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소셜미디어에서 잘못된 건강정보 수용의 심리적 기제에 대한 연구: 구충제 복용 관련 유튜브 컨텐츠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sychological mechanism underlying the effect of health misinformation of anthelmintics use on YouTube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B유형)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연구과제번호 2020S1A5B5A17088769
선정년도 2020 년
연구기간 1 년 (2020년 09월 01일 ~ 2021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임희원
연구수행기관 (사)한국대학교육협의회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의 이용자들이 잘못된 건강정보를 받아들이고, 다른 사람과 공유하는 심리적 기제를 구충제 복용 컨텍스트에서 검증해보고자 한다. 특히 잘못된 건강정보를 받아들이는 심리적 기제가 불확실성을 해결하기 위한 방향적 동기화 추론 (Motivated reasoning)인지 아니면 건강정보에 대한 이해 (Health literacy)부족에서 비롯된 것 인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첫 번째 결과물인 잘못된 정보 관련 유튜브 컨텐츠의 내용 분석은 현재 소셜미디어 중 유튜브 상에서 실제로 구충제관련 잘못된 정보 유통 현황을 파악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두 번째 결과물인 설문조사의 결과는 일반인들이 잘못된 건강정보를 받아들이는 심리적 기제를 보다 명확하게 해줄 것이며, 이에 근거하여 보다 효과적인 캠페인 메시지 전략 수립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요약
  • 소셜미디어 상의 잘못된 건강정보로 인한 공중 보건적 문제들이 속속 목격되고 있으며, 특히 유튜브의 경우 다른 소셜미디어보다도 더 비슷한 사람들 사이의 밀도 높은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비슷한 주제를 나눈다는 점 (Park, Lim, & Park, 2015)에서 잘못된 정보의 에코 챔버가 발생할 우려까지 존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중 유튜브 이용자들이 잘못된 정보를 받아들이는 심리적 기제를 파악하고자 한다. 불확실성 관리 이론 (Brashers, 2001)에 따르면, 잘못된 건강정보를 받아들이는 행위는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한 불확실성을 해소하기 위한 행동으로 볼 수 있는 데, 불확실성을 해소하기 위해서 정확한 정보를 추구하기 보다는 건강정보를 회피하거나 자신이 받아들이고 싶어하는 정보를 선택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적 정보 수용 행위는 동기화된 추론 과정 (Kunda, 1990)으로도 볼 수 있으며, 특히 자신이 받고 있는 표준 치료에 대한 태도와 이에 대한 보완대체 치료에 대한 태도에 따라서 구충제 치료법과 같은 대안적 치료 방법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자신의 태도와 일치한다고 생각하고 이에 따라 받아들이려고 하는 방향적 동기화 추론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한 편으로는 잘못된 건강정보의 수용을 건강정보 이해부족에서 오는 것으로도 볼 수 있는 데, 기존 가짜 뉴스 컨텍스트에서도 방향적 동기화 추론보다는 정보 이해부족이 잘못된 정보를 받아들이는 이유일 수도 있다는 점을 보여주기도 했다 (염정윤, 정세훈, 2018; Pennycook & Rand, 2018).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식약처에서 허가하지 않은 방법으로 구충제를 복용하는 현상에 기반이 되는 잘못된 정보를 컨텍스트로 하여, 이러한 잘못된 정보에 대한 믿음의 심리적 기제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상의 잘못된 건강정보의 효과를 설명하는 심리적 기제를 파악하기 위해서 1) 유튜브 이용자 비디오 네트워크 분석 및, 내용분석을 통해서 잘못된 정보의 유통 현황과 공유되고 있는 현황을 파악 후, 2) 설문조사를 주요 변인들과의 관계를 검증할 예정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의 이용자들이 잘못된 건강정보를 받아들이는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다른 사람과 공유하는 심리적 기제를 검증하고자 일반인의 구충제 유튜브 콘텐츠 간 네트워크 분석과 단어 의미연결망 분석과 온라인 서베이를 진행하였다. 일반인의 유튜브 콘텐츠 네트워크 분석 결과, 의료인이나 대중매체보다 일반인들의 유튜브 콘텐츠 양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매개중심성 분석 결과 일반인 콘텐츠의 영향력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미연결망 분석 결과 일반인들의 콘텐츠는 주로 암, 당뇨와 같은 치료 불확실성이 높은 병의 관리를 목적으로 한 구충제의 복용과 관련된 정보 및 후기가 주를 이루었으며, 의사 및 표준 치료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를 보이는 경우들도 있었다.이를 토대로 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 구충제의 효과과 안정성과 관련된 기술적인 신념의 경우, 응답자들의 건강 불확실성과 동기화 추론의 상호작용을 완전매개하여 구충제 콘텐츠의 소셜미디어 이용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충제에 대한 평가적 신념의 경우, 건강 불확실성과 소셜미디어 이용 사이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셜미디어 상 일반인들이 공유하고 이용하는 콘텐츠를 통해 건강과 관련된 잘못된 정보들이 전파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이러한 소셜미디어 상 건강관련 일반인 콘텐츠의 규제와 관련된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이러한 건강관련 잘못된 정보와 신념의 교정을 위해서는 단순히 정확한 정보 제공 뿐 아니라 잘못된 신념을 가진 이용자들의 건강 관련 불확실성, 기존 의료체계에 대해 가지고 있는 태도 등의 심리적 요인들을 고려하여 캠페인을 진행이 필요하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 영문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health misinformation/misbeliefs on social media and to clarify the psychological mechanism underlying why individuals who are not medically trained are use and share such health information on social media. In the context of dewormer, dewormer off-label use contents in Korean on YouTube was collected and a network analysis of dewormer video contents and a series of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dewormer contents from not-medically trained individuals are the majority of uploaded videos on YouTube, and their high between centrality suggests their high influence on YouTube users who seek for dewormer information. The videos from not-medically trained individuals typically share information and their review of taking dewormer for treating cancer or type 2 diabetes. Furthermore, some of the video contents presented negative views on their doctor or standard treatment. In the second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underlying mechanism of acceptance of misinformation/ misbelief about dewormer and social media use for dewormer contents. The results demonstrated overall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uncertainty about one's health and active social media use for dewormer information. Misbelief acceptance was differed by type of misbelief. Descriptive misbelief about dewormer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uncertainty and motivated reasoning interaction and social media use, while evaluative misbelief partially mediated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uncertainty and social media us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의 이용자들이 잘못된 건강정보를 받아들이는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다른 사람과 공유하는 심리적 기제를 검증하고자 일반인의 구충제 유튜브 콘텐츠 간 네트워크 분석과 단어 의미연결망 분석과 온라인 서베이를 진행하였다. 일반인의 유튜브 콘텐츠 네트워크 분석 결과, 의료인이나 대중매체보다 일반인들의 유튜브 콘텐츠 양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매개중심성 분석 결과 일반인 콘텐츠의 영향력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미연결망 분석 결과 일반인들의 콘텐츠는 주로 암, 당뇨와 같은 치료 불확실성이 높은 병의 관리를 목적으로 한 구충제의 복용과 관련된 정보 및 후기가 주를 이루었으며, 의사 및 표준 치료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를 보이는 경우들도 있었다.이를 토대로 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 구충제의 효과과 안정성과 관련된 기술적인 신념의 경우, 응답자들의 건강 불확실성과 동기화 추론의 상호작용을 완전매개하여 구충제 콘텐츠의 소셜미디어 이용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충제에 대한 평가적 신념의 경우, 건강 불확실성과 소셜미디어 이용 사이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결과물들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공중보건 캠페인에 실질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1) 첫번째 연구 결과물의 유튜브 상 구충제 콘텐츠의 네트워크 분석과 의미연결망 분석은 현재 유튜브 상의 건강 콘텐츠의 대부분을 일반인들이 업로드하고 있다는 점에서 검증되지 않은 정보들이 제공되고 있을 가능성이 존재함을 보여주었고, 대부분 치료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은 암과 당뇨, 아토피 등 만성질환의 관리를 목적으로 복용법을 소개하거나 복용후기를 공유하는 영상이 높은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는 점 등은 구충제를 위시한 건강관련 정보를 유튜브 등 소셜미디어에서 이용하는 일반 소비자들이 잘못된 정보에 노출될 가능성이 매우 높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소셜미디어 상 건강관련 콘텐츠 규제와 관련하여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고 있으며, 의료인 및 보건당국의 보다 적극적인 건강관련 정보 소셜미디어 캠페인이 필요하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2) 설문조사 결과물은 건강과 관련된 잘못된 정보의 교정 및 팩트 체킹을 위해서 단순히 정보 교정을 정확한 정보의 제공뿐 아니라 잘못된 정보를 통해 잘못된 신념을 가진 사람들의 심리적인 특성 또한 고려되어야함 보여주었다. 특히 동기화 추론의 경우, 잘못된 기술적 신념의 매개모델에서만 조절효과가 나타났다는 점에서 건강과 관련된 잘못된 기술적 신념의 팩트체킹을 위해서는 단순히 정확한 정보의 제공만이 아닌 응답자가 자신의 건강에 대해서 가진 불확실성과 기존 치료에 대한 태도 등 심리적 측면이 모두 고려되어야 함을 보여주었다.
  • 색인어
  • 잘못된 건강정보, 소셜미디어, 불확실성 관리 이론, 동기화된 추론, 건강정보 이해능력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