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의 필요성 - 성소수자는 성소수자(sexual and gender minority; LGBT)는 성적지향(sexual orientation)과 성별정체성(gender identity)의 측면에서 소수자성을 띄는 동성애자, 양성애자 및 트랜스젠더 등을 포함하는 인구집단으로 성소수자의 인구규모는 전체 인구 ...
■ 연구의 필요성 - 성소수자는 성소수자(sexual and gender minority; LGBT)는 성적지향(sexual orientation)과 성별정체성(gender identity)의 측면에서 소수자성을 띄는 동성애자, 양성애자 및 트랜스젠더 등을 포함하는 인구집단으로 성소수자의 인구규모는 전체 인구의 약 2-4%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 국외의 선행연구들은 성소수자 정체성에 대한 사회적 낙인과 편견으로 인해 성소수자가 비성소수자에 비해 취약한 정신적 및 신체적 건강 상태를 경험하고 있음을 보고해 왔음. - 그러나, 한국의 경우 성소수자의 사회적 환경과 건강상태를 이해할 수 있는 학문적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며, 한국 성소수자 건강 연구의 활성화를 가로막는 장벽 중 하나는 일반 인구를 대상으로 한 국가 통계에 개인의 성소수자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는 문항이 포함되지 않은 현실임. - 2019년 12월 기준으로 한국에서 진행된 국가 대표성 있는 설문조사 중 성소수자 정체성 관련 문항이 포함된 자료는 참여자의 성적지향을 성행동 차원에서 측정한 <청소년건강행태조사>의 제2차 – 12차까지의 조사가 유일함. 2017년 해당 문항이 삭제되어 2017년 이후 현재까지 한국에서 수행되고 있는 국가 대표성 있는 설문조사 중 연구참여자의 성적지향 및 성별정체성 측정 문항을 포함하고 있는 자료는 전무한 상황임. - 이러한 상황에서 국가 대표성 있는 설문조사에 성적지향 문항을 측정하는 외국과 달리 한국의 성소수자 연구는 1) 성소수자의 인구 규모와 그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추산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2) 한국 성소수자의 건강 및 생활 실태를 비성소수자와 비교를 통해 엄밀하게 파악하는 것이 어렵고, 3) 연구주제 역시 개별 연구자 및 연구팀이 관심을 가지거나 수행가능한 범위로 크게 제한되고 있음. - 본 연구는 한국 성소수자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 국가 대표성 있는 설문조사에 성소수자 정체성에 대한 문항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다음의 구체적인 연구 목표를 수립하였음.
■ 연구목표 외국의 현황 및 문헌 조사, 국내 전문가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및 성소수자 및 비성소수자 일반인 대상으로 한 인지적 면접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근거 기반의 한국어 성적지향 및 성별정체성 측정 문항 개발 1) 국가통계에서의 성소수자 정체성 문항의 측정과 관련한 외국의 현황 조사 미국과 캐나다, 영국, 일본 등 4개국을 대상으로 국가(또는 연방) 수준에서 수집되는 개인 대상의 통계 중 성적지향 및 성별정체성 측정 문항이 포함된 조사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각 문항은 어떤 방식으로 구성되어있는가를 조사할 것임. 2) 한국어 성소수자 정체성 문항 개발을 위한, 성소수자 정체성 문항의 개발 및 측정과 관련한 외국의 문헌 검토 성소수자 정체성 문항 개발 및 타당도 평가에 관한 연구논문과 성소수자 정체성 문항을 개발하고, 해당 문항을 포함 한 조사 수행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에 관한 모범사례와 가이드라인 등을 검토할 것임. 문헌 검토 결과를 종합하고 정리하여, 한국의 사회문화적 맥락에 맞는 한국어 성소수자 정체성 문항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것임. 3) 외국의 현황조사 및 문헌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성소수자 정체성 문항 개발. 외국의 현황과 문헌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팀에서 한국어 성적지향 및 성별정체성 문항의 초안을 마련할 것임. 성소수자 연구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수행하여 개발 문항의 내용 타당도를 평가하고 개선점을 확인할 것임. 성소수자 및 비성소수자 일반인을 대상으로 인지적 면접조사(cognitive interviewing)을 수행하여, 일반인이 문항을 명료하게 이해하고 정확한 응답을 할 수 있도록 문항을 개선할 것임.
기대효과
본 연구는 개인의 성소수자 정체성을 묻는 문항과 관련된 해외의 국가 통계와 기존 문헌들을 검토한 내용을 바탕으로 국가대표성을 지닌 국내 설문조사에 포함될 수 있는 성적지향 및 성별정체성 관련 문항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학문적, 정책 ...
본 연구는 개인의 성소수자 정체성을 묻는 문항과 관련된 해외의 국가 통계와 기존 문헌들을 검토한 내용을 바탕으로 국가대표성을 지닌 국내 설문조사에 포함될 수 있는 성적지향 및 성별정체성 관련 문항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학문적, 정책적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 학문적 기대효과 본 연구를 통해 성소수자 정체성과 관련한 한국어 문항을 개발하여 국가대표성을 지닌 국내 설문조사에 이를 포함시킬 것을 제안하는 논문을 출판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국가대표성 있는 설문조사에 성소수자 정체성 관련 문항이 필요함을 제기하기 위해 국내에서 출판되는 첫 연구로, 해외에서 수행되는 국가 통계에 성소수자 정체성 관련 문항이 포함되어 있는지 그 현황을 파악하고, 기존에 출판된 문항 개발과 관련하여 조사한 문헌들을 검토하는 작업을 기반으로 한다. 미국, 캐나다 등 전 세계적으로 설문조사에 성적지향 및 성별정체성을 묻는 문항을 포함하는 추세이며, 이를 바탕으로 성소수자 인구집단을 파악할 수 있게 되어 관련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춰, 이 논문은 국민건강영양조사, 한국복지패널 등 국가대표성 있는 설문조사에 참여자의 성적지향 및 성별정체성을 묻는 문항을 포함할 것을 제안하고자 하고, 이를 통해 사회적 소수자 집단인 성소수자의 건강에 대한 학문적 관심을 증진시키고자 한다. 또한, 향후 성소수자 정체성 관련 문항을 포함한 국가대표성을 지닌 대규모 설문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편의표집 등 기존 연구들의 한계점을 극복하는 양질의 연구를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정책적 기대효과 한국에서 수행되는 대부분의 설문조사는 성소수자 정체성과 관련하여 성적지향 및 성별정체성 문항이 부재하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의 부재로 인해 한국에 거주하는 성소수자 인구집단의 규모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 집단이 정책적으로 어떠한 욕구를 지니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본 연구의 결과물로 제시될 성소수자 정체성 관련 문항이 국가대표성 있는 설문조사에 포함되어 실제로 조사가 수행된다면, 성소수자 인구집단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최근 국내에서 출판된 연구에 따르면, 성소수자에 대한 혐오가 만연한 사회에서 이들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이 일반인구집단보다 취약한 수준이다. 본 연구가 이러한 상황에서 성소수자의 인권을 보장하고 이들의 건강을 증진하기 위해서 한국 사회에 어떠한 정책적 대안이 필요한지에 대해 논의할 수 있는 초석을 마련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연구요약
■ 연구목적 외국의 현황 및 문헌 조사, 국내 전문가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및 성소수자 및 비성소수자 일반인 대상으로 한 인지적 면접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근거 기반의 한국어 성적지향 및 성별정체성 측정 문항 개발.
■ 연구내용 ○ 연구목표 1. 국가통계에서의 성소 ...
■ 연구목적 외국의 현황 및 문헌 조사, 국내 전문가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및 성소수자 및 비성소수자 일반인 대상으로 한 인지적 면접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근거 기반의 한국어 성적지향 및 성별정체성 측정 문항 개발.
■ 연구내용 ○ 연구목표 1. 국가통계에서의 성소수자 정체성 문항의 측정과 관련한 외국의 현황 조사 1) 연구내용 미국과 캐나다, 영국, 일본 등 4개국을 대상으로 국가(또는 연방) 수준에서 수집되는 개인 대상의 통계 중 성적지향 및 성별정체성 측정 문항이 포함된 조사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각 문항은 어떤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는가를 조사 2) 연구방법 - 각국의 통계청 웹페이지와 관련 보고서 및 연구를 참고하여 성적지향 및 성별정체성 관련 문항이 포함된 조사를 목록화 - 목록에 포함된 조사의 설문지를 수집, 각 설문지에서 측정하고 있는 성적지향 및 성별정체성 문항의 내용 검토 - 각 문항의 측정방식 등 설문지 간의 공통점 및 차이점을 분석 및 정리 ○ 연구목표 2. 성소수자 정체성 문항의 개발 및 측정과 관련한 외국의 문헌 검토 1) 연구내용 성소수자 정체성 문항개발과 관련한 외국의 선행 문헌 검토하고 정리하여, 한국어 문항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 2) 연구방법 성소수자 정체성 문항 개발 및 타당도 평가에 관한 연구논문과 성소수자 정체성 문항을 개발하고, 해당 문항을 포함 한 조사 수행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에 관한 모범사례와 가이드라인 등을 검토 ○ 연구목표 3. 한국어 성소수자 정체성 문항 개발 1) 연구내용 성소수자 및 비성소수자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국가 대표성 있는 설문조사에서 활용가능한 한국어 성적지향 및 성별정체성 측정 문항 개발 2) 연구방법 - 외국의 현황 및 선행문헌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팀 내부 논의를 통해 한국어 성ㅈ거지향 및 성별정체성 문항 초안 마련 - 전문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문항의 내용 타당도 평가: 개발 문항의 각 항목이 성적지향 및 성별정체성의 개념을 명료하게 포괄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문항의 내용타당도와 관련한 개선점을 파악하기 위해 사회과학 분야에서 성소수자 연구를 수행한 경험이 있는 연구자 3인과 성소수자 단체 활동가 3인을 섭외하여 약 2시간 가량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 - 성소수자 및 비성소수자 일반인 대상 인지적 면접 조사(cognitive interviewing): 성적지향 및 성별정체성 문항에 대한 설문조사 참여자의 응답의 질을 평가하고 문항이 개발자가 의도한 정보를 적절히 수집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성소수자 및 비성소수자 일반인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인지적 면접 조사를 수행. 비성소수자 4집단(20-45세 및 45-70세의 남녀 그룹으로 구분, 총 24명) 성소수자 2집단(동성애자 및 양성애자 8명, 트랜스젠더 4명, 총 12명)을 대상(총 36명) - 전문가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및 일반인 대상 인지적 면접 조사를 통해 파악된 개선점을 수정한 한국어 성적지향 및 성별정체성 측정문항 최종 확정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본 연구는 성소수자 정체성 측정문항과 관련한 국내외 현황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성적지향 및 성별정체성 측정문항을 제안하고자 했다. 미국과 캐나다, 영국의 현황을 검토한 결과, 각 국가의 국가대표성 있는 설문조사 31개에 성적지향 또는 성별정체성 문 ...
본 연구는 성소수자 정체성 측정문항과 관련한 국내외 현황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성적지향 및 성별정체성 측정문항을 제안하고자 했다. 미국과 캐나다, 영국의 현황을 검토한 결과, 각 국가의 국가대표성 있는 설문조사 31개에 성적지향 또는 성별정체성 문항이 포함되어 있었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통계청 조사통계 중 전국의 개인 및 가구를 대상으로 한 129개의 설문조사 중 2021년 현재 참여자의 성적지향 및 성별정체성 문항을 측정하고 있는 조사는 전무했다. 연구팀은 선행 연구의 권고와 국외 설문조사의 문항을 검토하여 한국어 성적지향 및 성별정체성 측정문항을 개발하고, 6명의 전문가 자문과 연구팀 논의를 거쳐 확정된 안을 제안했다. 한국 성소수자의 건강에 대한 과학적 이해와 이를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적 개입을 위하여 향후 국가가 수행하는 설문조사에 성소수자 정체성을 측정하는 문항이 포함될 필요가 있다.
영문
This study aimed to review current conditions of sexual orientation and gender identity measurements included in national-level population-based surveys of Korea and foreign countries and suggest the Korean version of the measurements based on the rev ...
This study aimed to review current conditions of sexual orientation and gender identity measurements included in national-level population-based surveys of Korea and foreign countries and suggest the Korean version of the measurements based on the review.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surveys of the United States, Canada, and the United Kingdom, we found that a total of 31 surveys have included questions assessing participants' sexual orientation and/or gender identity. In Korea, however, no survey has assessed participants' sexual orientation and gender identity among 129 nationally representative surveys produced by Statistics Korea, as of 2021. The research team developed a set of Korean sexual orientation and gender identity measurements based on the suggestions from previous literature and the review of questions included in foreign surveys and suggested a final version through a process of six experts’ consultations and internal discussions. For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health of the Korean sexual and gender minority populations and policy intervention based on the understanding, it is necessary to include questions measuring participants' sexual orientation and gender identity in national representative surveys.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본 연구는 성소수자 정체성 측정문항과 관련한 국내외 현황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성적지향 및 성별정체성 측정문항을 제안하고자 했다. 미국과 캐나다, 영국의 현황을 검토한 결과, 각 국가의 국가대표성 있는 설문조사 31개에 성적지향 또는 성별정체성 문 ...
본 연구는 성소수자 정체성 측정문항과 관련한 국내외 현황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성적지향 및 성별정체성 측정문항을 제안하고자 했다. 미국과 캐나다, 영국의 현황을 검토한 결과, 각 국가의 국가대표성 있는 설문조사 31개에 성적지향 또는 성별정체성 문항이 포함되어 있었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통계청 조사통계 중 전국의 개인 및 가구를 대상으로 한 129개의 설문조사 중 2021년 현재 참여자의 성적지향 및 성별정체성 문항을 측정하고 있는 조사는 전무했다. 연구팀은 선행 연구의 권고와 국외 설문조사의 문항을 검토하여 한국어 성적지향 및 성별정체성 측정문항을 개발하고, 6명의 전문가 자문과 연구팀 논의를 거쳐 확정된 안을 제안했다. 한국 성소수자의 건강에 대한 과학적 이해와 이를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적 개입을 위하여 향후 국가가 수행하는 설문조사에 성소수자 정체성을 측정하는 문항이 포함될 필요가 있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성소수자 정체성 문항 관련 국내 현황 조사
○ 연구 수행 내용
연구수행 준비 과정에서 수행했던 성소수자 정체성 문항 관련 국내 현황 조사의 범위를 확장하여 통계청 승인통계 중 국가대표성 있는 가구나 개인 대상 설문조사의 성적지향 및 성별정체성 측정 현황을 ...
■ 성소수자 정체성 문항 관련 국내 현황 조사
○ 연구 수행 내용
연구수행 준비 과정에서 수행했던 성소수자 정체성 문항 관련 국내 현황 조사의 범위를 확장하여 통계청 승인통계 중 국가대표성 있는 가구나 개인 대상 설문조사의 성적지향 및 성별정체성 측정 현황을 재검토하고, 그 외의 성소수자 관련 문항 포함 여부를 추가적으로 조사하였다.
○ 연구 수행 결과
검토대상 설문조사 중 성소수자 관련 문항이 포함되어 있는 조사는 총 11개 였다. 성소수자에 대한 태도 및 인식을 측정하는 설문조사는 8개, 성소수자 정체성으로 인한 사회적 경험을 측정하는 설문조사는 1개, 실제 성소수자 정체성 관련 문항을 측정한 설문조사는 2개였고, 가장 최근 차수의 조사를 기준으로 현재 지속적으로 성소수자 정체성 관련 문항을 측정하고 있는 조사는 없었다.
■ 성소수자 정체성 문항 관련 외국 현황 조사
○ 연구 수행 내용
국외의 성소수자 정체성 문항 측정과 관련한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전체인구를 대상으로 하는 조사에서 성소수자 정체성 관련 문항을 포함하고 있다고 알려진 미국과 캐나다, 영국의 관련 현황을 검토했다. 성소수자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영어 사용 국가인 미국과 캐나다, 영국에서 수행되고 있는 조사에 실제로 포함된 문항들을 검토하여 한국어 정체성 측정도구 제안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했다.
○ 연구 수행 결과
미국과 캐나다, 영국에서 수행 된 국가 대표성 있는 설문조사 중 성적지향 또는 성별정체성 문항을 포함한 총 31개의 설문조사를 확인, 검토하였다. 국가별로는 미국 10개, 캐나다 9개, 영국 12개였다. 성적지향의 경우, 검토대상 설문조사 31개 중 30개의 조사가 관련 문항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성별정체성의 경우, 검토대상 설문조사 중 14개의 조사가 관련 문항을 포함하고 있었다. 각 조사의 설문조사 문항의 공통점과 차이점 등을 검토하여 한국어 성소수자 정체성 측정문항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었다.
■ 성소수자 정체성 문항 개발 연구
○ 연구 수행 내용
첫째, 성소수자 정체성 측정과 관련한 국외의 실증연구와 측정문항 권고안을 제시한 보고서를 참고하여 한국어 측정문항 개발에 고려해야 할 사항이 무엇인지를 파악했다. 둘째, 국외에서 실제 활용되고 있는 설문조사 문항을 검토하여 한국 맥락에서 활용 가능한 영어 문항을 선정하여 한국어로 번역했다. 국외 셋째, 영어 성적지향 및 성별정체성 측정문항을 한국어로 번역한 후, 한국적 맥락에 맞게 수정하여 전문가 자문을 거쳐 연구팀이 제안하는 한국어 성소수자 정체성 측정문항의 최종본을 확정했다. 전문가 자문은 성소수자 연구에 전문성을 가진 사회학, 심리학, 통계학 전공자 각 1명씩 총 3명과 성소수자 인권활동가 3명, 총 6명의 자문을 구했다. 성소수자 인권활동가 3명 중 2명은 각각 트랜스젠더 의제와 청소년 의제의 전문가로 구성했다. 마지막으로 성소수자 일반인 6인을 대상으로 인지면접조사를 수행하였다.
○ 연구 수행 결과
성적지향 및 성별정체성 측정문항에 대한 국외 선행 논의 및 설문조사 문항에 대한 검토와 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연구팀에서 제안하는 한국어 성적지향 및 성별정체성 측정문항을 확정하였다. 제안 문항을 두 가지로 구분하여 제안 1은 국외의 현황과 관련 연구에 비추어 2021년 현재 시점에서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는 방식을 고려하여 문항을 구성하였고, 제안 2는 현재 한국의 맥락에서 연구참여자의 오분류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방향에 초점을 맞추어 문항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결과의 활용계획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학술지에 학술논문을 출판하여 국가 대표성 있는 설문조사의 성소수자 정체성 측정문항과 관련한 국내외 현황을 소개하고, 한국어 성적지향 및 성별정체성 측정 문항을 제안하고자 한다. 둘째, 관련 학회의 학술대회 등 다양한 학술행사에서 본 연구를 발표하여 국가 대표성 있는 설문조사의 성소수자 정체성 측정문항에 대한 학술적 논의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