에 따라 2014년∼2015년에 환경평가등급 재평가가 시행되었고 개발제한구역 환경평가등급의 변화 가능성이 나타났다. 가장 먼저 1년차 연구에서는 수도권 개발제한구역 1-2등급지역의 변화내용을 비교분석하고, 1-2등급지의 올바른 활용방안과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모색하였다. 다음으로 환경평가등급 재평가가 이루어진 2014년을 기준으로 서울시 개발제한구역 환경평가등급을 1999년∼2014년, 2014년∼2019년으로 구분하여 그 변화를 분석하였다. 1999년∼2014년에는 1-2등급지의 경우 대부분 증가 양상을, 3-5등급지의 경우는 감소추세가 두드러진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개발제한구역 환경평가등급 재평가 이후인 2014년∼2019년에는 반대로 2등급지의 뚜렷한 감소와 3등급지의 증가 양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2년차 연구에서는 1971년 지정당시부터 2019년 12월까지 개발제한구역 제도개선방안이 발표되고 시행되면서 실질적으로 나타난 개발제한구역 해제지역의 정책변화양상을 시기별·유형별·내용별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개발제한구역의 정책변화과정과 그 내용을 통해 개발제한구역 해제 및 변화양상을 확인하였다. 유형별로는 지난 2001년부터 2019년 3월말까지 보고 또는 발표된 개발제한구역 해제 및 변화와 관련된 관보의 유형별 현황을 살펴보면 대통령령이 31건, 부령이 16건, 법령이 17건, 고시가 44건, 공고가 46건 그리고 지방자치단체령이 132건을 나타내고 있다. 연도별 분포를 보면 대통령령과 부령, 법령의 경우 2010년 이전에 비해 2010년 이후 특히 2014년∼2017년까지의 건수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지방자치단체령의 경우는 이와는 다르게 2004∼2007년 전체 132건수의 61.4%에 해당하는 높은 비율인 81건이 발표 및 시행되었다. 이에 비해 공고의 경우는 2001년부터 2019년 현재에 이르기까지 매년 고르게 발표된 것으로 확인된다.
    이를 바탕으로 3년차 연구에서는 오랜 기간 지속되어온 정책을 최근 지자체에서 가장 큰 관심분야인 지역개발 또는 지역 경쟁력 강화를 위한 측면에서 ‘지역회복력’ 개념을 적용하였다. 회복력과 관련된 지표선정의 중요성을 통해 국내외 지표선정관련 선행연구를 통해 공통적으로 다룬 지표와 무엇보다도 통계구득이 가능한 설명력이 높은 6개 평가지표를 선정하였다. 인구관련지표, 물적 및 인프라 관련지표, 혁신자본지표, 경제관련지표, 사회·문화 관련지표, 생태관련지표 등이다. 이를 다시 세부항목으로 분류하여 이에 수도권 개발제한구역의 지역경제의 회복력을 위한 지표선정과 그 활용과 관련된 방안에 대해 다루었다.
    본 연구는 최근 가장 커다란 관심을 끌고 있는 환경평가 재평가 시행이후 등급지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1-2등급지의 감소와 상대적으로 늘어난 3등급지에 대한 분석과 활용에 관한 측면을 ‘지역회복력’과 연계하여 논의하고 고민함으로써 개발제한구역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에 대한 접근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 영문
  • The lifting of Green Belt in Korea has been continuously discussed since 1998. In particular, it is pointed as a problem that many local governments recently demanded grade adjustments for the 1st and 2nd grades, which had been designated and maintained as conservation zones for regional development or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or attempted to grade them in an anomalous manner. Accordingly, the re-evaluation of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grade was conducted in 2014 and 2015, and the possible changes in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grade of green belt was revealed.
    First, in the first year of research, the changes in the 1st and 2nd grade areas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compared and analyzed, and their ideal utilization and efficient management were examined.
    Next, based on 2014, when the re-evaluation of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grade was made,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grade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green belt was analyzed by dividing into two periods, 1999-2014 and 2014-2019. It is noted that most of the 1st and 2nd grades showed an increase, while the 3rd to 5th grades showed a decrease from 1999 to 2014.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on the contrary, there was a clear decrease in the 2nd grade areas and an increase in the 3rd grade areas between 2014 and 2019, which is after the re-evaluation of environmental assessment grades of the green belt.
    In the second year of research, the policy changes in the green belt areas were analyzed by time, type, and content, which were resulted from the implementation of measures to improve the green belt area from the time of designation in 1971 until December 2019. This research showed the process of policy changes and the lifting of the green belt areas and its changing patterns. By analyzing the government gazettes from 2001 to the end of March 2019 related to the lifting or change of the green belt, there are 31 presidential decrees, 16 ministerial decrees, 17 laws, 44 notices, 46 public notices, and 132 local government ordinances. By year, the number of presidential decree, ministerial decree, and law since 2010 is more prominent than before 2010, especially between 2014 and 2017. Meanwhile, the case of local government ordinances, 81 cases, or 61.4% of the total 132 cases, were announced and implemented between 2004 and 2007. On the other hand, it is confirmed that the public notices were published evenly every year from 2001 until present.
    Based on this analysis, the 3rd year of research applied the concept of 'regional resilience' to the regional development or strengthening regional competitiveness that most local governments recently showed their interests. For the selection of indicators related to resilience, six persuasive indicators were selected based on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index both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They are population-related indicators, physical and infrastructure-related indicators, innovative capital indicators, economy-related indicators, social and cultural indicators, and ecological indicators. Indicators for the resilience of the regional econom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e measures related to its utilization were addressed on this study.
    The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grades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re-evaluation.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approach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green belt by discussing the utilization of 1st and 2nd grades which have been relatively increased, and decreased 3rd grade areas in conjunction with 'regional resilienc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우리나라 개발제한구역이 지난 40여 년 동안 많은 논쟁과 조정을 거치는 동안 해제와 관련된 문제는 가장 핵심적인 화두였다. 대통령선거와 연계되어 해제가 이루어지기 시작한 1998년을 시작으로 지속적으로 논의되어왔다. 특히 최근에는 1999년 환경평가 이후 오랫동안 유지되어왔던 개발제한구역의 등급화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여러 가지 변수로 작용하여 이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기에 이르렀다. 많은 지자체들이 보전지역으로 지정되어 유지되었던 1-2등급지에 대한 등급조정을 요구하는 등 지역개발과 경쟁력강화를 위해 개발제한구역 등급조정을 요구하거나 변칙적인 방법으로의 등급조정을 시도하는 현상들이 나타나면서 그 심각성이 드러났다.
    이에 개발제한구역의 환경평가등급 재평가를 통한 등급조정과 해제를 요구하고, 해제지역을 개발하기 위한 논의가 진행되기에 이른 것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 수도권 개발제한구역에 대한 지자체들이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개발제한구역 해제지역에 대한 지자체들의 관심은 실질적으로 수도권 지역의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를 위한 방안으로 지역회복력 개념을 통해 개발제한구역 해제지역의 효율적인 활용방안을 다루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이후 2014년∼2015년에 환경평가등급 재평가가 시행되었고 개발제한구역 환경평가등급의 변화 가능성이 나타났다. 가장 먼저 1년차 연구에서는 수도권 개발제한구역 1-2등급지역의 변화내용을 비교분석하고, 1-2등급지의 올바른 활용방안과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모색하였다. 다음으로 환경평가등급 재평가가 이루어진 2014년을 기준으로 서울시 개발제한구역 환경평가등급을 1999년∼2014년, 2014년∼2019년으로 구분하여 그 변화를 분석하였다. 1999년∼2014년에는 1-2등급지의 경우 대부분 증가 양상을, 3-5등급지의 경우는 감소추세가 두드러진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개발제한구역 환경평가등급 재평가 이후인 2014년∼2019년에는 반대로 2등급지의 뚜렷한 감소와 3등급지의 증가 양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2년차 연구에서는 1971년 지정당시부터 2019년 12월까지 개발제한구역 제도개선방안이 발표되고 시행되면서 실질적으로 나타난 개발제한구역 해제지역의 정책변화양상을 시기별·유형별·내용별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개발제한구역의 정책변화과정과 그 내용을 통해 개발제한구역 해제 및 변화양상을 확인하였다. 시기별로 살펴보면 최초로 해제가 이루어진 김대중 정부때 가장 많은 781㎢가 해제 되었고, 다음으로 노무현 정부시기에도 국민임대주택과 관련해 654㎢가 해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다른 정부에서도 마찬가지로 주로 해제목적인 주택단지 조성 및 공공주택건설 등을 목적으로 해제가 이루어는 경우가 많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용별·유형별로 살펴보면 실질적으로 개발제한구역 해제관련 주요 제도개선사항은 1998년 12월 24일 헌법불합치 결정이후 중앙정부차원에서 주로 개발제한구역 해제총량 완화 및 해제가능유형 확대문제, 개발제한구역 해제취락의 정비활성화 방안, 그리고 민간 참여를 통한 해제사업 활성화 방안 마련을 중심으로 제도 개선이 이루어져 왔다. 유형별로는 지난 2001년부터 2019년 3월말까지 보고 또는 발표된 개발제한구역 해제 및 변화와 관련된 관보의 유형별 현황을 살펴보면 대통령령이 31건, 부령이 16건, 법령이 17건, 고시가 44건, 공고가 46건 그리고 지방자치단체령이 132건을 나타내고 있다. 연도별 분포를 보면 대통령령과 부령, 법령의 경우 2010년 이전에 비해 2010년 이후 특히 2014년∼2017년까지의 건수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지방자치단체령의 경우는 이와는 다르게 2004∼2007년 전체 132건수의 61.4%에 해당하는 높은 비율인 81건이 발표 및 시행되었다. 이에 비해 공고의 경우는 2001년부터 2019년 현재에 이르기까지 매년 고루 발표된 것으로 확인된다.
    이를 바탕으로 3년차 연구에서는 오랜 기간 지속되어온 정책을 최근 지자체에서 가장 큰 관심분야인 지역개발 또는 지역 경쟁력 강화를 위한 측면에서 ‘지역회복력’ 개념을 적용하였다. 회복력과 관련된 지표선정의 중요성을 통해 국내외 지표선정관련 선행연구를 통해 공통적으로 다룬 지표와 무엇보다도 통계구득이 가능한 설명력이 높은 6개 평가지표를 선정하였다. 인구관련지표, 물적 및 인프라 관련지표, 혁신자본지표, 경제관련지표, 사회·문화 관련지표, 생태관련지표 등이다. 이를 다시 세부항목으로 분류하여 이에 수도권 개발제한구역의 지역경제의 회복력을 위한 지표선정과 그 활용과 관련된 방안에 대해 다루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현재 우리나라 개발제한구역은 개발제한구역에 관한 다양한 입장과 정책이 나타나면서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 이에 개발제한구역의 현재를 정확히 확인하고 미래에 대한 정책진행을 위한 점검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판단된다. 특히 지난 40여 년 동안 지속적으로 유지·보전되면서 개발제한구역 제도개선에 관한 크고 작은 정책들이 발표되었고, 개발제한구역 등급조정을 통한 개발제한구역 활용에 관한 주장이 대두되었다. 최근에는 지역경제의 회복력이 지자체별로 높은 관심을 보이면서 개발제한구역 등급지에 따른 활용방안들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개발제한구역 환경평가는 이러한 배경하에서 개발제한구역의 제도개선을 위한 근거를 제시하여 활용방안을 마련했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평가가 17년이 지난 현재 많은 지자체들의 개발제한구역 해제요구와 함께 개발제한구역 등급조정신청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국토교통부는 개발제한구역 환경평가등급 재평가를 실시하였다.
    국토교통부의 환경평가 등급 조정에 따른 개발제한구역 조정면적은 전체 개발제한구역 면적 약 3,859㎢(2015. 12월 기준) 중 전국적으로는 약 100㎢ 이상, 여건 변화가 많은 수도권은 약 50㎢ 이상 조정되었다. 개발제한구역 특히 수도권 개발제한구역은 전 국토의 1.4%이며, 전체 개발제한구역 면적의 약 37%에 해당된다. 이에 수도권 개발제한구역의 지속적인 해제가 이루어지고 특히 1-2등급지의 비율의 변화는 우리나라 전체 개발제한구역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재평가된 개발제한구역 등급지 조정을 확인하고, 이중 수도권지역 개발제한구역의 1-2등급지를 중심으로 1999년 시행된 환경평가등급과 2013-2014년에 이루어진 환경평가등급 재평가 이후, 현 시점에서 개발제한구역의 현황분석을 진행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가장 먼저 오랜 시간 지속되어온 개발제한구역 제도에 대한 전반적인 점검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서울시 개발제한구역 등급지별 변화를 사례로 보다 구체적으로 조사 분석한 결과, 2등급지와 3등급지의 두드러진 변화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2등급지 감소, 3등급지 증가’ 양상으로 나타난 결과를 통해 현재 수도권 개발제한구역의 상황과 앞으로 전개될 문제점들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는 “개발제한구역 환경평가등급 재평가”를 통해 환경평가의 의미와 변화내용을 비교·분석함으로써 환경평가등급 재평가 시행에 따른 결과를 명확히 파악 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환경평가등급 재평가 이후 1-2등급지의 조정변화결과를 보고 보전지역인 1-2등급지의 중요성과 존치의미를 확인 할 수 있다. 세 번째는 수도권 지역 개발제한구역 해제와 해제지역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수도권 지자체별로 환경평가등급 재평가에 따라 변화된 등급지에 대해 관심이 커지게 되었다. 그리고 해제가 된 2등급지로 인해 늘어난 3-5등급지를 대상으로 자체별 가장 시급하고 절실한 지역경제를 강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지역회복력을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즉, 개발제한구역 해제지역에 대한 지역경제 회복력을 중심으로 효율적이고 현실적인 지역경제 활성화정책을 개발제한구역 해제지역의 경제관련 지표 분석을 통해 좀 더 구체적이고 효율적인 활용 및 관리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변함없이 유지되던 개발제한구역이 뿌리째 흔들리는 변화를 겪고 있다. 이를 위해 개발제한구역 존립의 타당성과 견고히 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기존에 다루지 않았던 개발제한구역 환경평가와 환경평가등급 재평가, 특히 1-2등급지역을 중심으로 개발제한구역의 보전과 해제와 관련된 내용들을 정리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또한 최근 가장 커다란 관심을 끌고 있는 환경평가 재평가 시행이후 증가된 3등급지의 활용에 관한 방법으로 많은 지자체들이 지역경제 분야에서의 회복력을 강화하기 위한 개발제한구역 해제지역의 활용에 대한 측면을 논의하고 고민함으로써 개발제한구역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에 대한 접근을 시도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생각된다.
  • 색인어
  • 환경평가, 1-2 등급지, 수도권, 개발제한구역, 그린벨트, 회복력, 지역경제회복력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