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과업 전 계획과 과업구조가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말하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Task Planning and Task Structure on Korean EFL learners’ Spoken Performance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9-S1A5B5A07-2019S1A5B5A07084494
선정년도 2019 년
연구기간 1 년 (2019년 09월 01일 ~ 2020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안수진
연구수행기관 명지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지난 수십 년 동안 과업기반 언어교수법(Task-based Language Teaching: TBLT)이 제2언어 습득 연구(Second Language Acquisition: SLA)의 도구로서 관심을 받기 시작했으며 1980년대부터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졌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수업전략을 제공하였다. 또한 연구들은 과업의 난이도가 적절한 수준에서 선택된다면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비록 과업 복잡성(task complexity)에 대한 연구가 관심을 받아왔지만 실제 한국 영어교육 현장에서 다양한 말하기 과업유형이 각각의 언어 영역에 어떻게 투영되고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하고 이를 기반으로 언어 교사들이 어떻게 과업의 난이도를 조정하고 어떤 과업을 선택할 수 있는지를 다룬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 연구들에서 제2언어 학습자들의 말하기 과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두 가지 과업유형(과업 전 계획 활동, 과업구조)이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의 말하기 과업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유창성, 정확성, 복잡성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말하기 과업유형과 그것이 주어지는 상황에 따라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영어 소통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지, 또한 유창성과, 정확성, 복잡성이라는 세 가지 영역 사이의 적절한 균형을 이루기 위해서는 과업이 어떤 방식으로 설계되고 실행되느냐를 살펴보는 본 연구는 과업기반 영어교수법 고안의 기초가 될 것이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 다양한 과업유형과 과업설계에 따라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의 말하기 수행에 어떻게 효과를 미치는지 파악이 된다면 말하기 수업에 보다 다양한 활동 및 과업의 투입이 가능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더욱이 이를 기반으로 언어 교사들은 지정한 언어 목표에 따라 과업유형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며, 학습자 수준에 맞는 과업을 설계하고 평가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한국 4년제 대학교에서 연구자가 강의를 맡게 될 영어회화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업 전 계획과 과업구조가 그들의 영어 말하기의 유창성, 정확성, 복잡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참여자들은 제시된 일련의 연속적인 그림을 보고 그 내용에 대해 기술하는 말하기 과업(narrative task)을 수행한다. 서로 다른 두 가지 계획 조건 하(과업 전 10분의 계획시간을 준 경우와 아닌 경우)에서 서로 다른 수준의 줄거리라인 구조(잘 구조화된 과제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가진 과업을 수행하게 된다. 본 연구는 학기 중 정규수업 시간을 활용하여 진행되며 참여자들은 네 가지 다른 과업조건을 무작위 순서로 수행하게 된다. 녹음된 발화 데이터는 전사되어 유창성 정확성 복잡성의 세 가지 측면에서 효과 차이를 비교한다. 과업 전 계획과 과업구조를 각기 다른 네 가지 조건으로 함께 결합했을 때 어떤 조건이 종속 변수인 유창성, 정확성, 복잡성에 가장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일원분산 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사전 과업 계획(계획있음 대. 계획 없음)과 과업 구조(잘구조화된 구조 대. 느슨한 구조)가 34명의 한국 EFL 대학교 신입생의 영어 이야기 다시 말하기에 미치는 효과를 유창성, 정확성, 복잡성 측면에서 조사했다. 데이터는 발화율, 연속발화 평균길이, 절 정확도, 구문 복잡성 및 어휘 다양성을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그 결과, 사전 과제 계획을 통해 학습자가 내용에 집중하게 되어 학습자의 말하기 발화율이 향상되었다. 둘째, 다양한 유형의 과업 조건은 학습자의 정확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느슨하게 구조화된 과업은 어휘적 다양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번 연구는 한국의 영어교실에서 다양한 유형의 말하기 과업이 학습자의 말하기 수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 격차를 해소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영문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re-task planning(planning vs. no planning) and task structure(tightly vs loosely structured) on the story retelling performance of thirty-four Korean EFL freshmen in terms of fluency, accuracy, and complexity. The data was measured using speech rate, mean length of runs, clause accuracy, length of AS unit, and lexical variety. The results showed that pre-task planning has led learners to focus their attention on the content, resulting in improved speech rate of learners. Second, different types of task condition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learners' accuracy. Third, a loosely structured task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exical variety of learners.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that it tried to fill the research gap on how various types of speaking tasks affect learners' task performance in an English classroom in Korea.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연구는 사전 과업 계획(계획있음 대. 계획 없음)과 과업 구조(잘구조화된 구조 대. 느슨한 구조)가 34명의 한국 EFL 대학교 신입생의 영어 이야기 다시 말하기에 미치는 효과를 유창성, 정확성, 복잡성 측면에서 조사했다. 데이터는 발화율, 연속발화 평균길이, 절 정확도, 구문 복잡성 및 어휘 다양성을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그 결과, 사전 과제 계획을 통해 학습자가 내용에 집중하게 되어 학습자의 말하기 발화율이 향상되었다. 둘째, 다양한 유형의 과업 조건은 학습자의 정확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느슨하게 구조화된 과업은 어휘적 다양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과업기반 언어교육 및 학습과 관련된 주요 논의 중 하나는 학습자가 유창성, 정확성 및 복잡성의 경쟁 목표 사이에 어떻게 주의집중의 비중을 두는지 알아내고 어떻게 다른 영역 간의 균형을 확립할 수 있는 말하기 활동을 끌어낼 수 있느냐이다. 따라서 영어학습자들의 말하기 세 가지 측면이 동시에 개선될 수 있도록 학습자의 인지 능력을 극대화할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다양한 과제기반 연구가 이루어져야하고 이번 연구는 한국의 영어교실에서 다양한 유형의 말하기 과업이 학습자의 말하기 수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 격차를 해소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한국인 대학생 영어학습자가 언어의 의미 측면과 아울러 형태 측면에도 주의를 효과적으로 기울이도록 하여 언어 사용의 유창성, 정확성 및 복잡성 측면에서 더 나은 말하기 수행을 이끌게 하기 위해서는 과업 전 충분한 계획시간과 함께 학습자들에게 좀 더 친숙한 주제에 많은 사건, 배경, 전경을 가지고 있는 이야기를 선정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더욱이 과업 전 계획 활동으로 언어적 성과를 끌어내기 위해서는 의미, 즉 이야기의 내용에 대한 부담이 자유로워야 한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 다양한 과업의 유형과 그것이 주어지는 상황에 따라 한국인 영어학습자들의 말하기 수행에 어떻게 효과를 미치는지 파악이 된다면 말하기 수업에 더욱 다양한 활동 및 과업의 투입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더욱이 이를 기반으로 언어 교사들은 지정한 언어 목표에 따라 과업 유형의 난이도를 조정할 수 있을 것이며, 학습자의 단계별 지도 설계와 평가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과업 전 계획, 과업구조, 유창성, 정확성, 복잡성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