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미술관에서의 미술콘텐츠 저작권 블록체인 서비스 프레임워크 연구
A Study on the Service Framework of Art Content Copyright Blockchain in Art Museum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9-S1A5A2A01-2019S1A5A2A01040129
선정년도 2019 년
연구기간 3 년 (2019년 07월 01일 ~ 2022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남현우
연구수행기관 서경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목표는 미술관에서의 창작되는 미술콘텐츠의 저작권 서비스를 블록체인으로 어떻게 프레임워크를 구축할 것인가에 있다. 1차년도의 연구개발 목표는 미술관에서의 미술콘텐츠 저작권 서비스 모델을 제안함으로써 미술관에서 매년 신규 창작되는 미술창작 작품에 대한 라이프사이클 생태계를 분석하고 저작권 서비스 관리 모델을 제안한다. 2차년도에서는 미술관에서의 미술콘텐츠 이용 활성화를 위한 통합관리 연구로서 미술관의 미술콘텐츠 블록체인 서비스를 위한 미술 콘텐츠 저작료의 산정, 분배, 정산 기준체계 등을 연구한다. 3차년도에서는 미술관, 콘텐츠 CP, 신탁, 대리중개업 및 콘텐츠 관리 기관 등에서 활용 가능한 블록체인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연구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를 통해서 미술관에 매년 창작되는 수십만점 이상의 신규 미술 창작 작품에 대한 미술콘텐츠 생태계에 대한 라이프사이클의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저작권의 수익창출과 건전하고 투명한 체계가 확립될 것이며, 이용자 중심의 2차 저작물 개방형 서비스 활성화 및 블록체인 기반하의 미술 콘텐츠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체계화된 미술관 콘텐츠 관리와 이용활성화, 미술콘텐츠 블록체인체계 확립을 통한 창작 작가들의 저작권 산정/정산/분배의 투명화, 합리화 및 권리 보호 및 자생력 확보가 가능해진다. 이외에도 미술콘텐츠 DB 구축 및 미술관 온라인 서비스 체계 확립을 통한 차세대 블록체인 서비스 시스템 구조 확립과 기반에 도움을 줄 것이다. 향후 미술콘텐츠는 향후 글로벌 콘텐츠 강국 진입의 동력원으로서 큰 역할을 할 것이다.
  • 연구요약
  • 미술관에서 학예사들이 전시기획을 하고 아이디어를 미술창작들과 협업을 통해서 진행하면 좋은 전시회가 될 수 있으며, 좋은 미술 콘텐츠가 창작될 수 있다. 문제는 여기서 저작권의 문제가 발생되게 된다. 학예사들이 전시기획을 하게 되면 작품창작에 대한 아이디어를 미술콘텐츠 창작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미술관, 학예사, 미술창작자간의 저작인접권에 대한 권리관계와 분배 관계에 대한 이해의견이 충돌될 수 있다. 또한 미술관의 경우 저작재산권인 전시권 배포권, 대여권에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협업작업의 경우 다양한 권리관계로 인하여 저작권이 복잡하게 되고, 분배, 정산에 대한 어려움을 겪게 될 수 밖에 없는 구조이다. 따라서 미술관에서의 미술콘텐츠의 개념 정리와 신규 창작작품에 대한 요구사항 분석 필요하고, 창작자, 저작권자, 콘텐츠 이용자, 그룹 등 콘텐츠의 이용과 거래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기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미술관에서의 미술콘텐츠 저작권 블록체인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제안하는 것이다. 미술관에서 매년 신규 창작되는 미술 콘텐츠에 대한 블록체인 생태계를 조사, 분석하고 수요자별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서비스 관리 모델을 제안한다. 이를 바탕으로 미술관에서의 신규 창작 작품들에 대한 미술콘텐츠 저작권료 산정, 분배, 정산 기준체계를 연구한다. 최종적으로 미술관 콘텐츠 블록체인 프로세스 기반하의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미술 콘텐츠 CP, 블록체인, 저작권 신탁, 대리중개업 등에서 사용 가능한 블록체인 서비스 프레임워크가 가능해질 것이다. 또한 국내에 산재되어 있는 미술 콘텐츠 제공업체가 사업을 펼칠 수 있는 방향성을 설정할 수 있고, 창업을 통해 새로운 신산업 도출을 시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것이다. 올바른 미술콘텐츠 문화를 정착시킬 수 있고, 창작작가들의 독립적 자립화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미술관에서 매년 개최하는 기획전시회의 신규 미술 작품의 정보를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저작권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설정하는 것이 목표라 할 수 있다.
    1차 연구에서는 문헌분석과 집단심층면접(FGI) 방법을 이용하여 미술관에서 진행하는 기획전시 미술작품으로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미술관에서 기획전시회는 특별한 목적을 가지고 진행되는 전시회를 의미한다. FGI 결과 4가지의 프레임워크 전략이 수립되었다. 첫째, 미술관의 미술 콘텐츠 저작권은 소장품, 기획전시회 컨셉, 아카이브, 설치 및 연출, 디자인 미디어, 출판, R&D 결과물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둘째, 기획전시의 협업작업은 관장, 학예사, 에듀케이터, 창작작가 등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미술작품 협업 라이프 사이클에서는 미술작품이 창출되기까지의 문서, 이미지, 영상 등의 결과물 등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투명한 정산, 분배, 관리가 요구된다. 셋째, 미술관 신규 창작작품의 생성부터 유통에 이르기까지의 전과정을 개방형 협업 프레임워크에 대한 연구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는 저작권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는 이익배분에 대한 문제해결을 제시한 모델이다. 넷째, 미술작품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핀테크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블록체인 기반하의 미술 콘텐츠 창작과 이용활성화에 큰 역할을 할 것이며, 미술 콘텐츠 저작권 서비스 사업화 및 미술작품 산업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2차 연구에서는 미술 시장의 규모 확대 및 발전, 미술 콘텐츠 불법 복제 확대, 미술 블록체인 연구의 필요성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 콘텐츠 등의 저작권 산정 및 정산, 모니터링에 블록체인 기술을 융합하는 프레임워크를 제안하는 방향성을 제시한 연구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술 콘텐츠 저작권 수요조사에서는 미술 저작권의 문제점을 조사 분석하여 결과값을 제시하였다. 둘째, 미술 콘텐츠 저작권 산정에서는 세부 기준 설정과 가치산정을 기준으로 저작권에 대한 요율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셋째, 미술 콘텐츠 저작권 정산 기준에서는 일괄 이용 및 정액 정산, 판매건별 정률 정산, 노출 비율 정률 정산으로 구분하여, 매체별 속상과 이용 형태에 따라 저작권의 산정을 다르게 구분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넷째, 미술 콘텐츠 저작권 모니터링 프레임워크에서는 미술 저작권 모니터링 프레임워크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다섯째, 미술 콘텐츠 저작권 블록체인 프레임워크에서는 미술 콘텐츠의 저작권 블록체인 요소와 기술적 접근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미술 콘텐츠 저작권 수익 창출과 건전하고 투명한 저작권 확립 체계가 확립될 수 있을 것이다.
    3차 연구에서는 미술관에서 발생되는 미술콘텐츠의 중요성, 미술작가들의 신뢰할 수 있는 미술 NFT 저작권 필요성, 미술 저작권 NFT 서비스의 필요성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관에서 활용 가능한 미술콘텐츠 저작권 블록체인의 프레임워크와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플랫폼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이며, 표적집단면접법(FGI)를 정량화 시키는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관에서의 미술콘텐츠 저작권의 문제점과 NFT 마켓의 국내외 현황을 분석하였다. 둘째, 미술관 기반하의 미술 저작권 메타데이터 구조설계와 스마트 콘트렉트 상세설계를 제안하였다. 셋째, 미술작품 NFT 유통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여, 저작권 서비스 관리 방안을 도출하였다. 넷째, 미술작품에 대한 NFT 서비스 구현과 테스팅을 시행하기 위해 GPIA 토큰을 개발하였다. 다섯째, 미술관에서 사용 가능한 시장별 콘텐츠 저작권 사업화 전략을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서 미술관에서 활용 가능한 저작권 블록체인의 서비스 체계와 시스템적 접근에 대한 프레임워크가 제안되었다.
    연구결과의 사회적, 산업적, 경제적 기여도는 정부 산하기관인 국내 1,000여개 박물관, 미술관, 과학관 등 신규 창작 작품의 콘텐츠 블록체인 서비스에 대한 콘텐츠 이용 활성화 및 재활용을 통한 콘텐츠 생태계 투명화 및 효율성 향상화가 기대된다. 이외에도 미술 콘텐츠에 대한 블록체인 최초 연구로서 학문적 기반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물을 통해 미술관에서의 미술콘텐츠 블록체인 서비스 프레임워크 구축으로 인하여 박물관, 미술관을 비롯한 정부기관 등에서 미술 관련 블록체인 서비스로 활용 가능하며, 향후 글로벌 미술콘텐츠 강국 진입의 동력원으로서 미술콘텐츠가 향후 글로벌 한류 콘텐츠 강국 진입의 동력원으로서 기반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국내 미술관에서 창출되는 매년 수십만점 이상의 신규 창작 미술작품에 대한 미술콘텐츠 수익창출과 건전하고 투명한 저작권 확립 체계 확립, 2차 콘텐츠의 합법적 활용을 통한 이용자 중심의 개방형 서비스 활성화 및 블록체인 기반하의 신규 수익모델 발굴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미술관에서의 블록체인 기반하의 미술콘텐츠 유통 서비스 시스템은 체계화된 미술 콘텐츠 저작권 관리 및 이용활성화를 통해 신규 미술 콘텐츠 창작 작가들의 저작권 산정/정산/분배의 투명화, 합리화 및 권리 보호, 자생력 확보를 할 수 있는 정책/제도/법적 접근이 가능한 데이터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미술관의 미술콘텐츠의 소비․배포 체계는 One-Source Multi-Use 형태로 급속히 전문화․고도화․다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미술관은 비영리기관으로 정부보조금으로 일부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재정적 자립도가 매우 낮은 기관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술관의 자립도와 경영개선에도 많은 보탬이 될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미술 창작자들한테는 불투명한 미술작품에 대한 정산, 분배에 투명한 가치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며, 본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미술 블록체인의 선도적인 연구가 될 것이다.
    본 연구가 향후 활용되기 위해서는 법/제도적 측면에서는 블록체인의 서비스 합법화가 구축되어야 하며, 서비스 측면에서는 미술관에서 적용 가능한 미술 콘텐츠 아카이브 기반의 NFT 플랫폼이 구축되어야 활용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의 활용적 측면에서는 미술 콘텐츠 기반하의 블록체인 서비스의 학문적 기반으로 많은 미술 콘텐츠 블록체인 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나오기를 기대한다. 또한 미술 창작작가들의 수익 개선과 미술관의 재정자립도 향상을 위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연구되어져야 한다. 이외에도 미술 콘텐츠의 신뢰성 있는 유통 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때 미술 콘텐츠 블록체인 서비스 연구는 완성될 것이다. 따라서 많은 후학들이 상기 연구를 토대로 미술 콘텐츠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 영문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copyright service framework based on the blockchain information on new art works held every year at the museum.
    In the first study,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literature analysis and group in-depth interview (FGI) method, limited to art works in special exhibitions conducted in art galleries. The results and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the art museum, a special exhibition means an exhibition with a special purpose. As a result of FGI, four framework strategies were established. First, the art content copyright of the museum can be divided into collections, concept of special exhibitions, archives, installation and directing, design media, publishing, and R&D results. Second, the collaboration work of the planned exhibition is carried out by the director, curator, editor, and creative writer. Therefore, in the art collaboration life cycle, the results of documents, images, and videos until art works are created require transparent settlement, distribution, and management based on blockchain. Third, a research model for an open collaboration framework was presented in the entire process from the creation to distribution of new art museum works. This is a model that suggests problem-solving for profit allocation that can solve problems according to copyright. Fourth, a fintech system based on the art work blockchain was propo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lay a great role in the creation and use of art content under the blockchain, and will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commercialization of art content copyright services and the development of the art work industry.
    In the second study, research was conducted by dividing it into the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the art market, the expansion of illegal copying of art content, and the necessity of art blockchain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framework for converging blockchain technology into copyright calculation, settlement, and monitoring of art cont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the art content copyright demand survey, the results were presented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problems of art copyright. Second, in the calculation of art content copyright, the direction of the rate for copyright was proposed based on the setting of detailed standards and value calculation. Third, in the art content copyright settlement standard, a method of dividing copyright calculation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nature and type of use by media was proposed by dividing it into collective use and flat-rate settlement, fixed-rate settlement by sales case, and exposure ratio settlement. Fourth, the art content copyright monitoring framework proposed the direction of the art copyright monitoring framework. Fifth, the art content copyright blockchain framework proposed copyright blockchain elements and technical approaches of art content. Through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establish a sound and transparent copyright establishment system for art content copyright revenue.
    In the 3rd study, the study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 importance of art content generated in art galleries, the need for reliable art NFT copyright by artists, and the need for art copyright NFT serv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platform for executing the framework and service of the art content copyright blockchain available in the art museum, and the study was conducted as a method of quantifying the target group interview method (FGI).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oblems of art content copyright in art galleries and the domestic and foreign status of the NFT market were analyzed. Second, a detailed design of art copyright metadata structure and smart context under the art museum was proposed. Third, a copyright service management plan was derived by proposing an art work NFT distribution framework. Fourth, GPIA tokens were developed to implement and test NFT services for art works. Fifth, a strategy for commercialization of content copyright by market available in art galleries was derived. In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a framework for the service system and systematic approach of copyright blockchain that can be used in art galleries was proposed.
    The social, industrial, and economic contribution of the research results is expected to increase the transparency and efficiency of the content ecosystem through activation and recycling of content blockchain services of 1,000 museums, art galleries, and science museums in Korea.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be an academic basis as the first study of blockchain on art content. Therefore,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used as an art-related blockchain service by museums, art galleries, and other government institutions, and art content became a driving force for entering a global Korean Wave content powerhouse in the future.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used to generate profits for art contents for hundreds of thousands of new artworks created in domestic art galleries every year, establish a sound and transparent copyright establishment system, activate user-centered open services through legal use of secondary contents, and discover new profit models. In particular, the art content distribution service system based on blockchain in art galleries can be used as policy/system/legal access to transparency, rationalization and rights protection, and self-sustainability of new art content creators through systematic art content copyright management and utilization. The consumption and distribution system of art contents in the museum is rapidly specialized, advanced, and diversified in the form of One-Source Multi-Use. Since the museum is a non-profit organization and is partially operated by government subsidies, it is an institution with very low financial independence.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a lot to the independence and management improvement of art galleries. In addition, art creators will be able to give transparent value to the settlement and distribution of opaque art works, and this study will be a leading study of art blockchain at home and abroad.
    In order for this study to be used in the future, blockchain service legalization must be established in terms of law and institution, and in terms of service, an NFT platform based on art content archives applicable to art galleries must be established. In terms of the utilization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many studies on art content blockchain services will be conducted as an academic basis for blockchain services based on art content. In addition, additional research should be studied to improve the profits of art creators and improve the financial independence of art galleries. In addition, when research on reliable distribution services of art content is conducted, research on art content blockchain service will be completed. Therefore, many juniors hope that a lot of research on art content will be conducted based on the above research.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매년 미술관에서 진행되는 미술 전시회는 학예사들이 전시기획을 하고 아이디어를 미술창작들과 협업을 통해서 진행하면 좋은 전시회가 될 수 있으며, 좋은 미술 콘텐츠가 창작될 수 있다. 전시회에서 발표된 작품들은 저작권을 가지고 저작권신탁, 이미지 대리중개업, 기타 콘텐츠 제공업체들을 통해서 소비자들에게 서비스된다. 기획전시는 학예사의 전시기획을 거쳐 전시와 관련된 스토리텔링, 아이디어를 미술창작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물론 미술창작자가 독립적으로 작품을 창작하기도 하지만, 협업을 통해서도 작품이 탄생한다. 미술관의 전시회의 경우 협업 과정에서 미술관, 학예사, 미술창작자 간의 저작인접권에 대한 권리관계와 분배 관계에 대한 이해의견이 충돌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미술관은 전시, 출판, 인터넷, 편집, 대여권에 대해서도 문제가 발생하게 되어 분배, 정산에도 어려움을 겪게 된다. 특히, 협업작업의 경우 다양한 권리관계로 인하여 저작권이 복잡하게 되고, 분배, 정산에 대한 어려움을 겪게 될 수 밖에 없는 구조이다. 현재는 미술관에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는 방법이 부재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미술관에서 미술 창작 작품이 창작되는 라이프사이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고, 협업 기반의 미술 창작 저작권 분배에 대한 기준이 정해져야 한다. 또한 미술 작품은 2차 저작물에 대하여 저작권 문제가 추가 발생할 수 있다. 아트 상품은 대부분의 미술관 내 아트샵에서 판매되고 있어 전형적 2차 저작물의 형태를 띄는데, 일부 성공한 제품은 대규모 유통사에 의해 판매된다. 그러나 유통사의 마진이 30~60% 이상을 차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원 창작자들에게 가는 수익구조는 매우 적은편이다. 재료원가를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창작자가 가져갈 수 있는 수익은 10~20% 이내이며, 2차 저작물을 제작하는 문화상품 회사 또한 수익은 10~20%이내이다. 미술 창작자는 2차 저작물 제작에 근간으로서 가장 큰 기여를 하고 있지만, 합당한 수익을 내기 힘든 것이 현재의 구조적 문제점이다. 또한 유통사가 정산 및 배분시 정확한 기준을 가지고 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나는 구조이다. 따라서 블록체인 시스템 기반하의 미술 창작작품 유통 서비스 플랫폼이 만들어지면 이러한 문제점은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협업으로 만들어진 미술 작품은 창작시부터 정확한 분배, 정산 그리고 블록체인으로 투명한 거래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스템의 프레임워크를 제안하는 것이다.
    1차년도 연구에서는 매년 미술관에서 진행되는 기획전시회는 학예사와 미술창작자 간의 협업을 통해 대중에게 보다 양질의 문화를 향유하자는 가설에서 시작되었다. 미술관에서 학예사들이 전시기획을 하고 아이디어를 미술창작들과 협업을 통해서 진행하면 좋은 전시회가 될 수 있는데, 블록체인 시스템 기반의 미술 창작 작품 유통 서비스 플랫폼을 개발하여 해당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가설을 설정하고, 협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저작권에 대하여 정확한 분배, 정산, 투명한 거래 시스템 구축의 근간이 될 시스템적 프레임워크를 제안하는 것이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2차년도의 연구의 목적은 미술 콘텐츠(미술작품, 이미지 저작권) 등의 저작권 산정 및 정산, 모니터링에 블록체인 기술을 융합하는 프레임워크를 제안하는 것이다. 범위는 미술 콘텐츠 블록체인 서비스를 위한 미술 콘텐츠 저작권료 산정, 정산, 모니터링 기준체계를 연구의 범위로 설정하였다. 연구 방법은 총 3가지로 진행되었다. 첫째, 미술 콘텐츠의 ICT, 블록체인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둘째, 미술 콘텐츠의 문제점 인식을 위해 수요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미술 콘텐츠 저작권의 정산, 산정, 모니터링의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셋째, 효율적인 미술 콘텐츠 저작권 서비스를 위한 산정, 정산, 모니터링, 블록체인의 4가지 프레임워크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3차년도의 연구의 목적은 미술관내에서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미술 콘텐츠의 블록체인 기반하의 저작권 관리를 위해 진행된 것이며, 기존 작가들의 작품에 대한 소유권, 저작권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블록체인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제안하는데 있다. 따라서 미술관에서 미술 창작 작가의 저작권을 보호하고 신뢰할 수 있는 미술작품 유통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1, 2, 3차년도의 연구결과물을 통해서 서울시 등록 1종 전문 미술관인 상원미술관과 MOU를 체결하여, 미술관 미술 블록체인 이더리움 기반하의 ‘GPIA’ 토근 개발 후 웹사이트 구축 및 테스팅 하였으며, 이러한 결과값을 바탕으로 사업화에 대한 기반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가 비영리 연구인 관계로 보급 및 배포는 하지 않았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의 사회적, 산업적, 경제적 기여도는 정부 산하기관인 국내 1,000여개 박물관, 미술관, 과학관 등 신규 창작 작품의 콘텐츠 블록체인 서비스에 대한 콘텐츠 이용 활성화 및 재활용을 통한 콘텐츠 생태계 투명화 및 효율성 향상화가 기대된다. 이외에도 미술 콘텐츠에 대한 블록체인 최초 연구로서 학문적 기반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물을 통해 미술관에서의 미술콘텐츠 블록체인 서비스 프레임워크 구축으로 인하여 박물관, 미술관을 비롯한 정부기관 등에서 미술 관련 블록체인 서비스로 활용 가능하며, 향후 글로벌 미술콘텐츠 강국 진입의 동력원으로서 미술콘텐츠가 향후 글로벌 한류 콘텐츠 강국 진입의 동력원으로서 기반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1, 2차년도 결과물을 통해 미술콘텐츠의 합법적 활용을 통한 이용자 중심의 개방형 서비스 활성화 및 신규 수익모델 발굴 및 미술콘텐츠 블록체인을 통한 창작 작가들의 저작권 산정/정산/분배의 투명화, 합리화를 통한 투명한 사회 조성 가능한 법/제도의 기반이 될 학문적 접근이 되었다. 3차년도 결과물을 통해 국내 미술관의 미술콘텐츠 DB 구축 및 블록체인 NFT 서비스 체계 확립을 통한 차세대 미술 R&D 블록체인 서비스 시스템 구조 확립과 기반이 조성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국내 미술관에서 창출되는 매년 수십만점 이상의 신규 창작 미술작품에 대한 미술콘텐츠 수익창출과 건전하고 투명한 저작권 확립 체계 확립, 2차 콘텐츠의 합법적 활용을 통한 이용자 중심의 개방형 서비스 활성화 및 블록체인 기반하의 신규 수익모델 발굴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미술관에서의 블록체인 기반하의 미술콘텐츠 유통 서비스 시스템은 체계화된 미술 콘텐츠 저작권 관리 및 이용활성화를 통해 신규 미술 콘텐츠 창작 작가들의 저작권 산정/정산/분배의 투명화, 합리화 및 권리 보호, 자생력 확보를 할 수 있는 정책/제도/법적 접근이 가능한 데이터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미술관의 미술콘텐츠의 소비․배포 체계는 One-Source Multi-Use 형태로 급속히 전문화․고도화․다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미술관은 비영리기관으로 정부보조금으로 일부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재정적 자립도가 매우 낮은 기관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술관의 자립도와 경영개선에도 많은 보탬이 될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미술 창작자들한테는 불투명한 미술작품에 대한 정산, 분배에 투명한 가치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며, 본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미술 블록체인의 선도적인 연구가 될 것이다.
  • 색인어
  • 미술관, 미술콘텐츠, 저작권, 블록체인 서비스, 대체불가능토큰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