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여성영웅소설 <백학선전>에 나타난 남성인물 형상과 의미
Figures and meanings of male characters in female hero novel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B유형)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연구과제번호 2020S1A5B5A17090832
선정년도 2020 년
연구기간 1 년 (2020년 09월 01일 ~ 2021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곽현희
연구수행기관 영남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여성영웅소설 속에서 남성인물들이 어떤 모습으로 형상화되고 있는지 살피고, 그 의미를 찾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의 두 번째 시도로서 <백학선전>에 나타난 남성인물 형상과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여성영웅소설인 <백학선전>이 지니고 있는 가치를 남성인물을 중심으로 논의할 것이다. 이를 위해 <백학선전>의 작품 분석을 통해 서사 속에 남성인물이 어떻게 형상화되어 있는지 살필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백학선전> 속 여성인물들과 상관관계, 시대적인 상황, 당대 독자와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백학선전> 속 남성인물들이 내재하고 있는 의미는 무엇인지 논의할 것이다. 그리하여 궁극적으로 <백학선전>이 오늘날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지닐 수 있는지 고찰하는 것이다.
  • 기대효과
  • 첫째, <백학선전>의 개별 작품연구로서 새로운 해석을 제시할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에 논의된 적이 없는 <백학선전> 속 남성인물의 가치를 밝히는 연구로서 가치가 있다. 둘째, <백학선전>뿐만 아니라 여성인물 해석에 치우쳐져 있던 여성주의 영웅소설 연구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여성영웅소설 연구의 지평을 넓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셋째, 여성영웅소설의 당대 독자를 이해하는 부분에 있어 새로운 접근방법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혐오가 만연하고 성별갈등이 극에 달한 오늘날에 <백학선전> 작품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여러 각도로 분석하면서 이분법적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사람이 지닌 존재 의의는 사람과 사람 간의 관계 속에서 찾을 수 있다는 공생적 가치관을 학생들에게 심어주는 교육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행연구를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이야기의 핵심 흥미요소를 모두 포함하면서 완결된 일대기를 지니고 있는 경판 24장본을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본 연구의 제 2장에서는 <백학선전>의 서사 속에서 남성인물들이 어떤 형상으로 나타나는지 살필 것이다. 여성 영웅의 주체적 사랑의 대상으로서의 남성, 첩을 들이지 않고 오로지 일편단심 한 지어미만을 사랑하는 신의를 보여주는 남성, ‘색’과 같은 사적인 욕망을 탐하는 남성의 형상들을 살펴볼 것이다. 그리하여 제 3장에서는 당대 여성 독자의 욕망과 시대적인 의미에 초점을 맞추어 제 2장에서 다룬 남성인물들의 형상 분석을 토대로 하여 그 속에 담긴 내재적인 의미가 무엇인지 고찰해볼 것이다. 제 4장에서는 논의를 종합 고찰할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백학선전>은 여성영웅인 조은하가 뛰어난 계책과 무용으로 전쟁에 나가 포로로 붙잡힌 남성인물인 유백로를 구출하고 오랑캐로부터 나라를 구하는 여성영웅소설이다.
    <백학선전> 속에 등장하는 이러한 남성인물들은 전형적인 인물형상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다양한 면모들을 지니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지점들을 섬세하게 살펴, 서사 속에서 남성인물이 어떤 형상을 지니고 있으며, 왜 이렇게 형상화되었는지 그 의미를 찾고자 한다.
    <백학선전>의 남성인물들의 형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백로는 가부장으로서의 자신의 역할보다 조은하에 대한 사랑이라는 자신의 욕망을 우선하는 인물이다. 유백로의 주어진 과업보다 자신의 욕망을 우선하는 성격적 결함은 천상계에서 태을선인으로 있을 때부터 이어져오던 것이다. 미숙하고, 어리석은 가부장은 가문을 위태롭게 만든다.
    이렇게 위태로워진 가문과 나라의 질서를 여성인물인 조은하가 나타나 바로잡는다. <백학선전>은 자신의 욕망을 제어하지 못하는 미성숙한 남성인물인 유백로의 존재로 인해, 조은하가 가부의 역할을 대신하고 여성영웅으로 활약하게 되는 여성영웅소설이다.
    두 번째 남성인물은 최국량이다. 최국량은 단순히 적대자를 넘어서 양자의 아버지로서의 면모를 지닌 인물로 서사 속에 형상화되고 있다.최국량은 황제를 제외하고 신하로서 오를 수 있는 당대 최고의 자리인 승상의 지위에 있는 남성이다. 입신양명을 비롯하여 부와 명예를 모두 가진 최국량에게 문제가 되는 것은 바로 대를 이을 자식이 없다는 것이다. 최국량은 가문의 존속과 번영이라는 사사로운 욕망을 너무나 중시한 나머지 중세적 질서를 해치게 되는 인물이다.
    마지막으로 <백학선전> 서사 속에서 토끼의 형상으로 나타나는 토선생은 여색을 탐하고자 하는 욕망 때문에 스스로를 파멸로 이끈 존재이다. 무엇이로든지 변신할 수 있는 변신 능력과 훌륭한 무력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색에 대한 탐욕을 스스로 제어하지 못해 스스로를 죽음에 이르게 한다.
    이러한 <백학선전> 속 남성인물 형상에 내재된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백학선전>은 중세적 욕망의 위기를 초래하는 남성적 욕망에 대한 경계를 말하고 있는 작품이다. 둘째, <백학선전>은 남성 중심의 불완전한 중세 질서와 남성 욕망의 조율자로서 주변인이었던 여성을 긍정적으로 재발견하는 작품이다. 셋째, <백학선전> 속 여성영웅을 짝사랑하는 유백로의 형상, 토선생과 같은 남성인물의 존재 통해 <백학선전>이 우리 고전 서사 속에서 여러 요소를 수용해 발전해온 작품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영문
  • <Baekhakseonjeon> is a female hero's novel in which Jo Eun-ha, a female hero, goes to war and rescues a male figure, Yu Baek-ro, who has been captured as a prisoner of war and saves the country from barbarians.
    These male figures appearing in <Baekhakseonjeon> have various aspects that cannot be explained by typical figures. In this paper, by examining these points in detail, we try to find the meaning of the shape of the male figure in the narrative and why it was shaped like this.
    The figure of male figures in <Baekhakseonjeon> is as follows. First, Baek-ro Yoo is a person who prioritizes his desire for love for Jo Eun-ha rather than his role as the patriarch. The personality defect that prioritizes one's own desires over the given tasks of Yu Baek-ro has been passed down since he was a Tae-eul-seon in the heavenly realm. An inexperienced, foolish patriarch puts the family at risk.
    Jo Eun-ha, a female figure, appears and corrects the endangered family and country order. <Baekhakseonjeon> is a female heroic novel in which Jo Eun-ha takes over the role of the father and daughter and plays an active role as a female hero due to the existence of Yoo Baek-ro, an immature male figure who cannot control her desires.
    The second male figure is Choi Guk-ryang. Choi Guk-ryang is portrayed in the narrative as a person who has the aspect of being the father of an adoptee beyond a simple adversary. Choi Guk-ryang is a man who holds the position of a monk, which is the highest position of his time that he can rise as a subject except for the emperor. What is problematic for Choi Guk-ryang, who has both wealth and honor, as well as his new arrival, is that he has no children to inherit. Choi Guk-ryang is a character who undermines the medieval order by placing too much importance on the personal desire of the family's survival and prosperity.
    Lastly, Master Toh, who appears in the form of a rabbit in the narrative of <Baekhakseonjeon>, is a being who has led to his own ruin because of his desire to covet the woman. Even though he has the ability to transform into anything and possesses great power, he cannot control his greed for womanhood and leads to his own death.
    The meanings inherent in the male figure in this <Baekhakseonjeon> are as follows.
    First, <Baekhakseonjeon> is a work that speaks of the boundaries against masculine desire that causes a crisis of desire in the Middle Ages. Second, <Baekhakseonjeon> is a work that positively rediscovers the woman who was the neighbour, as a mediator between male-centered imperfect medieval order and male desire. Third, it can be confirmed that <Baekhakseonjeon> is a work that has been developed by accommodating various elements in our classic narrative through the image of Yu Baek-ro, who has a crush on a female hero, and the presence of male figures such as Teacher Toh.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백학선전>은 여성영웅인 조은하가 뛰어난 계책과 무용으로 전쟁에 나가 포로로 붙잡힌 남성인물인 유백로를 구출하고 오랑캐로부터 나라를 구하는 여성영웅소설이다.
    <백학선전> 속에 등장하는 이러한 남성인물들은 전형적인 인물형상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다양한 면모들을 지니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지점들을 섬세하게 살펴, 서사 속에서 남성인물이 어떤 형상을 지니고 있으며, 왜 이렇게 형상화되었는지 그 의미를 찾고자 한다.
    <백학선전>의 남성인물들의 형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백로는 가부장으로서의 자신의 역할보다 조은하에 대한 사랑이라는 자신의 욕망을 우선하는 인물이다. 유백로의 주어진 과업보다 자신의 욕망을 우선하는 성격적 결함은 천상계에서 태을선인으로 있을 때부터 이어져오던 것이다. 미숙하고, 어리석은 가부장은 가문을 위태롭게 만든다.
    이렇게 위태로워진 가문과 나라의 질서를 여성인물인 조은하가 나타나 바로잡는다. <백학선전>은 자신의 욕망을 제어하지 못하는 미성숙한 남성인물인 유백로의 존재로 인해, 조은하가 가부의 역할을 대신하고 여성영웅으로 활약하게 되는 여성영웅소설이다.
    두 번째 남성인물은 최국량이다. 최국량은 단순히 적대자를 넘어서 양자의 아버지로서의 면모를 지닌 인물로 서사 속에 형상화되고 있다.최국량은 황제를 제외하고 신하로서 오를 수 있는 당대 최고의 자리인 승상의 지위에 있는 남성이다. 입신양명을 비롯하여 부와 명예를 모두 가진 최국량에게 문제가 되는 것은 바로 대를 이을 자식이 없다는 것이다. 최국량은 가문의 존속과 번영이라는 사사로운 욕망을 너무나 중시한 나머지 중세적 질서를 해치게 되는 인물이다.
    마지막으로 <백학선전> 서사 속에서 토끼의 형상으로 나타나는 토선생은 여색을 탐하고자 하는 욕망 때문에 스스로를 파멸로 이끈 존재이다. 무엇이로든지 변신할 수 있는 변신 능력과 훌륭한 무력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색에 대한 탐욕을 스스로 제어하지 못해 스스로를 죽음에 이르게 한다.
    이러한 <백학선전> 속 남성인물 형상에 내재된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백학선전>은 중세적 욕망의 위기를 초래하는 남성적 욕망에 대한 경계를 말하고 있는 작품이다. 둘째, <백학선전>은 남성 중심의 불완전한 중세 질서와 남성 욕망의 조율자로서 주변인이었던 여성을 긍정적으로 재발견하는 작품이다. 셋째, <백학선전> 속 여성영웅을 짝사랑하는 유백로의 형상, 토선생과 같은 남성인물의 존재 통해 <백학선전>이 우리 고전 서사 속에서 여러 요소를 수용해 발전해온 작품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첫째, <백학선전>의 개별 작품연구로서 새로운 해석을 제시할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에 논의된 적이 없는 <백학선전> 속 남성인물의 가치를 밝히는 연구로서 가치가 있다. 둘째, <백학선전>뿐만 아니라 여성인물 해석에 치우쳐져 있던 여성주의 영웅소설 연구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여성영웅소설 연구의 지평을 넓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셋째, 여성영웅소설의 당대 독자를 이해하는 부분에 있어 새로운 접근방법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혐오가 만연하고 성별갈등이 극에 달한 오늘날에 <백학선전> 작품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여러 각도로 분석하면서 이분법적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사람이 지닌 존재 의의는 사람과 사람 간의 관계 속에서 찾을 수 있다는 공생적 가치관을 학생들에게 심어주는 교육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백학선전, 남성인물, 여성영웅소설, 애정 구도, 가부장제, 여성 독자, 욕망, 중세적 가치관, 가문의식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