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宋明理學에서 순자철학에 대한 평가와 수용 -주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cceptance of Xunzi's Philosophy in Song-ming Confucianism - Centered by Chu-tzu -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8-S1A5B5A07-2018S1A5B5A07072530
선정년도 2018 년
연구기간 1 년 (2018년 11월 01일 ~ 2019년 10월 31일)
연구책임자 김정희
연구수행기관 전북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과제는 중국 송명이학에서 순자철학에 대한 평가와 수용 양상을 주자를 중심으로 분석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먼저 연구계획서에 중국 유학의 발전사를 짧게 정리하였다. 중국 유학 역사의 흐름에서, 순자는 인간 본성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것으로 여겨져서 여러 유학자들에게 비판을 받아왔다. 또한 당대의 한유로부터 송․명대의 理學으로 이어지는 사상사적 흐름 가운데 공자에서 맹자로 이어지는 ‘도통설’이 사상계의 ‘일반적 인식’으로 공고히 자리 잡음으로써 순자사상은 마치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져 버린 듯 했다. 주자는 韓愈의 도통 계보에서 공자 뒤에 曾子․子思를, 맹자 뒤에 程顥․程頤를 추가하였는데, 여기서도 순자는 도통에서 배제되었다. 특히 ‘성악설’을 주장했다는 이유로 순자사상은 유가의 정통에서 벗어난 ‘이단’과 유사한 학설로 평가되었고, 이러한 이해는 宋․明代와 조선시대에서 하나의 ‘표준’으로 자리 잡고 역사적인 영향력을 행사했다.
    주자철학은 송명이학의 大宗임은 확실하다. 주자의 이기론은 공맹의 심성론과 󰡔중용󰡕․󰡔역전󰡕 형이상학의 원만한 결합이라고 평가할 수도 있다. 선진시대에 󰡔논󰡕ㆍ󰡔맹자󰡕와 󰡔중용󰡕 그리고 󰡔역전󰡕은 하나의 이론 체계로 정립되지 못하다가, 송명유학에 이르러 하나의 이론으로 융합되어 도덕형이상학 체계로 구성된다. 주자는 󰡔논맹󰡕의 심성과 󰡔중용󰡕․󰡔역전󰡕의 천명 그리고 태극 음양을 기초로 주렴계의 太極과 乾元, 그리고 장횡거의 氣, 정이천의 理氣論을 종합하였다.
    순자와 주자 도덕론 사유체계를 심학(맹자학 계통)과 비교해 보면, 주지적이고 경험적인 사유 태도를 취하고 있으며, 심과 리의 관계를 주객대립으로 보았다는 점, 그리고 爲學의 방법과 과정(積習․積累), 그리고 예의와 성리에 대한 인식 조건으로서의 허일정(虛壹靜)과 거경함양(居敬涵養)에 대한 강조 등, 선험적인 도덕이성의 계발 중심이 아닌 후천적인 학습 중심의 태도를 견지하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그러나 천인관계와 성론은 확연하게 다르고, 통류(統類)와 통체지리(統體之理-一理 혹 太極)의 성격도 매우 유사하지만 완전하게 일치한 것은 아니다.
    주자의 도덕론에는 맹자와 순자의 사상이 모두 내재되어 있다는 것이 연구자의 판단이다. 분명 양자 사이에 우열과 본말의 차이는 있을 것이다. 주자의 도덕론을 연구한 학자들은 이 부분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질 것이라 판단한다. 이에 중국 송명이학에서 순자철학에 대한 평가와 수용 양상을 분석하는 것은 시대적으로 꼭 필요한 작업이다. 그러므로 연구자는 ‘중국 송명이학에서 순자철학에 대한 평가와 수용’을 주자를 중심으로 분석할 것을 이 연구의 목적으로 삼는다.
    연구자가 이 주제를 설정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蔡仁厚는 󰡔孔孟荀哲學󰡕의 제9장 2절에서 순자와 주자를 자세하게 비교하였다. 이동희는 “순자의 인식을 위한 마음의 수양은 성리학의 수양방법인 ‘居敬’이나 ‘涵養’과 그 목적을 같이한다. 주자는 ‘格物致知’와 ‘居敬涵養’을 수레의 두 바퀴와 새의 두 날개처럼 중요시하였다”라고 하며 순자와 주자를 비교하는 논문을 썼다. 김철호도 “… 이 점에서는 주자는 그가 비판한 순자를 닮아있다”라고 밝혔다. 황갑연은 “순자와 주자철학의 사유구조가 심과 공부론 측면에서 보면 양자의 의식구조는 본질적으로 일치한다”라고 밝혔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이 순자와 주자의 심론 비교나 공부론에 대한 충실하게 답변을 하였지만, 사상의 비교에 한계를 두어 중국 유가철학 발전사에서 순자철학에 대한 평가와 수용을 전체적으로 파악하지 못했다는 아쉬움을 갖게 하였다. 사상가와 사상가의 이론을 비교 분석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연구자는 시대적 흐름에 따른 사상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함을 발견하였다.
    최근에 이경근의 「당송 문인학자의 순자에 대한 평가 및 조선시대 순자 수용 연구」와 정재상의 「청대 유학과 순자의 재인식」 그리고 정재상의 「조선시대의 순자 이해와 수용」과 신두환의 「한국의 󰡔순자󰡕 수용양상에 대한 연구」 등의 논문이 나와 있기는 하다. 그러나 송명리학에서 순자철학의 수용 양상을 연구한 논문이 거의 없을뿐더러, 중국 유가철학 발전사에서 순자철학의 전개와 수용을 연구한 논문은 한 편에 불과하다.
    그러므로 연구자는 순자철학의 진면목을 드러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순자철학이 송명이학에 어떻게 전개되고 수용되었는가를 체계적으로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연구자는 선행연구들이 갖는 단순한 학자들 간의 비교를 벗어나 송명이학에서 순자사상에 대한 평가와 수용 양상을 연구하는 것은 발전적 연구 주제이기에 이 연구가 필요함을 밝힌다.
  • 기대효과
  • ‣ 연구결과의 학문적‧사회적 기여도

    연구결과에서 얻게 될 기대효과는 앞서 제시한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을 통해 드러날 것이다. 연구자는 유교의 정통이 만약 맹자가 아닌 순자로 이어졌더라면 유교가 지배해 온 중국 사회가 얼마나 달라졌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그렇게 되었다면 서양에 못지않은 과학 문명을 건설했을까? 연구자는 ‘송명이학에서 순자철학에 대한 평가와 수용’을 주자의 철학을 통해 고찰할 것이다. 먼저 본 연구과제는 순자에 대한 기존 선행연구들과는 다른 차원에서 접근함을 의미로 삼는다. 유가철학사에서 순자학에 대한 일반적 평가를 송명이학 이전과 이후로 분류하여 살펴본 후, 순자와 주자의 도덕론에서 핵심 이론과 개념의 유사성에 관한 종합적인 비교‧분석을 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순자와 주자를 연구하는 철학자들에게 미흡하지만 도움이 되기를 원하며, 순자와 주자, 그리고 송명이학을 연구하는 학자들이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연구 논문이 되기를 희망한다.
    유학은 본래 ‘홀로’의 철학이 아니다. 제자백가와의 천인․예법 등의 범주에 대해서 ‘爭名’을 한 결과 정립된 것이다. 내부적으로 한대의 금고문논쟁, 송명대의 주륙논쟁과 주자철학․양명학의 논쟁이 있었다. 불교가 유입된 이후 유학은 불교와 도교와의 대립과 통일과정을 거치며 신유학의 이론체계를 형성하였다. 또한 근현대 서구학문이 유입되면서 동서 문화 논쟁 등을 거치며 이론과 실제에서 보완과 발전을 거듭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도 유교의 본질은 시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이 아니며, 이른바 一以貫之하는 도가 없을 수 없다. 즉 유교에서는 인간의 도덕성에 기초하여 자발성의 근거를 확보하는 동시에 대상과의 조화로운 관계를 추구한다. 이러한 면에서 순자는 제자사상의 집약자이면서 선진시기 유학의 종결자로서의 보기 드문 역사적 위치를 확보하였으므로, 순자는 시대의 요구에 응답한 철학자임을 다시한번 밝히고자 하는 것이 연구자의 뜻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송명이학에서 순자철학에 대한 평가와 수용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단초를 마련하고 이해하는 것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결과의 활용 방안

    본 연구과제의 연구결과를 통해 얻게 되는 기대효과 못지않게, 이를 통해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할 수 있다. 먼저 송명이학 이전의 순자학과 송명이학 이후의 순자학에 대한 평가와 수용을 이해하여, 중국 유학 발전사에서 순자학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기초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순자와 주자의 도덕론을 밝히는 것은 두 사상가의 철학적 비교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송명이학에서 다루어지는 사상을 이해하는 데 필수가 될 것이다. 그리고 순자의 사상이 주자에게 미쳐진 영향의 중요도를 살피면 중국 송명이학 뿐 아니라 중국 유학 발전사에서 다루어지는 사상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 연구목적

    본 연구과제는 중국 송명이학에서 순자철학에 대한 평가와 수용 양상을 주자를 중심으로 분석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연구자는 순자철학의 진면목을 드러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순자철학이 송명이학에 어떻게 전개되고 수용되었는가를 체계적으로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연구자는 선행연구들이 갖는 단순한 학자들 간의 비교를 벗어나 송명이학에서 순자사상에 대한 평가와 수용 양상을 연구하는 것은 발전적 연구 주제이기에 이 연구가 필요함을 밝힌다.

    ‣ 연구 내용 및 범위

    연구자는 이 사업을 통하여 송명이학에서 순자철학의 평가ㆍ수용 양상을 주자를 중심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전개할 것이다.

    먼저 유가철학사에서 순자학에 대한 일반적 평가를 송명이학 이전과 이후로 분류하여 분석한다.
    다음은 순자와 주자의 도덕론에서 핵심 이론과 개념의 유사성에 관한 종합적인 비교ㆍ분석을 한다.
    첫째, 순자의 천론과 주자의 태극의 개념을 분석한다.
    둘째, 순자의 法ㆍ類ㆍ統類, 그리고 주자의 器ㆍ殊別之理ㆍ統體之理를 비교ㆍ분석한다.
    셋째, 순자와 주자의 심성론을 비교ㆍ분석한다. 먼저 자연적 본성(性惡說)과 도덕적 본성(性卽理)의 차이를 찾아 볼 것이며, 인지적 주체로서의 심론을 비교ㆍ분석한다.
    넷째, 순자와 주자의 공부론인 허일정과 거경궁리를 비교ㆍ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순자도덕론의 현대적 의의를 살핀다.

    연구자는 공부를 하는 과정에서 몇몇 논문이나 서적에 순자와 주자를 비교한 내용들이 짧게 정리되어 있는 것을 확인했지만 주자 도덕론의 성격이 본질적으로 맹자학 계통이 아닌 순자학 계통에 가깝다는 점을 규명한 내용은 충분하지 못하였다고 생각한다. 사실 두 사상가의 도덕론으로 순자와 주자의 유사성을 파악하는데 일정 부분 제한이 있다는 것을 안다. 사상 형성의 우열을 따진다는 것은 매우 위험하기에 전면적인 비교 분석을 할 수 없음을 안다. 그러나 순자와 주자의 도덕론은 두 사상가의 도덕의식 구조가 완전히 다른 계통이 아님을 증명한다고 본다.

    ‣ 연구방법

    연구자는 이러한 연구 내용을 다음의 방법으로 분석할 것이다. 이 논문의 연구방법은 일단 인문학 연구의 일반적 방식인 문헌연구의 성격을 갖는다. 주제의 키워드와 관련한 각각의 원전과 주석서를 탐독하여 본지를 파악하고, 또 그로부터 현재까지의 각종 연구서들과 연구논문들은 2차 자료로 참고할 것이다. 연구자는 주로 󰡔순자󰡕의 직접 분석 방법을 취한다. 모종삼을 비롯한 현대 사상가들의 순자철학 專論書 가운데 객관적 시각을 유지한 자료가 많다. 그래서 󰡔순자󰡕 가운데 순자의 직접 저술 부분을 일차 자료로 하고, 현대 사상가들의 순자 연구서를 2차 자료로 하여 연구자의 의도에 따라 재구성하는 방법을 택한다. 󰡔주자어류󰡕에 수록된 순자철학에 대한 주자의 평가를 보면, 긍정보다는 비평이 주를 이룬다. 그 주요 내용은 심론과 공부론이 아니라 성론과 천론에 집중되어 있다. 연구자는 󰡔주자어류󰡕에 수록된 순자철학에 대해 주자의 평가를 분석할 것이며, 순자와 주자에 대한 많은 논문과 단행본을 참고로 이 연구에 참여할 것이다. 단지 연구자는 순자와 주자의 도덕철학만으로 제한할 것이며, 정치사상에 대한 부분은 추후 과제로 남길 것이다.
    위와 같은 내용 분석을 토대로 송명이학에서 순자철학에 대한 평가와 수용을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 과제의 연구 목표이다.

    ‣ 기대효과

    연구결과에서 얻게 될 기대효과는 앞서 제시한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을 통해 드러날 것이다. 순자는 제자사상의 집약자이면서 선진시기 유학의 종결자로서의 보기 드문 역사적 위치를 확보하였으므로, 순자는 시대의 요구에 응답한 철학자임을 다시한번 밝히고자 하는 것이 연구자의 뜻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송명이학에서 순자철학에 대한 평가와 수용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단초를 마련하고 이해하는 것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논문의 목적은 宋明理學에서 순자철학에 대한 평가와 수용을 주자를 중심으로 전개하려 함이다. 唐代의 한유로부터 宋明理學으로 이어지는 사상사적 흐름 중에 공자에서 맹자로 이어지는 도통설이 사상계의 일반적인 인식이 되었기 때문에 순자의 사상이 역사 속으로 숨었다. 󰡔주자어류󰡕에 수록된 순자철학에 대한 주자의 평가를 보면, 긍정보다는 비평이 주를 이루는데, 그 주요 내용은 심론과 공부론이 아니라 성론과 천론에 집중되어 있다. 그러나 필자는 성론과 천론을 제외한 다른 모든 사상의 맥은 맹자보다는 순자라고 생각한다.
    순자와 주자 사상의 유사하다는 것을 파악하는데 일정 부분 한계가 있다는 것을 안다. 사상 형성의 우열을 따진다는 것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전면적인 비교 분석도 쉽지 않다는 것을 안다. 그러나 필자는 宋明理學에서 순자철학의 수용과 평가를 주자를 통해 분석하여 주자가 왜 순자를 거부하고 맹자의 정통을 인정하였는가를 살필 것이며, 주자사상에 영향을 미친 순자사상을 검토하여 이질성과 동질성을 찾을 것이다.
  • 영문
  • This paper will explore how the philosophies of Xun Zi were evaluated and received in the field of Neo-Confucianism, particularly by Zhu Xi. Inspired by the writings of Han Yu, a Chinese writer during the Tang Dynasty, the theoretical branch of Daotong, which championed the philosophies of Confucius and Mencius, became the mainstream Confucian philosophy. As a result, the philosophies of Xunzi faded into the mists of history. According to Zhu Xi’s assessment of Xunzi’s philosophy recorded in the ancient Zhuziyulei text, he is more critical than complimentary of Xunzi. Zhu Xi’s criticisms primarily focus on the Theory of Human Nature and the Discourse on Heaven rather than the Theory of the Mind and Theory of Self-Cultivation. This author, however, believes that Xunzi, not Mencius, has a better grasp on the essence of all theories except the Theory of Human Nature and the Discourse on Heaven.
    Admittedly, there are certain limitations that hinder the exploration and examination of similarities between the philosophies of Xunzi and Zhu Xi -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superiority or inferiority between philosophies. This author also understands that an overall comparison/analysis is difficult to execute. Nevertheless, this author will analyze how the philosophies of Xunzi have been evaluated and received in Neo-Confucianism to identify the reason as to why Zhu Zi rejected the philosophies of Xunzi, while accepting the teachings of Mencius. Moreover, this author will review philosophies by Xunzi that influenced the philosophies of Zhu Xi, and compare their inheren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논문의 목적은 宋明理學에서 순자철학에 대한 평가와 수용을 주자를 중심으로 전개하려 함이다. 唐代의 한유로부터 宋明理學으로 이어지는 사상사적 흐름 중에 공자에서 맹자로 이어지는 도통설이 사상계의 일반적인 인식이 되었기 때문에 순자의 사상이 역사 속으로 숨었다. 󰡔주자어류󰡕에 수록된 순자철학에 대한 주자의 평가를 보면, 긍정보다는 비평이 주를 이루는데, 그 주요 내용은 심론과 공부론이 아니라 성론과 천론에 집중되어 있다. 그러나 필자는 성론과 천론을 제외한 다른 모든 사상의 맥은 맹자보다는 순자라고 생각한다.
    순자와 주자 사상의 유사하다는 것을 파악하는데 일정 부분 한계가 있다는 것을 안다. 사상 형성의 우열을 따진다는 것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전면적인 비교 분석도 쉽지 않다는 것을 안다. 그러나 필자는 宋明理學에서 순자철학의 수용과 평가를 주자를 통해 분석하여 주자가 왜 순자를 거부하고 맹자의 정통을 인정하였는가를 살필 것이며, 주자사상에 영향을 미친 순자사상을 검토하여 이질성과 동질성을 찾을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과제의 연구결과를 통해 얻게 되는 기대효과 못지않게, 이를 통해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할 수 있다. 먼저 송명이학 이전의 순자학과 송명이학 이후의 순자학에 대한 평가와 수용을 이해하여, 중국 유학 발전사에서 순자학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기초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순자와 주자의 도덕론을 밝히는 것은 두 사상가의 철학적 비교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송명이학에서 다루어지는 사상을 이해하는 데 필수가 될 것이다. 그리고 순자의 사상이 주자에게 미쳐진 영향의 중요도를 살피면 중국 송명이학 뿐 아니라 중국 유학 발전사에서 다루어지는 사상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송명이학ㆍ이기론ㆍ심성론ㆍ거경함양ㆍ허일정ㆍ인지심ㆍ도덕심ㆍ격물궁리ㆍ치지ㆍ 도통설ㆍ활연관통ㆍ통류ㆍ본연지성ㆍ기질지성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