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온라인 의사소통 교육
- 모바일 메신저 단체 대화방의 대화분석을 중심으로 - Online Communication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 Focused on the Analysis of Group Chat Data from Instant Mobile Messenger -
이 연구는 한국어교육 관점에서 외국인 유학생들에게 실질적이며 유용한 교육이 제공되어야 한다는 생각에서 출발한다. 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공동 과업 수행을 위한 단체 대화방에서 외국인 학부생들의 의사소통 양상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교육적 함의를 찾는 것이 ...
이 연구는 한국어교육 관점에서 외국인 유학생들에게 실질적이며 유용한 교육이 제공되어야 한다는 생각에서 출발한다. 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공동 과업 수행을 위한 단체 대화방에서 외국인 학부생들의 의사소통 양상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교육적 함의를 찾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 목표는 크게 세 가지로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외국인 학부생이 포함된 팀플레이 목적의 단체 대화방 대화를 분석하여, 이러한 대화방에서 나타나는 의사소통의 특징을 밝히는 것이다. 실질적인 교육을 위해서는 이러한 대화방이 갖는 특징을 먼저 정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둘째, 단체 대화방 대화에 나타나는 학습자 오류에 주목하여 그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다. 대화 분석 외에 학습자의 메타 대화 분석 및 심층면접도 실시하여 화자의 발화 의도, 오류 원인, 전략 등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양상을 정밀히 분석하고자 한다. 셋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온라인 의사소통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한국어로 의사소통하여 공동 과업을 원활히 수행한다는 것은 곧 한국어를 학문 탐구와 사고의 매개 언어로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능력은 외국인 유학생들에게 필수적인 능력인 만큼 이들에게 실제적인 교육적 지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앞으로 국내 학령기 인구의 감소로 인해 대학에서 외국인 유학생 비율은 더 높아질 것이다. 그런데 이들에 대한 양질의 교육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학업 의 중도 포기, 한국(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 증가 등 여러 가지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이들이 한국 대학이라는 학문 공동체에서 원활히 학문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한 교육적 지원이 필요하다. 외국인 학생들에게 가장 어려운 문제는 원활한 의사소통이다. 그런데 최근 의사소통 방법이 다양하고 복잡해짐에 따라 한국어 학습자에게도 새로운 의사소통능력이 요구되고 있다. 즉 대면 대화를 넘어서 모바일 메신저상의 대화에서도 적절한 의사소통 능력이 필요한 것이다. 대부분의 한국인이 사용하는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 톡은 이제 외국인 학생들에게도 사용 불가피한 의사소통 수단이 되었다. 한국 대학에 재학 중인 유학생의 경우, 인간관계 뿐 아니라 학업을 위한 공동 과업 수행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한 수단이 된 것이다. 그런데 모바일 메신저상의 대화는 구어적 요소와 문어적 요소를 부분적으로 모두 갖추고 있으며, 여기서만 사용되는 언어 특징도 존재한다. 또 비(준)언어적 수단이 사용되지 않아 쉽게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으며 온라인 언어의 특징으로 인한 문제도 간과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초성 표현 ‘ㅋㅋ,ㅇㅋ’를 부적절하게 사용해 의도치 않은 무례를 범할 수 있다. 학생들은 팀플레이 과정에서 많은 스트레스를 받으며 이는 의사소통의 문제에서 기인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이 부분이 바로 외국인 학습자의 적절한 의사소통 능력이 요구되는 지점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실제적인 필요성에서 출발한다. 대학은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에서 원만히 생활하고 학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실제적인 도움을 주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유용한 기초연구들이 뒷받침되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외국인 학부생의 특징을 고려해 이들에게 초점이 맞춰진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교육이 정교화 되고 체계화 되기 위해서는, 교육 대상을 독립된 하나의 군으로 분리해야 그 대상만의 특징이 부각되고 이를 고려한 합리적인 교육 방안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이들이 학문목적 학습자 군에 속하지만 숙달도와 상관없이 ‘외국인 학부생’이라는 공통된 특성을 지닌 점을 포착하여 이들을 독립된 연구 대상군으로 규정하고, 이들의 실제 언어 사용 양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의사소통교육 차원에서 실제 대화를 분석하는 것은 매우 유용하다. 언어교육에서 대화 분석은 아주 중요한 연구 분야인데,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온라인 대화를 포함해 자연스러운 실제 대화를 분석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다. 최근에는 온라인 대화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대화분석은 거의 시작도 되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고는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 개발을 위해 실제 온라인 대화 자료를 분석하고자 한다.
기대효과
이 연구는 지금까지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다루지 못했던 모바일 메신저 단체 대화방에서의 의사소통 양상을 구체화하여 밝히고, 분석 결과를 교육에 적용하는 최초의 성과가 될 것이다.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가 충실히 수행되 ...
이 연구는 지금까지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다루지 못했던 모바일 메신저 단체 대화방에서의 의사소통 양상을 구체화하여 밝히고, 분석 결과를 교육에 적용하는 최초의 성과가 될 것이다.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가 충실히 수행되어 연구자가 기대하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면 그동안 주목하지 못했던 모바일 메신저상에서의 의사소통 능력과 이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될 것이며,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다양한 후속 연구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일반적으로 한국어교육 분야는 언어교육이나 국어학 분야의 선행연구 성과를 받아들여 논의를 확장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인접 학문 분야에서도 모바일 메신저상의 언어에 대해 ‘의사소통’ 관점에서 접근한 논의는 아직까지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가 성공적으로 수행된다면 외국어교육, 국어교육, 커뮤니케이션학 등 인접 학문 분야에도 유의미한 선행연구로서의 역할을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 과정에서 산출될 것으로 예상되는 중간 성과물 중 ‘학습자 단톡방에서 수집한 실제 대화 사례’는 그 자체로도 실용적인 교육 자료가 될 것이다. 부자연스러운 가공 자료가 아닌 실제적이고 생생한 교육 자료를 학습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 사례를 담은 원자료를 활용하는 것은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효율적인 자료가 될 것이다. 넷째, 부적절한 의사소통을 수행한 학습자들에 대한 심층 인터뷰 결과는 실제로 현장에서 외국인 학생들을 교육하고 지도하는 교수자 및 대학 관계자들에게 유용한 참고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다섯째, 이 연구의 결과는 외국인 유학생들이 공동 학업 수행에 필수적인 온라인 대화 능력에 대해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동료 학생들(한국인 학생 및 외국인 학생)이 이들을 또는 서로를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 줄 수 있을 것이다.
연구요약
<연구 목적> 이 연구는 모바일 메신저상의 능숙한 의사소통 능력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공동 과업 을 위한 단톡방에서의 의사소통 양상을 다각도에서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공동 과업 수 ...
<연구 목적> 이 연구는 모바일 메신저상의 능숙한 의사소통 능력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공동 과업 을 위한 단톡방에서의 의사소통 양상을 다각도에서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공동 과업 수행을 위해 마련된 단톡방 대화의 특징은 무엇인가? (2) 학습자의 부적절한 의사소통 양상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3) 부적절한 대화자의 특징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4) 모바일 메신저상의 적절한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기 위한 효율적인 교육 방안은 어떻게 마련할 수 있는가? <연구방법> 예비조사를 통해 연구의 성공 가능성 및 연구 절차나 방법상의 문제를 진단하고, 본조사를 진행한다. 그리고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바람직한 의사소통 교육 방안을 제안한다. 1. 예비조사 조사는 2차에 거쳐 진행했으며 1차는 자료 분석 가능성 타진을 위한 대화분석이고, 2차는 메타 대화분석이었다. 실제 단톡방 10개를 수집해 7개 단톡방 대화를 자료로 선정했다. 예비조사는 유의미한 결론 도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절차상의 문제는 없었다. 본조사에서는 자료 수집 방법과 분석 방법의 문제를 보완할 것이며 심층면접도 추가한다. 2. 본조사 연구 절차는 다음과 같다. 자료 수집 → 대화 분석 → 학습자 메타 대화 분석 → 논의(판정자 및 조정자) → 심층면접 사례 선정 및 심층면접 →결과 분석 → 종합 논의(교육적 시사점 포함) (1)자료 수집: 외국인 학부생 100여 명을 대상으로 카톡의 ‘대화 내용 내보내기’ 기능을 통해 수집하고, 수업 중 진행할 메타 분석 자료도 함께 수집한다. (2)대화 분석: 공동 과업을 위한 단톡방 특징을 찾기 위해 3가지(인지적, 표현 방식, 상호작용)측면에서 분석하고, 교육적 측면을 고려해 부적절한 대화 오류에 초점을 맞춘다. 적절성 판정을 위해 판정자 3인과 조정자 2인을 구성해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인다. (3)메타 대화 분석: 분석 틀은 대화 분석과 동일하게 세 범주로 나눠 반구조화된 안내문을 활용한다. 자료는 엑셀 파일에 코딩하여 분석하고 유형화하며 2인의 전문가 논의를 포함한다. (4)심층면접: 발화의도, 상황, 태도 등을 포함해 부적절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다. 질문 틀은 개인적, 사회문화적 측면으로 양분하고, 세부적으로 ‘학습 유형과 전략, 성격, 사회문화, 언어 간 영향’의 4부분으로 구분해 학습자 특성에 따라 유연하게 진행하며 녹취해 분석한다. 3. 종합 논의(교육 방안 포함): 본조사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모바일 메신저 상의 대화 교육 방안을 제안한다. <연구내용(예비조사 결과)> (1) 공동 과업을 위한 단체 대화방 대화의 특징 일단 예비조사에서 분석한 대략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➀➁는 표현방식,➂➃는 인지, ➄⑥은 상호작용 측면에 해당한다. ➀ 최대한 예의를 지키려 하며 불편한 상황에서도 드러내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➁ 개인 톡에 비해 이모티콘, 기호, 초성표현이 적게 사용된다. 부드러운 분위기 등을 위한 전략으로 사용되는 듯한 데 외국인이 자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➂ 철저히 목적 달성 위주의 대화이며, 목적과 관련 없는 대화는 거의 없다. ➃ 논의가 이루어진 후에는 중간에 내용 정리 발화가 나타난다. ➄ 상호작용이 원활히 일어나지 않는다. ⑥ 대화를 회피하거나 참여에 소극적인 경향이 있다. (2) 단체 대화방에서의 부적절한 사례 분석 예비조사는 매우 적은 자료였으므로 유형화는 불가하지만 부적절한 발화를 통해 외국인 학생들의 구체적인 오류 양상을 대략 살펴볼 수 있었다. 여기서는 실제 자료를 제시하여 의도적인 높임법 사용 오류, 대화 교대 오류, 감탄사 ‘헐’의 사용 오류 사례를 분석했다. 본조사에서 보다 본격적으로 분석될 수 있을 것이다. (3) 메타 대화 분석 메타 분석은 연구자의 분석을 뒷받침하는 자료로 유의미했다. 다만 본조사는 반구조화 안내문을 더 구체적으로 준비할 필요가 있다. (4) 교육 방안 교육 내용과 교육 방법으로 나눠 제시한다. 교육 내용: 대화 예절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는 내용을 포함한다. 이 부분은 사례 분석과 메타 대화 분석 결과에 전적으로 기대어 기술될 것이다. 내용 선정의 원리 및 기준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한다. 선정기준은 좀 더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며, 세부 내용은 연구가 본격적으로 진행되면 보다 구체화될 것이다. 교육 방법: 이러한 단톡 대화의 특징을 이해하고, 이에 맞게 적절히 의사소통 하는 연습 장치를 마련한다. 대화의 성공과 실패 사례를 분석하여 스스로 깨닫게 하는 방법을 구안한다. 실제 사례를 활용해 흥미를 유발하고 과제(Tsk)를 기반으로 한 모둠활동 중심의 교수 학습 모형도 구성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무선 통신 인프라와 스마트폰의 발달로 모바일 메신저 중심의 소통이 일반화되면서 온라인 대화는 외국인 유학생들에게도 중요한 의사소통 방식이 되었다. 현재 대학 수업에서 자주 활용되는 팀 활동 역시 대부분은 온라인 대화를 통해 이루어진다. 팀 활동은 타인과 소통 ...
무선 통신 인프라와 스마트폰의 발달로 모바일 메신저 중심의 소통이 일반화되면서 온라인 대화는 외국인 유학생들에게도 중요한 의사소통 방식이 되었다. 현재 대학 수업에서 자주 활용되는 팀 활동 역시 대부분은 온라인 대화를 통해 이루어진다. 팀 활동은 타인과 소통하고 의견을 조정해 가며 소정의 목적을 달성해야 하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적지 않은 부담이 된다. 특히 학부 수업에서 소위 ‘팀플’이라 불리는 공동 과업 목적의 팀 활동은 점차 온라인으로만 수행되는 경향이 있다. 서로 얼굴도 모르는 채 팀원들과 온라인으로만 소통하여 결과물을 만들어내야 하는 경우도 많아졌다. 그런데 온라인 의사소통에는 언어 능력뿐만 아니라 유창한 비언어적 소통 능력과 화용 능력이 매우 중요하다. 또 여기에는 문화, 관습, 심리, 성격 등 사회문화적 요인과 정의적 요인도 관여한다. 따라서 온라인 의사소통 교육을 위해서는 다양한 측면을 고려한 섬세한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외국인 학부생들의 온라인 의사소통 양상을 살펴보고 교육적 함의를 찾아보았다. 먼저 학업 목적 단톡방 대화 분석 및 메타 대화 분석, 학습자 오류 사례 분석을 통해 이러한 대화방들의 특징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의사소통 관점에서 외국인 학부생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찾아 언어적 측면과 언어 외적 측면으로 구분해 제언을 덧붙였다.
영문
With th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nd smartphones, mobile-messenger-oriented communication has become a crucial communication method for foreign students. Nowadays, most of the group projects in college classes are done t ...
With th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nd smartphones, mobile-messenger-oriented communication has become a crucial communication method for foreign students. Nowadays, most of the group projects in college classes are done through online communication. Group projects with joint research tasks are a considerable burden on students because they have to communicate with others and coordinate opinions to achieve a certain purpose. In particular, group projects with joint research tasks(so-called "team-pl"s) in undergraduate classes tend to be carried out only online. In the case of large-scale lectures, it is often necessary to communicate only online and work with other team members without knowing each other's faces. In these situations, students need to acquire fluent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as well as fluent verbal communication skills. In addition, social and cultural factors such as culture, customs, psychology, personality and motivation are also closely involved. Therefore, online communication training requires a delicate approach that takes various aspects into account. This study started with the awareness of this issue and sought to examine how foreign undergraduates in Korea communicate online and to find educational implications. First, I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chat rooms through the analysis of academic group chat conversations, meta-talk analysis and the analysis of learner error cases.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foreign undergraduates from a communication perspective and suggested them separately in two aspects: linguistic and extralinguistic. In order to ensure that the learners' individual communication behaviors comply with socio-cultural language customs while creating new meanings according to the context of the situation, "education" is crucial. In order for foreign students to perform their studies successfully, education on online communication as well as offline communication needs to be systematically conducted.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모바일 메신저 중심의 소통이 일반화되면서 온라인 대화는 외국인 유학생들에게도 중요한 의사소통 방식이 되었다. 현재 대학 수업에서 자주 활용되는 팀 활동 역시 대부분은 온라인 대화를 통해 이루어진다. 팀 활동은 타인과 소통하고 의견을 조정해 가며 소정의 목적을 ...
모바일 메신저 중심의 소통이 일반화되면서 온라인 대화는 외국인 유학생들에게도 중요한 의사소통 방식이 되었다. 현재 대학 수업에서 자주 활용되는 팀 활동 역시 대부분은 온라인 대화를 통해 이루어진다. 팀 활동은 타인과 소통하고 의견을 조정해 가며 소정의 목적을 달성해야 하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적지 않은 부담이 된다. 특히 학부 수업에서 소위 ‘팀플’이라 불리는 공동 과업 목적의 팀 활동은 점차 온라인으로만 수행되는 경향이 있다. 서로 얼굴도 모르는 채 팀원들과 온라인으로만 소통하여 결과물을 만들어내야 하는 경우도 많아졌다. 그런데 온라인 의사소통에는 언어 능력뿐만 아니라 유창한 비언어적 소통 능력과 화용 능력이 매우 중요하다. 또 여기에는 문화, 관습, 심리, 성격 등 사회문화적 요인과 정의적 요인도 관여한다. 따라서 온라인 의사소통 교육을 위해서는 다양한 측면을 고려한 섬세한 접근이 필요하다. 먼저 학업 목적 단톡방 대화 분석 및 메타 대화 분석, 학습자 오류 사례 분석을 통해 이러한 대화방들의 특징을 알아보고 의사소통 관점에서 외국인 학부생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이 연구는 지금까지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다루지 못했던 모바일 메신저 단체 대화방에서의 의사소통 양상을 구체화하여 밝히고 이를 교육에 적용하는 최초의 성과가 될 것이다. 기대효과 및 활용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가 충실히 수행되어 연구자 ...
이 연구는 지금까지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다루지 못했던 모바일 메신저 단체 대화방에서의 의사소통 양상을 구체화하여 밝히고 이를 교육에 적용하는 최초의 성과가 될 것이다. 기대효과 및 활용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가 충실히 수행되어 연구자가 기대하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면 그동안 주목하지 못했던 모바일 메신저상에서의 의사소통 능력과 이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될 것이며,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다양한 후속 연구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일반적으로 한국어교육 분야는 언어교육이나 국어학 분야의 선행연구 성과를 받아들여 논의를 확장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인접 학문 분야에서도 모바일 메신저상의 언어에 대해 ‘의사소통’ 관점에서 접근한 논의는 아직까지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가 성공적으로 수행된다면 외국어교육, 국어교육, 커뮤니케이션학 등 인접 학문 분야에도 유의미한 선행연구로서의 역할을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 과정에서 산출될 것으로 예상되는 중간 성과물 중 ‘학습자 단톡방에서 수집한 실제 대화 사례’는 그 자체로도 실용적인 교육 자료가 될 것이다. 부자연스러운 가공 자료가 아닌 실제적이고 생생한 교육 자료를 학습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 사례를 담은 원자료를 활용하는 것은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효율적일 자료가 될 것이다. 넷째, 부적절한 의사소통을 수행한 학습자들에 대한 심층 인터뷰 결과는 실제로 현장에서 외국인 학생들을 교육하고 지도하는 교수자 및 대학 관계자들에게 유용한 참고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다섯째, 이 연구의 결과는 외국인 유학생들이 공동 학업 수행에 필수적인 온라인 대화 능력에 대해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동료 학생들(한국인 학생 및 외국인 학생)이 이들을 또는 서로를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 줄 수 있을 것이다.
색인어
온라인 의사소통, 모바일 메신저, 사례분석, 질적 연구, 팀프로젝트, 비언어적 의사소통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