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문화 현상으로서의 러시아 프리메이슨과 그 문학적 반영
A Study on Russian Freemason as a Cultural Phenomenon and its representaion in literature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7S1A5B5A07058634
선정년도 2017 년
연구기간 1 년 (2017년 09월 01일 ~ 2018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허선화
연구수행기관 부산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목적은 18-19세기의 러시아 문화 현상으로서 프리메이슨을 연구하고 그것이 문학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18-19세기 러시아의 프리메이슨은 당대 러시아 정신 문화의 독특한 현상이었다. 그 시대 러시아의 정치적, 군사적, 정신적 엘리트의 상당수가 프리메이슨이었으며, 그들은 폐쇄적인 지부를 중심으로 활동했음에도 불구하고 러시아의 문화 전반에 심대한 영향을 미쳤다. 흔히 프리메이슨을 사상과 정치 활동의 한 흐름으로서만 보는 경향이 있는데, 본 연구는 보다 광범위한 문화적 현상으로서의 프리메이슨을 고찰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베르쟈예프는 러시아의 프리메이슨이 “러시아의 문화적 영혼”을 형성시켰다고 말한 바 있다. 그는 러시아 정신의 역사에서 프리메이슨이 행한 역할을 재평가하면서 그것이 러시아 정신 문화의 현상으로서 어떤 의의를 갖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할투린은 서구 학문에서 이미 존재하고 있는 그러한 접근법을 러시아 프리메이슨의 연구에도 시도할 필요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자는 할투린이 주장하는 접근법을 이 연구에 적용하고자 한다.
    현재 대표적인 러시아 프리메이슨 연구가인 사하로프는 “18-19세기 러시아의 정신 문화의 현상으로서 프리메이슨의 의의가 점점 더 명확하게 의식되고 있다”고 언급한다. 사하로프의 이러한 주장은 러시아 문화를 이해하는 데 있어 프리메이슨 연구가 얼마나 필수불가결한지 잘 설명해준다. 그러나 러시아 프리메이슨에 대한 연구는 프리메이슨의 세계관을 구성하는 신비주의적 특성에 대한 오랜 비판적 전통 때문에 적극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러던 중 20세기 초반 은세기의 문예부흥기에 변화된 시대의 분위기에 힘입어 프리메이슨에 대한 연구가 상당히 활발해졌다. 혁명 이후 소비에트 시기에 거의 전무하다시피 했던 프리메이슨의 연구는 소비에트 체제의 와해 이후 재개되어 1990년대부터 최근 21세기 초반에 이르기까지 많은 연구 결과물들이 쏟아지고 있는 추세다.
    국내의 경우, 러시아 프리메이슨에 대한 연구는 러시아 역사 연구자에 의해 쓰여진 두 편의 논문과 문학 관련 논문 두 편이 있다. 전자는 국내에 러시아 프리메이슨을 최초로 소개한 연구로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으나, 20세기 초 러시아 역사에서 정치적 결사로서의 프리메이슨의 활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본 연구와는 시기와 관심에 있어서 차별된다. 후자의 경우, 18세기 후반 예카테리나 시기에 집중하여 당대 프리메이슨의 시민적 성격을 규명하고 라디시체프와 희곡 작가로서의 예카테리나 2세의 작품을 프리메이슨과 연관하여 정밀하게 분석하고 있다. 이 연구는 본 연구의 시기와 부분적으로 맞물리고 프리메이슨의 테마를 문학 분석에 적용하는 측면에서 유사성을 갖는다. 그러나 연구의 시기가 18세기로 한정되어 18세기 이후의 프리메이슨의 변화와 발전 양상을 살피고 있지 못한 점, 프리메이슨의 시민적 성격에만 국한되어 연구가 진행된다는 점에서 본 연구와 차별된다. 특히 본 연구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될 프리메이슨의 종교적 차원에 대해서는 연구의 내용이 미치지 못하고 있다. 러시아를 비롯해 국외에서 지금까지 축적된 연구들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도 단일한 통일된 세계관으로서 프리메이슨이 명료하게 정의되지 않고 있고, 프리메이슨이 러시아 문화에서 행한 역할에 대해서도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러시아 프리메이슨은 러시아에서도 아직 연구할 여지가 많은 분야라로 여겨진다. 특히 문화 현상으로서 프리메이슨을 총체적으로 규명하고자 하는 시도는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보이며, 더욱이 국내에서 러시아 프리메이슨 연구는 아직은 참신하고 새로운 연구 주제라 할 수 있다. 특히 프리메이슨이 러시아 문학에 미친 영향에 대해 많이 언급되고 있지만 구체적인 작품의 연구는 여전히 많은 과제를 남겨두고 있다는 점에서도 이 연구의 필요성은 정당화될 수 있을 것이다.
  • 기대효과
  • 본 연구결과의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본 연구는 국내에 아직 미진한 러시아 프리메이슨을 연구함으로써 소외 분야 학문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2. 본 연구는 18-19세기 초에 시기를 한정하고 있어 19세기 중반 이후, 20세기에서 현재에 이르는 러시아 프리메이슨에 대한 후속 연구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다양한 문학작품을 프리메이슨과의 연관성 속에서 연구하는 후속 연구들도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3. 국내에서 타문화권 연구에서도 프리메이슨 연구는 주로 모차르트의 음악과 관련한 연구가 주종을 이루고 있어 문학, 문화, 역사 전반에 걸쳐 프리메이슨에 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한 형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관련된 타문화권의 프리메이슨 연구에도 자극과 방향성을 제시하여 지식증진 및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4. 본 연구 결과는 1-3에서 기술한 연구 기대효과를 통해 국내에 부족한 연구 분야에 학문적으로 기여할 것이라 기대한다.
    5. 우리 사회에서 프리메이슨은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서구 문화의 현상이고 음모론 등으로 오해되고 왜곡되어 제대로 이해되고 있지 못하다. 본 연구가 사회에 프리메이슨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해주어 바른 인식을 확산하는 데에도 일정 부분 기여하는 바가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6. 본 연구는 러시아 역사, 문화, 문학, 비교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교육, 강의에 직접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국내에 관련 자료가 부족한만큼 본 연구가 강의 및 교육 자료로서 충분히 활용 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에서 다룰 중점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서구화의 산물로서의 러시아 프리메이슨- 프리메이슨은 단순히 서구화의 한 산물인가? 프리메이슨의 발생과 발전 과정에서 서구로부터 받아들인 것은 무엇이고 러시아에서 독자적으로 발전한 경향은 어떤 것인지를 선별해 내고, 러시아의 민족적 특성이 프리메이슨의 발전 과정에서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살피는 것이 본 연구의 내용이 될 것이다.
    2. 러시아의 상류 지도층 인사들의 폐쇄적 엘리트 모임으로서의 프리메이슨- 18세기 러시아 귀족들은 왜 프리메이슨 조직을 중심으로 모였을까? 그것이 귀족 특유의 책임의식, 소위 노블리스 오블리제 때문이었다고 볼 수 있을까? 그리고 사회조직으로서의 프리메이슨은 향후 어떻게 발전하며 그 성격은 어떻게 달라지는가? 이상의 질문들을 해결하는 것이 연구 내용에 포함될 것이다.
    3. 종교적 현상으로서의 프리메이슨- 러시아에서 종교적 차원에서 이러한 운동이 일어난 원인은 무엇인가? 프리메이슨의 종교적 지향을 종교 통합의 시도라고 볼 수도 있을까? 프리메이슨들에게는 기존의 종교가 만족시키지 못하는 어떤 정신적 요구들이 있었을까. 그 시대에 러시아에서 서구적 신비주의가 유행하게 된 원인은 무엇이며, 그것이 프리메이슨과 어떤 연관성을 가졌는가. 그리고 그것이 러시아 종교 문화의 현상으로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살펴보는 것 등이 본 연구의 주된 내용이 될 것이다.
    4. 지적 현상으로서의 프리메이슨- 프리메이슨들은 왜 도덕에 그렇게 큰 관심을 가졌는가. 당시 사회의 도덕성의 쇠퇴라는 현상에 대한 우려와 도덕성 회복의 필요성이 그들로 하여금 도덕적인 가치의 위계를 재확립할 필요가 있다고 믿게 한 것은 아닐까. 한편, 러시아 문화의 중요한 현상 중 하나인 유토피아주의의 측면에서 프리메이슨을 고찰하는 것도 본 연구의 주된 내용 중 하나가 될 것이다.
    5. 정치 활동의 장으로서의 프리메이슨- 프리메이슨이 정치활동과 연관된 이유는 무엇일까. 프리메이슨이 애초에 추구했던 형제애, 모든 인간의 결합, 사람들 사이에 존재하는 일체의 차별 철폐는 자연스럽게 전 인류의 복지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고 사회의 개조, 그것을 위한 정치적 활동을 고민하게 만들지 않았을까. 본 연구에서는 19세기 초 러시아의 변화된 사회적 상황과 분위기 속에서 프리메이슨이 행한 정치적 역할을 재조명해보고 그것이 문화 현상으로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재고해 보고자 한다.
    6. 러시아 문학과 프리메이슨- 본 연구에서는 앞에서 연구 내용으로 제시한 문화 현상으로서의 프리메이슨의 특성들이 문학에 어떻게 구현되어 있는가를 분석할 것이다. 이상 소개한 작가의 작품들을 포함하여 그러한 특성들이 가장 잘 드러난 작품들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고자 한다. 이것이 연구 결과물로서 쓰게 될 논문의 주된 내용이 될 것이다.
    연구를 추진하기 위해서 우선 18-19세기의 프리메이슨의 역사를 일별한 뒤, 각 연구 내용에 해당하는 주제에 부합하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기존의 자료들을 검토할 것이다. 선행 연구들이 프리메이슨의 활동에 관한 역사적 사실이나 프리메이슨의 사상, 종교를 소개하는 것 대부분이기 때문에 본 연구자가 제기하는 질문에 대한 답을 행간을 읽으며 찾아보고자 한다. 문화현상으로서의 프리메이슨에 대한 총체적인 그림이 얻어지고 나면, 그것이 문학 속에 어떻게 반영 내지 구현되어 있는지를 분석할 것이다.
    자료는 주로 러시아에서 출판된 주요 단행본들과 논문을 수집할 것이다. 단행본들은 인터넷을 통해 구입할 수 있고 논문들 역시 인터넷을 통해 접근 가능하다. 필요한 경우, 영어권 자료들도 같은 방법으로 참조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문화 현상으로서의 러시아 프리메이슨을 그 문학적 반영 속에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이 되는 시기는 19세기 초반이며 분석 대상 작품은 톨스토이의『전쟁과 평화』이다. 톨스토이의『전쟁과 평화』는 19세기 전반 나폴레옹의 러시아 침략이라는 거대한 민족적인 사건을 배경으로 그 시대의 총체적인 사회상을 역사적, 철학적, 종교적, 정치적 맥락에서 그려내고 있는 작품으로 세계문학사상에서도 그 유래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독보적인 작품이다. 본 연구에서는 당대의 문화적 상황을 이 작품이 어떻게 포착하고 그려내고 있는가에 주목하게 될 것인데, 특히 러시아 프리메이슨이라는 현상이 이 작품에서 어떤 식으로 그려지고 평가되고 있는지를 탐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다룰 중점 내용은 19세기 초 러시아의 상류 지도층 인사들의 폐쇄적 엘리트 모임으로서의 프리메이슨, 종교적 현상으로서의 프리메이슨, 정치 활동의 장으로서 프리메이슨, 사회적 사상적 현상으로서의 프리메이슨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1. 『전쟁과 평화』에 나타난 러시아 상류 지도층 인사들의 폐쇄적 엘리트 모임으로서의 프리메이슨

    이 작품에서 주인공 피에르 베주호프가 프리메이슨에 가입하는 방식은 지극히 사적이고 폐쇄적이며 비밀스럽다. 무엇보다 특징적인 것은 형식이다. 프리메이슨 회원들을 결속시키는 것은 우선적으로 외적인 형식이다.
    피에르가 입회식을 치르기 위해 건물에 들어서서 이뤄지는 행동들은 프리메이슨 본연의 종교적인 의미를 띤다기 보다는 비밀 클럽의 회원으로 입회하는 그들만의 방식으로서 의미를 지닐 뿐이다. 프리메이슨은 유독 사회의 상층부에 속한 인사들만을 포섭한다. 그 세계는 매우 좁고 협소하다.
    이렇게 상류층으로 구성된 엘리트 모임인 프리메이슨 안에는 프리메이슨의 목적 자체에는 아무런 관심이 없고 단지 유명한 인사를 접근하기 위해 회합을 드나드는 사람들도 있다. 그들에게는 프리메이슨의 본질과 내용이 아닌 형식, 그리고 소속감, 그로부터 얻을 수 있는 실리만이 중요하다. 이것이 결국 피에르로 하여금 실망과 회의를 느끼게 한다. 보리스와 같은 인사들이 드나드는 것을 보면서 회의에 빠지게 된 피에르는 단지 사교적인 모임으로서 프리메이슨에 드나들게 되고 급기야는 그마저도 그만두게 됨으로써 프리메이슨과의 인연은 끝이 나버린다.
    피에르 생애의 한 에피소드로 지나간 프리메이슨과의 인연은 당대 프리메이슨을 톨스토이가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는지를 매우 잘 드러내준다. 프리메이슨들이 공공연히 주장했던 인류 사회의 개조니 자기 완성이니 하는 목적보다는 상류층이 자기들만의 폐쇄적인 집단을 만들어 엘리트로서의 의식을 굳건히 하는 데만 열중하고 실제적인 행동과 실천에서는 매우 미미했음을 톨스토이는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

    2. 『전쟁과 평화』에 나타난 종교적 현상으로서의 프리메이슨

    피에르와 오십 알렉세예비치와의 대화는 시종일관 종교적 성격을 띤다. 그가 말하는 신은 전지전능하고 영원무궁하다는 면에서 기독교의 신과 유사하다. 실제로 프리메이슨은 기독교의 영향을 많이 받은 측면이 있다. 그러나 그들이 말하는 아담으로부터 기원한 신비의 수호와 전수라는 목적은 기독교적인 것이 아니다. 그런데 이 소설에서는 프리메이슨의 비기독교적인 측면이 그다지 부각되지 않고 있다. 이는 피에르에게 프리메이슨의 종교적 목적이 그다지 감명을 주지 못했다는 점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톨스토이가 종교적 현상으로서의 프리메이슨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톨스토이가 기독교에 대해 비판적이었던 것을 잘 알려진 사실인 바, 프리메이슨의 유사 기독교적인 특성 역시 그의 호감을 불러 일으키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다. 톨스토이는 굳이 기독교와 프리메이슨의 차이에 관심을 기울일 이유가 없었을 것이다.
    사실 프리메이슨은 매우 신비주의적인 특성을 띤 종교 집단이었는데 이 소설에서 프리메이슨의 신비주의적인 측면은 별로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이 역시 톨스토이의 무관심에서 비롯된 결과라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톨스토이는 이 소설에서 프리메이슨을 희화화했다고 보여진다. 프리메이슨은 진지하게 진리를 추구하는 피에르의 진정한 변화를 이끌어내지 못하고 그의 삶에서 지나가는 역 같은 의미만 지닐 뿐이다. 피에르가 궁극적으로 가야 할 길은 전혀 다른 곳에 있다. 이 소설에서 톨스토이는 당대 많은 지성인들이 프리메이슨에 가입하여 활동했으나 그것이 진정한 종교적 의의를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부정하는 듯하다.

    3. 『전쟁과 평화』에 나타난 사회 사상적 현상으로서의 프리메이슨

    당대 프리메이슨은 사회적 도덕에 큰 관심을 기울였다. 프리메이슨이 말하는 양심이니 하느님의 빛이니 하는 표현들은 종교보다는 도덕과 관련된다. 피에르가 이해하는 프리메이슨은 선행을 목적으로 하는 사람들의 결합과 평등이며, 그가 희구하는 갱생 역시 종교적 거듭남이 아닌 도덕적 인간으로의 새로운 출발이다. 그는 악과 싸워 온인류를 바로잡는다는 프리메이슨의 목적에 철저히 경도된다.
    피에르는 프리메이슨에 가입하자마자 곧장 활동에 착수하지만 그는 실제 현실에 대한 완벽한 무지로 박애적인 기분에만 들떠 아무 것도 이루지 못하고 결국 그는 이전의 같은 생활로 돌아간다. 비록 실질적인 성과는 거두지 못하지만 어느덧 프리메이슨의 지도자가 된 그의 연설 내용은 다시 한번 프리메이슨의 의의를 요약한다. 그것은 진리를 보급하고 편견과 싸우며 지식인을 결합하고 권력있는 인사들을 모아 인류의 행복을 위해 공헌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피에르의 연설에서 사회사상, 사회적 현상으로서 프리메이슨에 대한 톨스토이의 희화화는 극대화된다. 그것은 실천이 결여된 철저히 문화적인 현상일 뿐이다. 톨스토이는 프리메이슨들의 주장을 믿지 않았을 뿐 아니라 이 작품을 통해 그들을 조롱하고 있다는 인상을 지우기 어렵다.

    4. 『전쟁과 평화』에 나타난 정치활동의 장으로서 프리메이슨

    러시아 프리메이슨의 활동에서 정치는 중요한 활동 영역 중 하나였다. 그러나 이 소설에서 프리메이슨들은 정치적 활동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다. 단 한 대목, 피에르가 연설하는 내용에서 앞으로 정치적 활동이 필요함을 언급하는 부분이 있다. 그 장면에서 피에르는 프리메이슨의 목적을 방해하는 것은 현재의 정치제도라는 점을 언급한다. 그는 혁명을 반대하지만 조합의 힘을 길러 정치인들을 조종하여 온 세계를 지배하는 정치 형태를 수립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피에르의 연설은 조합원들에 의해 거부되고 반대된다. 그 때문에 피에르는 상처를 입고 우울증 상태에 빠지게 된다. 실의에 빠진 피에르가 오십 알렉세예비치를 방문하자 오십은 오만한 사회 운동인 일루미나티를 비판한다. 자기 교정도 이루지 못하면서 인류를 교정하려 한다는 것이다. 그는 인간 사회의 변전은 그 허무함으로 인해 죽음에 대한 사랑을 도와준다는 논리를 편다. 프리메이슨이 정치에 관여해서는 안되는 이유다. 피에르는 뜻밖에도 프리메이슨 안에서 정치활동의 필요성을 역설하는 인물로 나온다. 자신의 분신격인 피에르가 프리메이슨에 가담하여 말하고 행하는 것은 톨스토이의 말과 사상과는 사뭇 거리가 있다. 한마디로 피에르가 프리메이슨에 가담한 것, 그리고 그 안에서 행한 모든 것은 피에르의 실수이며 그의 정신적 성장에서 곁길로 빗나간 것이다. 톨스토이는 당대 사회적 문화적 현상으로서 프리메이슨에 대해 부정적이었음이 이 소설을 통해 여실히 증명된다.

  • 영문

  •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the Russian freemason as a cultural phenomenon. We will study the early half of the nineteen century and analyze the work of L. N. Tolstoy War and Peace.
    In this novel the russian freemason is portrayed as a closed elite group of the russian upper class in the early nineteen century. Not everyone is permitted to enter the group and the formality of entry is very secret. The aim of the group is to receive the best people and serve the development of mankind. However, those who are not interested in the purpose of freemason visit the meetings. This discourages Pierre and he eventually abandons the freemason.
    In this novel the religious characteristics of Russian freemason is strongly represented. Many details have christian symbolic meaning. Freemason seems to be a kind of sect of Christianity. But in reality freemason is affected by Christianity, but not a Christian group. In the nove the difference between freemason and Christianity is not so evident. This is because the author is not interested in revealing their difference, but in revealing the emptiness and abstractness of freemason.
    Pierre enters the freemason because of its social mission. He enters into action, but gains nothing out of his ignorance of reality. Nonetheless, in his speech he focuses on the mission of freemason, that is, serving the happiness of mankind. But his speech is vain. Tosloy ridicules the action of freemason as vain. It is just a cultural phenomenon without any real fruits.
    Russian freemason was involved in politics. But in the novel its political activity is not represented. Only in his speech Pierre blames the existing political regime and claims to establish the kind of political form which will govern the whole world. But his opinion is denied by the members. Tolstoy also seems to be critical about the political activity of freemason.
    In Pierre’s life the period in which he was involved in freemason is like a passing station. It is a mistake and error in his spiritual developmen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문화 현상으로서의 러시아 프리메이슨을 그 문학적 반영 속에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이 되는 시기는 19세기 초반이며 분석 대상 작품은 톨스토이의『전쟁과 평화』이다. 본 연구에서는 당대의 문화적 상황을 이 작품이 어떻게 포착하고 그려내고 있는가에 주목하게 될 것인데, 특히 러시아 프리메이슨이라는 현상이 이 작품에서 어떤 식으로 그려지고 평가되고 있는지를 탐구하고자 한다.
    이 작품에서는 19세기 초 러시아 상류층 인사들의 폐쇄적 엘리트 모임으로서의 프리메이슨의 위상이 반영되고 있다. 조합의 가입은 아무에게나 허용되지 않고 가입 절차는 비밀스럽고 폐쇄적이다. 조합의 목적은 최상의 사람들을 가입시켜 인류의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조합에는 그 목적에는 관심이 없고 거기서 얻는 이득만 얻으려 하는 인사들이 드나든다. 이것이 피에르를 실망하게 만들며 결국 조합에서 떠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톨스토이는 그들이 공언하는 목적과 걸맞는 행동과 실천을 하기보다 엘리트 의식만을 공고하게 만드는 당대 프리메이슨을 불신하고 조롱하고 있다.
    러시아의 프리메이슨은 무엇보다도 종교적 성격이 강한 집단인데, 이 작품에도 프리메이슨의 종교적 특성이 매우 강하게 드러나 있다. 가입 절차에서부터 프리메이슨의 교의, 그들의 제일의 목적 모두 종교적 색채를 띤다. 소설에 등장하는 많은 디테일들은 기독교적인 상징성을 띠고 있어 프리메이슨이 기독교의 한 분파인 것처럼 보이게 한다. 그러나 실제로 프리메이슨은 기독교의 영향을 받았지만 기독교 집단이 아니었다. 소설에서는 프리메이슨과 기독교의 차이가 그다지 부각되지 않는다. 이는 작가의 관심이 프리메이슨과 기독교의 차이를 밝히는 데 있지 않고, 프리메이슨의 종교적 교의가 공허하고 추상적임을 폭로하는 데 있었기 때문으로 설명될 수 있다.
    피에르가 프리메이슨에 가입하는 것은 종교적 이유보다는 사회 사상적 측면 때문이다. 즉, 실천적인 활동을 통해 이웃을 돕고 악과 싸워 인류를 바로잡는다는 사상이다. 그 사상에 경도된 그는 농노의 처우를 개선하는 등 활동에 착수하지만 실제 현실에 대한 무지로 아무런 성과를 거두지 못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연설 속에서 인류의 행복을 위해 공헌해야 할 프리메이슨의 사명을 역설한다. 톨스토이는 자신의 분신격인 피에르를 통해 프리메이슨의 활동이 문화적 현상에 불과하고 그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는 실패하고 있음을 조롱한다.
    러시아 프리메이슨은 정치적 영역에도 관여했는데 이 소설에서 프리메이슨의 정치 활동은 전혀 다뤄지지 않고 있다. 다만 피에르의 연설 속에서 현 정치제도를 비판하고 전세계를 지배할 정치형태를 확립해야 한다는 내용이 등장할 뿐이다. 피에르의 주장은 조합원들에 의해 거부되고 피에르의 지도자인 오십에 의해서도 비판당한다. 다른 측면과 마찬가지로 프리메이슨의 정치적 활동에 대해서도 톨스토이는 극히 부정적이다.
    피에르의 인생에서 프리메이슨에서의 활동 기간은 지나가는 역과 같다. 그것은 그의 정신적 성장에서 실수이며 곁길로 빠진 시간이다. 러시아 프리메이슨에 대해서도 톨스토이는 어쩌면 같은 결론을 가지고 있었을지도 모른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본 연구는 국내에 아직 미진한 러시아 프리메이슨을 연구함으로써 소외 분야 학문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2. 본 연구는 19세기 초에 시기를 한정하고 있어 19세기 중반 이후 20세기에서 현재에 이르는 러시아 프리메이슨에 대한 후속 연구를 이끌어낼 수 있다.
    3. 본 연구는 다양한 문학 작품을 프리메이슨과의 연관성 속에서 고찰하는 후속 연구들로 이어질 수 있다.
    4. 국내에서 타문화권 연구에서도 프리메이슨 연구는 주로 모차르트의 음악과 관련한 연구가 주종을 이루고 있어 문학, 문화, 역사 전반에 걸친 프리메이슨에 대한 여구가 매우 부족한 형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관련된 타문화권의 프리메이슨 연구에도 자극과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5. 본 연구 결과는 앞에서 기술한 연구 기대효과를 통해 국내에 부족한 연구 분야에 학문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6. 우리 사회에서 프리메이슨은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서구 문화 현상이고 음모론 등으로 오해되고 있어 제대로 이해되고 있지 않다. 본 연구가 사회에 프리메이슨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해주어 바른 인식을 확산하는 데도 일정 부분 기여하는 바가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7. 본 연구는 러시아 역사, 문학, 문화, 비교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교육, 강의에 직접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국내에 관련 자료가 부족한만큼 본 연구가 강의 및 교육 자료로서 충분히 활용 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색인어
  • 프리메이슨, 기독교, 종교, 도덕, 신비주의, 정치, 엘리트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