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크라우드펀딩을 통한 저널리즘 실천에 관한 연구 : 펀딩 제안자와 참여자의 상호지향성을 중심으로
Investigating Crowd-funding Journalism Practices: Co-orientations between Creators and Contributor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8-S1A5A2A01-2018S1A5A2A01036333
선정년도 2018 년
연구기간 1 년 (2018년 07월 01일 ~ 2019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김균수
연구수행기관 전남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 (연구개요) 이 연구는 저널리즘 위기의 핵심인 재원과 이용자 접점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접근 모델로서 인터넷 기반 플랫폼을 이용하여 일반 이용자의 자발적 참여를 통해 재원을 마련하는 크라우드펀딩(crowd-funding) 방식의 가능성에 주목하고, 크라우드펀딩 저널리즘(혹은 뉴스 콘텐츠) 제안자와 참여자의 동기, 역할 인식, 그리고 이러한 동기와 역할인식이 대안적 저널리즘 실천행위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크라우드펀딩 지널리즘이 지속적으로 유지·확대될 수 있는 토대와 구조를 찾아내고자 한다.
    □ (연구의의) 크라우드편딩 저널리즘은 콘텐츠 생산자 구조의 변화, 이용자의 참여와 관심을 이끌 수 있는 콘텐츠의 확대, 펀딩 과정 및 결과를 통한 참여자의 상호작용적 개입 등 기존 저널리즘에 대한 대안적 특성을 발현할 것으로 기대되나, 현실에서 이러한 측면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에 대한 실질적인 확인과 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다.
    ● 크라우드펀딩 저널리즘이 초기단계라는 점에서, 제안자와 참여자 등 관련 주체들이 어떠한 형태로 새로운 모델을 구축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향후 새로운 플레이어 진입의 확대, 그에 따른 콘텐츠의 다양화, 이용자의 관여 확대 등 대안적 저널리즘의 강화 여부가 어떻게 나타나느냐에 따라 그 성패를 가늠할 수 있다.
    ●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모델로서 크라우드펀딩의 유용성과 함께 크라우드펀딩 저널리즘이 기존의 저널리즘 생태계와 어떠한 차별성을 가질 수 있는 것인가에 대한 비판적 회의에 근거한 근원적 고민을 필요로 하는 시점이다. 크라우드펀딩이 일회성 이벤트를 위한 종자돈을 모으는데 유용할 수 있으나, 고정적인 뉴스 제작을 위한 비용 마련을 위한 적절한 방법이 아닐 수도 있다는 회의론적 시각을 염두에 두고 향후 추이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
    □ (연구목적) 이러한 차원에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학문적, 실용적 목적을 지닌다.
    ● (학문적 차원) 학문적 차원에서 크라우드펀딩을 통한 저널리즘 콘텐츠 생산과 이용의 구조적 변화를 개념적으로 체계화하고자 한다. 크라우드펀딩 저널리즘은 저널리스트가 이용자에게 제안의 형식을 통해서 특정 프로젝트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그에 대한 이용자의 채택 여부를 거쳐, 제안자와 이용자간의 상호작용 속에서 콘텐츠가 만들어지고 공유되는 일련의 과정으로, 콘텐츠 생산과 소비의 구분이 점점 모호해지는 일련의 변화 흐름과 맞닿은 현상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크라우드펀딩 저널리즘 제안자와 참여자가 가지는 동기, 역할 인식, 실행 특성을 분석하고 상호간의 관련성을 살핌으로써, 저널리즘 생산-이용의 융합적 개념과 속성을 크라우드펀딩 저널리즘을 통해 조명하고자 한다.
    ● (실용적 차원) 크라우드펀딩을 통한 저널리즘 콘텐츠 제안과 참여의 과정이 콘텐츠 생산자 구조의 변화, 이용자의 관여와 관심을 이끌 수 있는 콘텐츠의 확대, 펀딩 과정 및 결과를 통한 참여자의 상호작용적 개입 등 대안적 저널리즘으로 확대될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지 살피고자 한다. 지배적인 의견과 다른 의견을 제시함으로써 다원주의에 기여하는 대안성이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실질적으로 작동 가능한지에 대한 검토를 통해, 언론 생태계가 크라우드펀딩 서비스를 채택 및 활용할 수 있는 근거와 전략적 함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기대효과
  • □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주요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학문적 기대효과) 본 연구는 저널리즘 분야에서의 크라우드펀딩 관련 연구 지평의 확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크라우드펀딩이 향후 뉴스 생산 구조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Hustad, 2013), 아직 초기 단계라는 점에서 크라우드펀딩을 저널리즘 분야에서 활용할 때 나타나는 특성과 고려해야 할 요인들에 대한 분석과 논의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이채린·이정훈·신동영, 2015). 지금까지 국내에서 크라우드펀딩에 관한 연구는 크게 산업적인 측면에서 제도적 활용 방안에 초점을 맞추거나(임지원·이민화, 2014; 최현호, 2013), 소비자 및 이용자의 역할 확장과 이것이 갖는 문화적 함의에 대한 논의(Scott, 2015), 그리고 참여자의 참여동기(이채린·이정훈·신동영, 2015; 이한석, 2016) 및 성공 요인이나 사례분석(천혜숙, 2015) 등을 중심으로 제기되어 왔다.
    ● 이러한 차원에서 본 연구는 국내에서 크라우드펀딩 방식을 통해 이루어지는 저널리즘의 주요 특성을 체계적으로 밝힐 수 있는 초기 단계의 본격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특히, 프로젝트 제작자와 참여자를 중심으로 이들이 저널리즘과 관련된 크라우드펀딩에 어떠한 인식과 동기를 부여하고 있으며 이들 요인들이 구체적인 저널리즘 규범 및 실천행위와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 분석하고 한다. 이는 크라우드펀딩이라는 새로운 방식을 통한 저널리즘 콘텐츠가 기존의 전통적인 저널리즘과 어떠한 유사성과 차별성을 지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새로운 환경에서의 저널리즘의 개념적 변용 혹은 확장을 밝히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실용적 기대효과) 본 연구는 실무적인 차원에서 크라우드펀딩 저널리즘이 대안적 모델로 기능하는데 전제되어야 할 요인들에 대한 논의의 단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크라우드펀딩 저널리즘은 일반 이용자의 참여가 의견의 개진을 넘어 금전적인 지원을 통해 가시화되고, 이것이 뉴스의 제작 여부 및 그에 수반되는 재정으로 직접 활용된다는 점에서 일종의 비즈니스 모델의 성격을 포함한다. 크라우드펀딩 저널리즘 제작자 입장에서 본 연구결과를 통해 프로젝트 캠페인 착수 방법, 온라인 지불 방식을 통한 효율적인 재정 확보, 신규 서비스의 시도 등에 대한 유용한 함의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사회적 기대효과) 한편, 본 연구를 통해 전체 언론 생태계 측면에서 대안적 언론이 작동될 수 있는 사회적 접근 방식을 논의할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크라우드펀딩이 기존 언론에게는 새로운 서비스를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신생·독립 언론들에게 시장 진입 장벽을 낮추는 계기가 될 수 있다. 크라우드펀딩 저널리즘 참여자 입장에서는 해당 프로젝트가 성공을 거둘 경우 받게 되는 보상 뿐 아니라, 그에 수반되는 사회적 가치도 기대할 수 있다(Aitamurto, 2011; Burtch, Ghose & Wattal, 2013). 뉴스 이용자가 뉴스 콘텐츠 생산과 투자에 참여하고, 그 프로젝트가 결과물 낳는 일련의 과정 속에서 자신의 의사를 개진하고 자신이 일종의 공동 창작자(co-creator)가 되었다는 효능감을 얻는 것은 크라우드펀딩 저널리즘이 가질 수 있는 대안성의 핵심이다. 본 연구는 이를 긍정적으로 확대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모색이 이루질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할 수 있다.
  • 연구요약
  • □ (연구문제) 본 연구는 크라우드펀딩 저널리즘(혹은 뉴스 콘텐츠) 제안자와 참여자의 동기, 역할 인식, 그리고 동기와 역할 인식에서 나타난 유사성, 차별성, 상호지향적 특성이 대안적 저널리즘으로서의 실천행위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새롭게 등장한 크라우드펀딩 저널리즘이 작동하는 방식을 개념적으로 구체화하고, 크라우드펀딩 방식의 저널리즘이 지속적으로 유지·확대되기 위한 실용적 방안을 제안할 것이다.
    □ (분석의 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분석 틀에 기반한 이론적 분석체계를 구축할 것이다.
    ● 첫째, 크라우드펀딩 저널리즘 제안자와 참여자의 속성을 세분화하여 구분하고, 기존 연구에서 밝혀진 저널리즘 관련 동기, 역할 인식, 실천 행위의 차원을 크라우드펀딩 제안자-참여자의 특성에 맞추어 재개념화할 것이다. 이를 통해 크라우드펀딩 저널리즘을 통해 발현될 수 있는 대안적 저널리즘의 가능성을 크라우드펀딩 제안자와 참여자가 가지고 있는 동기, 역할 인식, 실행 행위의 특성을 통해 검토할 것이다.
    ● 둘째, 제안자와 참여자 간의 유사성, 차별성, 상호지향성을 분석하고 이를 체계화하기 위해 상호지향성 모델을 이론적 준거틀로 활용할 것이다. 이를 통해, 제안자와 이용자가 저널리즘에 대해 어떠한 인식과 의도를 가지고 크라우드펀딩 저널리즘에 참여하고 있는지, 또한, 이들의 지속적 참여의도를 상승시키는 요인은 무엇인지 도출하고 이러한 요인들이 지니는 대안적 저널리즘의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연구방법 및 추진전략) 본 연구는 상기한 문헌연구의 토대 위에, 대표적인 크라우드펀딩 저널리즘 서비스를 중심으로 제안자와 참여자에 대한 사전조사 →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 서베이를 활용한 통계적 방법론을 통하여 분석결과를 도출할 것이다.
    ● [1단계 : 이론적 개념화] 크라우드펀딩 저널리즘 제안자와 참여자의 속성을 재개념화하는 이론적 분석체계를 구축할 것이다. 이를 위해 크라우드펀딩 저널리즘 프로젝트 제안자와 참여자의 제작동기, 역할 인식, 실천 행위를 구성하는 요인에 대한 탐색을 선행할 것이다. 이는 구체적으로, 프로젝트 제안자가 인식하는 스스로의 역할을 기자관, 기자 규범 준수여부 그리고 저널리즘 권위 인식 등을 중심으로 체계화하고, 이용자가 인식하는 스스로의 역할은 창작-이용-소비-향유 관점에서 구조화할 것이다.
    ● [2단계 : 사전 조사를 통한 개념의 정교화] 선행 연구에서 도출된 개념을 토대로, 제안자와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사전조사를 통해서 크라우드펀딩 저널리즘에 적합한 형태로 개념을 보완·확장할 것이다.
    ● [3단계 : 서베이를 통한 실증적 검증] 앞서 도출된 개념 틀을 토대로, 상호지향성 모델을 이론적 준거틀로 활용하여, 제안자와 참여자 간의 유사성, 차별성, 상호지향성을 분석할 것이다. 다음으로 크라우드펀딩 저널리즘 제안자와 참여자가 실질적으로 행하는 저널리즘 행위의 특성을 유형화하고, 마지막으로 앞선 연구문제에서 밝혀진 동기와 역할 인식과 실천 행위의 특성이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펀딩 사이트를 통해 크라우드펀딩에 직접 참여한 두 주체인 펀딩 제안자와 펀딩 참여자를 통한 저널리즘 실천이 갖는 특성과 대안적 가능성을 비교했다. 구체적으로 관여 저널리즘과 상호지향성 모델에 입각하여, 제안자와 참여자가 저널리즘에 대해 어떠한 인식과 의도를 가지고 크라우드펀딩 저널리즘에 참여하고 있는지 실증적으로 살펴봤다. 이를 위해 펀딩 제안자와 참여자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각각 실시했다. 먼저 제안자의 경우 조사회사 마이크로밀엠브레인을 통해 연구진이 <다음스토리펀딩>이 종료되기 전 확보한 크라우드펀딩 제안자 853명의 이메일 주소로 5차례 설문조사 링크 발송을 통해 최종 61명의 응답을 확보하였다. 제안자용 설문에 참여한 응답자의 성별은 남성이 42명(68.9%), 여성이 19명(31.1%)이었으며, 연령은 20대 6명(9.8%), 30대 27명(44.3%), 40대 19명(31.1%), 50대 9명(14.8%)으로 나타났다. 한편 크라우드펀딩 참여자에 대한 설문은 온라인 조사업체 마이크로밀엠브레인의 패널에 가입된 사람들 가운데 크라우드펀딩 저널리즘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실제 후원을 해 본 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조사회사의 패널 3,131명에 대해 이메일을 발송하여 301건의 응답을 회수하였으며, 불량/불성실 데이터 31건을 제외한 270명의 응답을 최종 활용하였다.
    상호지향성을 중심으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크라우드펀딩 저널리즘의 기사 제작과 유통에 대해 제안자와 참여자간의 인식 차이를 살펴보았다. 제안자와 참여자 모두 취재를 보다 자유롭게 해준다는 데에, 기사가 공유가 잘 될 것이며, 제안자가 기사의 생산과 유통을 통제할 수 있다는 데에 3점 이상의 인식을 나타냈다. 제안자의 인식이 참여자의 인식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아 제안자와 참여자간 인식 차이 없이, 크라우드펀딩 저널리즘 기사 제작과 유통에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기사의 생산과 유통을 통제하는 것에 대한 참여자의 역할과 관련해 제안자는 참여자보다 낮게 인식한 반면 참여자들은 3점 이상의 평균값을 보이며 자신들의 역할을 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이러한 제안자와 참여자 간의 인식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크라우드펀딩의 결과물로서 기사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면, 제안자와 참여자모두 평균값이 3점을 넘으며 크라우드펀딩 기사에 대해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었다. 크라우드펀딩 기사의 새로움, 전문성, 신뢰성에 대해 제안자들의 평가가 다소 높았으나 제안자와 참여자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은 아니어서 두 집단 간 인식이 대체로 일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객관성, 공정성, 정확성에 대해서는 참여자들의 평가가 다소 높았으나 이 역시 차이가 유의미한 것은 아니어서 제안자, 참여자 모두 인식이 대체로 일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중립성과 철저성에 있어서 제안자의 인식보다 참여자의 인식 수준이 높게 나타나 참여자들이 크라우드펀딩 기사를 보다 중립적이고, 철저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철저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컸다.
    셋째, 크라우드펀딩 저널리즘에 참여자가 관여하는 것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제안자와 참여자는 참여자가 재원을 마련해주는 사람이자 후원으로 충성도 높은 독자를 확보할 수 있다는 데에 의견이 일치하였다. 제안자들은 후원이 기사 제작과정에 독자 참여를 이끌 수 있다고 강하게 인식하는 등 대체로 제안자들의 인식 수준이 참여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후원이 독자 참여를 이끌 수 있고(제안자=4.13, 참여자 =3.83), 참여자가 프로젝트의 감시자의 역할을 한다(제안자=3.93, 참여자=3.67)는 데에 대해 제안자들의 평균값이 더 크게 나와 제안자들이 참여자들보다 참여자 관여를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재원을 마련해주는 사람(제안자=3.84, 참여자=3.80), 충성도 높은 독자의 확보(제안자=3.89, 참여자=3.68)에 대해서는 제안자와 참여자 간의 인식 차이는 없었다.
    넷째, 크라우드펀딩 저널리즘의 사회적 영향력을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면, 제안자 참여자 모두 3.8 이상의 값을 보이며 사회적 영향력에 대해 높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제안자와 참여자들은 크라우드펀딩 저널리즘이 사회변화를 이끌 수 있고(제안자=4.03, 참여자=3.83), 펀딩 참여가 민주사회 시민으로서의 역할을 한다(제안자=3.90, 참여자=3.85)는 데에 대해 대체로 인식이 일치하였다. 그러나 크라우드펀딩이 사회적으로 의미있는 뉴스를 만들 수 있다는 데에 대해서는 제안자들의 인식 수준(4.20)이 참여자 인식 수준(3.92)보다 높게 나타나 제안자들이 사회적으로 의미있는 뉴스를 만드는데 크라우드펀딩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강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크라우드펀딩의 저널리즘적 가치에 대해 제안자와 참여자의 인식을 비교해보면 크라우드펀딩 저널리즘이 권력, 자본으로부터 독립되어있다고 두 집단 모두 비슷한 수준으로 인식하며 인식의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기존 언론 대비 신뢰도, 불신 극복의 대안으로서 크라우드 펀딩을 인식하는데 있어 제안자들보다 참여자들이 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실무적으로, 크라우드펀딩을 통한 저널리즘 실천이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는 긍정적, 부정적 가능성 속에서, 그 효과가 보다 긍정적인 형태로 발현될 수 있는 전제 조건이 무엇인지에 대한 가능성을 탐색하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었다. 학술적으로, 크라우드펀딩을 통한 관여 저널리즘 실천 가능성에 대한 펀딩 제안자와 펀딩 참여자의 입장을 서로 비교하는 것은 수용자 관여 개념을 정교화하고 확장시키기 위해 필요한 작업이라는 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영문
  • This study compares the characteristics and alternative possibilities of journalism practice through funding proponents and funding participants, who are directly involved in crowdfunding through funding sites. Specifically, based on the engagement journalism and the co-orientation model, the study empirically examine how proponents and participants participate in crowdfunding journalism. To this end,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funders and participants. In the case of proponents, the research firm secured the final 61 responses by sending a survey link five times to the e-mail address of 853 crowdfunding proponents, which the researchers secured before the end of Daum Story Funding through the research company MicroMill Embrain. The genders of the respon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for proponents were 42 males (68.9%) and 19 females (31.1%). The ages were 6 in 20s (9.8%), 27 in 30s (44.3%) and 19 in 40s. (31.1%) and nine in fifties (14.8%). Meanwhile, a survey of crowdfunding participants was conducted among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crowdfunding journalism project who had participated in the crowdfunding journalism project. An email was sent to the survey company's panel 3,131 to retrieve 301 responses, and 270 responses were used except for 31 bad / faith data.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proponents and participants about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articles in crowdfunding journalism. Both the proponent and the participant expressed more than three points that the article would be better shared, and that the proponent could control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the article. The perception of the proponent was higher than the perception of the participants,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in relation to the participant's role in controlling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articles, the proponents perceived lower than the participants, while the participants perceived their roles higher with an average value of 3 or more.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the proposers and participan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as a result of how crowdfunding is perceived, both the proponents and the participants had a positive score for crowdfunding articles, with the average value exceeding 3 points. Proposers' evaluation of the crowdfunding article's novelty, professionalism, and credibility was somewhat high,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oponents and participant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the evaluation of the participants was somewhat higher in terms of objectivity, fairness, and accuracy, but this difference was also not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neutrality and thoroughness, the participants' recognition level was higher than that of the proponents.
    Third, in the recognition of participants' engagement in crowdfunding journalism, the proponents and participants agreed that they could secure loyal readers as a funder and sponsor. The proponents generally recognized that the proponents' level of recognition was higher than the participants, with strong recognition that crowdfunding could lead to reader participation in the article production process. In particular, crowdfunding can lead reader participation (suggestor = 4.13, participant = 3.83),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proponents is greater because the participant acts as the observer of the project (suggestor = 3.93, participant = 3.67). It can be seen that proponents put a higher value on participants' engagement than participant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the proponent and the participant for those who raised the resources (proposer = 3.84, participants = 3.80) and loyal readers (proposer = 3.89, participants = 3.68).
    Fourth, when examining how the social impact of crowdfunding journalism is evaluated, all the participants of the proposer valued more than 3.8 and highly valued the social impact. In particular, proponents and participants are largely agreed that crowdfunding journalism can lead to social change (proponent = 4.03, participant = 3.83), and that funding participation serves as a democratic social citizen (proponent = 3.90, participant = 3.85). However, regarding the fact that crowdfunding can produce socially meaningful news, the proponent's awareness level (4.20) is higher than the participants' awareness level (3.92), strongly suggesting that crowdfund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oducing socially meaningful news.
    Fifth, comparing the perceptions of proponents and participants about the journalistic value of crowdfunding, both groups perceived similarly that crowdfunding journalism is independent of power and capital. However, participants perceived crowdfunding more positively than proponents in recognizing crowdfunding as an alternative to overcoming credibility and distrust.
    In practice, this provides an opportunity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for what preconditions can be expressed in a more positive form, in the positive and negative possibilities that journalism practice through crowdfunding is expected to bring. Could. Academicly, comparing funding proponents and funding participants' views on the possibility of engaging journalism through crowdfunding was a necessary task to elaborate and expand the concept of audience engagemen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펀딩 사이트를 통해 크라우드펀딩에 직접 참여한 두 주체인 펀딩 제안자와 펀딩 참여자를 통한 저널리즘 실천이 갖는 특성과 대안적 가능성을 비교했다. 구체적으로 관여 저널리즘과 상호지향성 모델에 입각하여, 제안자와 참여자가 저널리즘에 대해 어떠한 인식과 의도를 가지고 크라우드펀딩 저널리즘에 참여하고 있는지 실증적으로 살펴봤다. 이를 위해 펀딩 제안자와 참여자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각각 실시했다.
    상호지향성을 중심으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크라우드펀딩 저널리즘의 기사 제작과 유통에 대해 제안자와 참여자간의 인식 차이를 살펴보았다. 제안자와 참여자 모두 취재를 보다 자유롭게 해준다는 데에, 기사가 공유가 잘 될 것이며, 제안자가 기사의 생산과 유통을 통제할 수 있다는 데에 3점 이상의 인식을 나타냈다. 제안자의 인식이 참여자의 인식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아 제안자와 참여자간 인식 차이 없이, 크라우드펀딩 저널리즘 기사 제작과 유통에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기사의 생산과 유통을 통제하는 것에 대한 참여자의 역할과 관련해 제안자는 참여자보다 낮게 인식한 반면 참여자들은 3점 이상의 평균값을 보이며 자신들의 역할을 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이러한 제안자와 참여자 간의 인식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크라우드펀딩의 결과물로서 기사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면, 제안자와 참여자모두 평균값이 3점을 넘으며 크라우드펀딩 기사에 대해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었다. 크라우드펀딩 기사의 새로움, 전문성, 신뢰성에 대해 제안자들의 평가가 다소 높았으나 제안자와 참여자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은 아니어서 두 집단 간 인식이 대체로 일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객관성, 공정성, 정확성에 대해서는 참여자들의 평가가 다소 높았으나 이 역시 차이가 유의미한 것은 아니어서 제안자, 참여자 모두 인식이 대체로 일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중립성과 철저성에 있어서 제안자의 인식보다 참여자의 인식 수준이 높게 나타나 참여자들이 크라우드펀딩 기사를 보다 중립적이고, 철저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철저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컸다.
    셋째, 크라우드펀딩 저널리즘에 참여자가 관여하는 것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제안자와 참여자는 참여자가 재원을 마련해주는 사람이자 후원으로 충성도 높은 독자를 확보할 수 있다는 데에 의견이 일치하였다. 제안자들은 후원이 기사 제작과정에 독자 참여를 이끌 수 있다고 강하게 인식하는 등 대체로 제안자들의 인식 수준이 참여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후원이 독자 참여를 이끌 수 있고(제안자=4.13, 참여자 =3.83), 참여자가 프로젝트의 감시자의 역할을 한다(제안자=3.93, 참여자=3.67)는 데에 대해 제안자들의 평균값이 더 크게 나와 제안자들이 참여자들보다 참여자 관여를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재원을 마련해주는 사람(제안자=3.84, 참여자=3.80), 충성도 높은 독자의 확보(제안자=3.89, 참여자=3.68)에 대해서는 제안자와 참여자 간의 인식 차이는 없었다.
    넷째, 크라우드펀딩 저널리즘의 사회적 영향력을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면, 제안자 참여자 모두 3.8 이상의 값을 보이며 사회적 영향력에 대해 높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제안자와 참여자들은 크라우드펀딩 저널리즘이 사회변화를 이끌 수 있고(제안자=4.03, 참여자=3.83), 펀딩 참여가 민주사회 시민으로서의 역할을 한다(제안자=3.90, 참여자=3.85)는 데에 대해 대체로 인식이 일치하였다. 그러나 크라우드펀딩이 사회적으로 의미있는 뉴스를 만들 수 있다는 데에 대해서는 제안자들의 인식 수준(4.20)이 참여자 인식 수준(3.92)보다 높게 나타나 제안자들이 사회적으로 의미있는 뉴스를 만드는데 크라우드펀딩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강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실무적으로, 크라우드펀딩을 통한 저널리즘 실천이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는 긍정적, 부정적 가능성 속에서, 그 효과가 보다 긍정적인 형태로 발현될 수 있는 전제 조건이 무엇인지에 대한 가능성을 탐색하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었다. 학술적으로, 크라우드펀딩을 통한 관여 저널리즘 실천 가능성에 대한 펀딩 제안자와 펀딩 참여자의 입장을 서로 비교하는 것은 수용자 관여 개념을 정교화하고 확장시키기 위해 필요한 작업이라는 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제안자-이용자 등 크라우드펀딩 콘텐츠 참여 주체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크라우드 펀딩에 대한 실질적인 인식을 살펴본 본 연구는 크라우드펀딩을 저널리즘 영역에 적용할 경우 발생하는 현상을 개념적, 실용적 차원에서 조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한 함의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예컨대, 뉴스 제작과 관련해 비용을 기부로 충당하는 과정에서 프로페셔널 기자들이 기자 정체성과 역할인식에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지, 이용자들이 콘텐츠 제작에 관여하면서 기자에 대한 인식과 콘텐츠 향유 방식에 어떠한 변화가 보이는지 등 크라우드펀딩 방식의 저널리즘이 기존 저널리즘 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한 실질적인 해답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저널리즘 생태계의 확장과 변형이라는 큰 그림 속에서 크라우드펀딩이 차지할 주요한 퍼즐을 맞추어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색인어
  • 크라우드펀딩, 저널리즘, 뉴스펀딩, 이용자 관여, 기자관, 제작/참여 동기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