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읽기곤란학생을 위한 보편적 학습설계(UDL) 기반 읽기지도 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을 위한 빅데이터 시스템 구축
Building Big Data System for Developing and Using Reading Instruction Program Based on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for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y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공동연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7S1A5A2A03069138
선정년도 2017 년
연구기간 3 년 (2017년 11월 01일 ~ 2020년 10월 31일)
연구책임자 우정한
연구수행기관 대구사이버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김영걸(대구사이버대학교)
김남진
김용욱(대구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 연구의 필요성
    - 보편적 학습설계에 기반한 읽기지도 프로그램의 개발
    읽기 학습에서 저성취를 보이는 학생에는 읽기학습부진, 읽기학습지진, 읽기장애 및 난독증 등의 다양한 읽기곤란학생들이 있음. 읽기는 모든 학습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 기술이며, 쓰기와 수학 등 여러 교과목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 읽기에서의 어려움은 학교학습 및 생활에도 영향을 미침. 읽기의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읽기곤란학생들은 학교에서 효과적인 교육적 지원을 제공받지 못하고 있음. 더구나 초등학교 고학년 혹은 중학교 이후에 읽기에 어려움을 보이는 읽기부진 및 읽기장애 학생의 출현, 다문화 가정의 증가에 따른 읽기 문제를 가진 학생의 증가,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통합교육 확대 및 난독증에 대한 관심은 고조되는 반면 이들에 대한 교육적 지원은 부족한 실정임. 따라서 읽기에 다양한 어려움을 가진 읽기곤란학생들의 효율적인 읽기지도를 위해서는 읽기 어려움의 단계를 고려하고 보편적 학습설계에 기반한 보충적 및 집중적 읽기지도 프로그램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됨
    - 효율적인 읽기지도 활용을 위한 빅데이터 시스템 구축
    읽기곤란학생은 다양한 읽기특성을 나타내므로 이들을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지도과정 및 진보 등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를 축적하고 활용하는 것이 필요함. 따라서 이를 위한 빅데이터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음. 빅데이터 시대의 교육은 교육관련 빅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필요한 정보와 지식을 만들어 낼 수 있어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교육 분야에서 빅데이터의 활용은 여전히 초기적인 데이터 표집 혹은 분석 방안 정도를 제안하고 있는 시작 단계에 불과함. 이에 현장교사들이 읽기관련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개별학생의 특성에 맞는 지도프로그램을 탐색할 수 있어야 하는 동시에 자료의 가공을 통한 교육현장 적용 그리고 적용 결과의 데이터화라는 선순환적 구조 형성을 위한 시스템 개발 필요함

    ○ 연구목표
    - 이와 같은 연구의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3차년에 걸친 구체적인 연구목표 설정
    - 1차년도: 학생보고식 읽기능력 선별도구 개발, 보충적 읽기지도 프로그램 내용 개발 및 빅데이터 시스템 구축
    - 2차년도: 보편적 학습설계(UDL) 기반 보충적 읽기지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통한 읽기지도 빅데이터 구축, 집중적 읽기지도 프로그램 내용 개발
    - 3차년도: 보편적 학습설계(UDL) 기반 집중적 읽기지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통한 읽기지도 빅데이터 구축
  • 기대효과
  • ○ 학문적 기대효과
    - 첫째, 읽기곤란학생 학생보고식 선별도구 개발
    - 둘째, 교육학, 사회복지학, 의학 분야의 선제적 대응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 셋째,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읽기지도 프로그램 개발(보충적 및 집중적 읽기지도)
    - 넷째, 읽기관련 연구의 활성화
    - 다섯째, UDL 적용을 지원하기 위한 증거기반 자료로 활용
    - 여섯째, 통합학급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후속연구의 토대로 활용
    - 일곱째, 빅데이터의 교육적 활용 방안을 잠재적으로 제시

    ○ 사회적(경제적) 기대효과
    - 첫째, 기초학력 향상에 의한 사회적 비용 절감
    - 둘째, 분리교육에 따른 사회적 비용 절감 효과
    - 셋째, 읽기능력 향상을 통한 읽기장애/저성취학생에 대한 사회적 인식 재고

    ○ 교육과의 연계 활용 방안
    - 첫째, 읽기관련 연구자 양성
    - 둘째, 읽기지도 전문가 양성
  • 연구요약
  • ○ 연구목적
    “읽기곤란학생을 위한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읽기지도 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을 위한 빅데이터 시스템 구축”
    -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문제 설정
    ∙ 첫째, 학생보고식 읽기능력 선별도구 개발
    ∙ 둘째, 읽기능력 선별도구에서 선별된 학생지도 위한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보충적 읽기지도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셋째, 보충적 읽기지도 프로그램 비반응자 지도 위한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집중적 읽기지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넷째, 읽기지도 프로그램 활용을 위한 빅데이터 시스템 구축
    ∙ 다섯째, 읽기지도 빅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화 토대 마련
    ○ 연구대상
    - 학생보고식 선별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를 위한 연구대상은 다음과 같음
    ∙ 예비검사: 대구ㆍ경북지역 일반 초등학교에서 학년군별(저-중-고학년) 30명씩, 총 90명 선정
    ∙ 표준화 검사: 학년군별(저-중-고학년) 150명 수준에서 실시하되, 연구대상을 대구ㆍ경북 이외의 지역까지 확장하여 실시
    -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보충적 읽기지도 프로그램 적용 대상
    ∙ 학생보고식 읽기능력 선별도구 표준화 검사에 참여하였던 학교를 대상으로 우선 선정
    ∙ pilot test: 읽기능력 선별도구 검사 결과 선별된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
    ∙ 최종본 결정: 읽기능력 선별도구 검사 결과 선별된 학생들 중 보편적 읽기지도 프로그램 pilot test에 참여하지 않았던 학생
    ∙ 선별검사 표준화에 참여하였던 전체 100명의 학생을 기준할 때 약 10~20명 수준
    -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집중적 읽기지도 프로그램 적용 대상
    ∙ 보충적 읽기지도 프로그램에 참여(10~20명 수준)하였으나 효과성 검증 결과 해당 프로그램에 반응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 학생을 대상으로 적용
    ∙ 5~10명 수준

    ○ 연구방법
    - 학생보고식 읽기능력 선별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도구 활용
    ∙ 학교 학업성취도 검사: 학생보고식 읽기능력 선별도구의 수준(상-중-하) 결정
    ∙ KISE 기초학력검사(KISE-BAAT): 학생보고식 읽기능력 선별도구의 공인타당도 확보
    ∙ 난독증 및 읽기능력 진단도구(K-DAT): 읽기관련 인지처리 결함 요인 파악
    ∙ 한국 웩슬러 아동지능검사-4판(K-WISC-Ⅳ): 실행기능(작업기억) 정도 측정 및 장애유무 진단
    -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보충적 및 집중적 읽기지도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도구 개발, 활용
    ∙ 효과성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보편적 읽기지도 프로그램과 보충적 읽기지도 프로그램의 효과성 평가를 위한 교육과정중심평가(Curriculum-Based Assessment)

    ○ 연구내용
    【1차년도】학생보고식 읽기능력 선별도구 및 보편적 읽기지도 프로그램 내용 개발
    - 선별도구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선행연구 분석, 읽기곤란학생 선별 및 지도 등에 대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및 개별 면담
    - 기존 읽기능력 진단도구 분석 결과 및 요구조사 결과 등을 활용한 학생보고식 읽기능력 선별도구 개발, 예비검사 및 표준화, 최종본 결정
    - 보충적 읽기지도 프로그램 내용 개발 및 효과성 평가도구 자료 수집
    - 학생보고식 읽기능력 선별도구 전산화
    - 읽기검사 및 지도를 위한 웹기반 빅데이터 시스템 구축

    【2차년도】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보충적 읽기지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통한 빅데이터 기반 구축
    -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보충적 읽기지도 프로그램 개발
    - 학생보고식 읽기능력 선별도구 적용을 통한 읽기지도 프로그램 적용 대상자 선별
    - 보편적 학습설계기반 보충적 읽기지도 프로그램의 적용, 수정 및 보완, 최종본 완성
    - 보편적 학습설계기반 보충적 읽기지도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빅데이터 구축
    - 집중적 읽기지도 프로그램 내용 개발 및 효과성 평가도구 자료 수집

    【3차년도】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집중적 읽기지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통한 빅데이터 구축
    -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집중적 읽기지도 프로그램 개발
    - 집중적 읽기지도 프로그램의 적용, 수정 및 보완, 최종본 결정
    - 보편적 학습설계기반 집중적 읽기지도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빅데이터 구축
    -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보충적ㆍ집중적 읽기지도 프로그램 적용 최종 평가회 개회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연구 필요성 및 목표>
    읽기는 모든 학습에 있어 가장 중요한 기본적 기술로, 학교 교육현장에는 읽기학습에서 저성취를 보이는 읽기학습부진, 읽기학습지진, 읽기장애 및 난독증 등 다양한 유형의 읽기곤란학생들이 존재한다. 그러나 읽기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읽기곤란학생들은 학교에서 효과적인 교육적 지원을 제공받지 못하거나, 교수적 지원의 사각지대에 방치되어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읽기곤란학생들에게 효과적인 읽기지도를 위해서는 먼저 이들을 조기에 선별하고, 그들의 읽기 어려움에 기초하여 적합한 읽기지도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이들을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해서는 읽기곤란학생들의 선별에서부터 지도과정 및 진보 등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를 축적하고 활용하여 원스톱으로 교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빅데이터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성에 기초하여 본 연구의 목표는 첫째, 읽기곤란학생을 조기에 선별하기 위하여 학생보고식 읽기학습기능 선별검사를 개발한다. 둘째, 읽기학습기능 선별검사에서 읽기곤란학생으로 선별된 학생의 읽기지도를 위해 UDL에 기반한 보충적 읽기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다. 셋째, 보충적 읽기지도 프로그램에서 비반응학생 지도를 위해 UDL에 기반한 집중적(intensive) 읽기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다. 넷째, 읽기곤란학생의 읽기지도 프로그램(보충적 및 집중적 프로그램) 활용을 위한 빅데이터 시스템을 구축한다.
    <연구결과>
    첫째, 읽기곤란학생의 선별을 위해 읽기진단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 분석 및 포커스그룹인터뷰 등을 통하여 초안제작, 예비검사 및 표준화검사 등을 통해, 학생이 직접 응답하는 학생보고식 읽기학습기능 선별검사(Reading Skills Screening Test: 초등학교 저·중·고학년용 각 25문항)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보다 편리한 검사를 위해 웹기반 선별검사로 제작하였다.
    둘째, 읽기곤란학생으로 선별된 학생의 읽기지도를 위해 읽기지도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읽기에서 가장 필요한 두 가지 영역인 단어인지와 읽기이해 프로그램의 내용을 구성하고, UDL(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원리에 기초하여 보충적 읽기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2개 영역 각 21차시: 단어인지, 읽기이해). 그리고 효과적인 프로그램 적용을 위해 웹기반 프로그램으로 제작하였다.
    셋째, 중재반응모델(Response to Intervention)에 기초하여 보충적 읽기지도 프로그램에서 비반응학생의 읽기지도를 위해 읽기지도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읽기에서 중요한 영역인 음운인식, 단어인지, 읽기유창성, 어휘지식 및 읽기이해 프로그램의 내용을 구성하고, UDL 원리에 기초하여 집중적 읽기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5개 영역 각 15차시: 음운인식, 단어인지, 읽기유창성, 어휘지식, 읽기이해). 그리고 효과적인 프로그램 적용을 위해 웹기반 프로그램으로 제작하였다.
    넷째, 읽기곤란학생의 선별에서부터 읽기지도까지 원스톱으로 관리 및 지원하기 위한 빅데이터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 시스템은 읽기곤란학생의 선별검사 그리고 검사 후 선별결과에 따른 보충적 읽기지도 프로그램의 적용, 보충적 읽기지도 프로그램 적용 결과에 따른 집중적 읽기지도 프로그램의 적용까지 읽기지도의 전반적인 과정을 효율적으로 관리 및 지원하기 위한 빅데이터 시스템이다.
    <기대효과>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읽기에 어려움을 겪는 읽기곤란학생의 효과적인 지도를 위해 읽기곤란학생의 선별에서부터 읽기지도에 이르기까지 원스톱으로 교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빅 데이터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러한 시스템을 활용한다면 개별학생에게 맞게 보다 효과적으로 읽기지도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 과정에서 개발한 읽기학습기능 선별검사(RSST), 보충적 및 집중적 읽기지도 프로그램 등은 웹기반 프로그램화되어 있어 교육현장에서 읽기곤란학생의 선별 및 읽기지도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The purpose of study and objectives>
    Reading is the most important basic skill in all learning, and there are various types of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such as underachievement in reading, slow learner in reading, reading disabilities and dyslexia in school education. However, despite the importance of reading,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are not provided with effective educational support at school. Therefore, for effective reading instruction to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it is necessary to first screen them early and provide appropriate reading instruction programs based on their reading difficulties. In addition, in order to effectively teach them, it is necessary to build a big data system that can provide education services in one-stop by accumulating and utilizing various data on the screening of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the course of instruction and progress.
    Based on this necessity,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First, to develop a student-reported Reading Skills Screening Test(RSST) to early screen out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Second, a supplementary reading instruction program based on universal design fo learning(UDL) is developed and applied for reading instruction for students who are screened as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in the RSST. Third, develop and apply an intensive reading instruction program based on UDL for the instruction of non-response students in the supplementary reading instruction program. Fourth, a big data system is established for the use of reading instruction programs(supplementary and intensive program) for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Study result>
    First, in order to screen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a student-reported RSST(25 questions each for elementary school low, middle, and high grades) was developed by drafts, preliminary tests, and standardized tests. And for more convenient test, RSST was developed by making web-based test.
    Second, for reading instruction of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a supplementary reading instruction program based on UDL was developed(21 lessons in each of the two areas: word recogni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And for effective program application, web-based program was made.
    Third, based on the response to intervention(RTI), for reading instruction of non-response students, a intensive reading instruction program based on UDL was developed(15 lessons in each of five areas: phonemic awareness, word recognition, reading fluency, vocabulary knowledge and reading comprehension). And for effective program application, web-based program was made.
    Fourth, a big data system was established to manage and support one-stop from the screening(RSST) of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to reading instruction(supplementary reading program and intensive reading program).
    <Expectancy effects>
    This study has established a big data system that can provide one-stop educational services from screening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to reading instruction for effective instruction of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in school education. If this system is used,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more effective reading instruction for individual students. In addition, the web-based RSST, supplementary and intensive reading programs developed in this research can be effectively used for screening and reading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in schol educ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연구 필요성 및 목표>
    읽기는 모든 학습에 있어 가장 중요한 기본적 기술로, 학교 교육현장에는 읽기학습에서 저성취를 보이는 읽기학습부진, 읽기학습지진, 읽기장애 및 난독증 등 다양한 유형의 읽기곤란학생들이 존재한다. 그러나 읽기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읽기곤란학생들은 학교에서 효과적인 교육적 지원을 제공받지 못하거나, 교수적 지원의 사각지대에 방치되어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읽기곤란학생들에게 효과적인 읽기지도를 위해서는 먼저 이들을 조기에 선별하고, 그들의 읽기 어려움에 기초하여 적합한 읽기지도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이들을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해서는 읽기곤란학생들의 선별에서부터 지도과정 및 진보 등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를 축적하고 활용하여 원스톱으로 교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빅데이터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성에 기초하여 본 연구의 목표는 첫째, 읽기곤란학생을 조기에 선별하기 위하여 학생보고식 읽기학습기능 선별검사를 개발한다. 둘째, 읽기학습기능 선별검사에서 읽기곤란학생으로 선별된 학생의 읽기지도를 위해 UDL에 기반한 보충적 읽기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다. 셋째, 보충적 읽기지도 프로그램에서 비반응학생 지도를 위해 UDL에 기반한 집중적(intensive) 읽기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다. 넷째, 읽기곤란학생의 읽기지도 프로그램(보충적 및 집중적 프로그램) 활용을 위한 빅데이터 시스템을 구축한다.
    <연구결과>
    첫째, 읽기곤란학생의 선별을 위해 읽기진단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 분석 및 포커스그룹인터뷰 등을 통하여 초안제작, 예비검사 및 표준화검사 등을 통해, 학생이 직접 응답하는 학생보고식 읽기학습기능 선별검사(Reading Skills Screening Test: 초등학교 저·중·고학년용 각 25문항)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보다 편리한 검사를 위해 웹기반 선별검사로 제작하였다.
    둘째, 읽기곤란학생으로 선별된 학생의 읽기지도를 위해 읽기지도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읽기에서 가장 필요한 두 가지 영역인 단어인지와 읽기이해 프로그램의 내용을 구성하고, UDL(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원리에 기초하여 보충적 읽기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2개 영역 각 21차시: 단어인지, 읽기이해). 그리고 효과적인 프로그램 적용을 위해 웹기반 프로그램으로 제작하였다.
    셋째, 중재반응모델(Response to Intervention)에 기초하여 보충적 읽기지도 프로그램에서 비반응학생의 읽기지도를 위해 읽기지도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읽기에서 중요한 영역인 음운인식, 단어인지, 읽기유창성, 어휘지식 및 읽기이해 프로그램의 내용을 구성하고, UDL 원리에 기초하여 집중적 읽기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5개 영역 각 15차시: 음운인식, 단어인지, 읽기유창성, 어휘지식, 읽기이해). 그리고 효과적인 프로그램 적용을 위해 웹기반 프로그램으로 제작하였다.
    넷째, 읽기곤란학생의 선별에서부터 읽기지도까지 원스톱으로 관리 및 지원하기 위한 빅데이터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 시스템은 읽기곤란학생의 선별검사 그리고 검사 후 선별결과에 따른 보충적 읽기지도 프로그램의 적용, 보충적 읽기지도 프로그램 적용 결과에 따른 집중적 읽기지도 프로그램의 적용까지 읽기지도의 전반적인 과정을 효율적으로 관리 및 지원하기 위한 빅데이터 시스템이다.
    <기대효과>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읽기에 어려움을 겪는 읽기곤란학생의 효과적인 지도를 위해 읽기곤란학생의 선별에서부터 읽기지도에 이르기까지 원스톱으로 교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빅 데이터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러한 시스템을 활용한다면 개별학생에게 맞게 보다 효과적으로 읽기지도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 과정에서 개발한 읽기학습기능 선별검사(RSST), 보충적 및 집중적 읽기지도 프로그램 등은 웹기반 프로그램화되어 있어 교육현장에서 읽기곤란학생의 선별 및 읽기지도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
    첫째, 읽기곤란학생의 선별을 위해 읽기진단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 및 포커스그룹인터뷰 등을 통하여 초안제작, 예비검사 및 표준화검사 등을 통해 학생이 직접 응답하는 학생보고식 읽기학습기능 선별검사(Reading Skills Screening Test: 저·중·고학년용 각 25문항)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보다 편리한 검사를 위해 웹기반 선별검사로 제작하였다.
    둘째, 읽기곤란학생으로 선별된 학생의 읽기지도를 위해 읽기지도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읽기에서 가장 필요한 두 가지 영역인 단어인지와 읽기이해 프로그램의 내용을 구성하고 UDL(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원리에 기초하여 보충적 읽기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2개 영역 각 21차시: 단어인지, 읽기이해). 그리고 효과적인 프로그램 적용을 위해 웹기반 프로그램으로 제작하였다.
    셋째, 중재반응모델(Response to Intervention)에 기초하여 보충적 읽기지도 프로그램에서 비반응학생의 읽기지도를 위해 읽기지도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읽기에서 중요한 영역인 음운인식, 단어인지, 읽기유창성, 어휘지식 및 읽기이해 프로그램의 내용을 구성하고 UDL 원리에 기초하여 집중적 읽기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5개 영역 각 15차시: 음운인식, 단어인지, 읽기유창성, 어휘지식, 읽기이해). 그리고 효과적인 프로그램 적용을 위해 웹기반 프로그램으로 제작하였다.
    넷째, 읽기곤란학생의 선별에서부터 읽기지도까지 원스톱으로 관리 및 지원하기 위한 빅데이터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 시스템은 읽기곤란학생의 선별검사 그리고 검사 후 선별결과에 따른 보충적 읽기지도 프로그램의 적용, 보충적 읽기지도 프로그램 적용 결과에 따른 집중적 읽기지도 프로그램의 적용까지 읽기지도의 전반적인 과정을 효율적으로 관리 및 지원하기 위한 빅데이터 시스템이다.
    <활용방안>
    연구결과의 활용은 크게 학문적 연구결과 활용과 교육현장과의 연계활용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학문적 연구결과의 활용으로는 첫째, 읽기곤란학생 선별을 위해 학생보고식 웹기반 “읽기학습기능 선별검사(RSST)”를 개발한 것이다. 이 검사는 웹기반 방식으로 되어 있어 조기에 읽기곤란학생을 선별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조기에 읽기중재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읽기곤란학생의 읽기지도를 위해 중재반응모델(RTI)에 근거하고 UDL원리를 적용하여 보충적 읽기지도 프로그램(2개 영역)과 집중적 읽기지도 프로그램(5개 영역)을 개발하였고, 웹기반 프로그램화하여 읽기곤란학생에게 효과적으로 읽기지도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하여 읽기 및 읽기곤란학생의 지도 관련 연구를 활성화할 수 있었고, 읽기곤란학생에게 읽기지도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읽기지도 전문가 양성에도 기여할 수 있다.
    다음으로 교육현장과의 연계활용으로는 첫째, 읽기곤란학생의 선별 및 선별 결과에 기초하여 읽기지도 프로그램의 적용(보충적 읽기지도 프로그램 → 집중적 읽기지도 프로그램)과 적용 결과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과정을 개별학생에 맞게 데이터로 관리할 수 있는 빅데이터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을 활용하면 여러 학생들에 대한 데이터가 누적되고 빅데이터화되어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둘째, “읽기학습기능 선별검사(RSST)”를 통하여 학생의 읽기능력 수준 평가 및 읽기곤란학생의 선별에 활용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보충적 읽기지도 프로그램과 집중적 읽기지도 프로그램을 통하여 읽기곤란학생들에게 그들의 읽기 어려움 특성에 맞게 보다 체계적인 읽기지도를 할 수 있다.
  • 색인어
  • 읽기곤란학생, 읽기장애학생, 읽기학습기능 선별검사, 보편적 학습설계, 보충적 읽기지도 프로그램, 집중적 읽기지도 프로그램, 음운인식, 단어인지, 읽기유창성, 어휘지식, 읽기이해, 빅데이터 시스템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