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시대 ICT기술발달에 힘입어 점진적인 시장 확대를 보이던 기술기반 셀프서비스는 COVID-19 확산 이후 비대면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된 서비스시장의 중심으로 떠올랐다. 의료분야 역시 ICT결합을 통한 스마트 헬스케어를 중심으로 의료산업의 품질 개선과 비용 ...
4차 산업혁명시대 ICT기술발달에 힘입어 점진적인 시장 확대를 보이던 기술기반 셀프서비스는 COVID-19 확산 이후 비대면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된 서비스시장의 중심으로 떠올랐다. 의료분야 역시 ICT결합을 통한 스마트 헬스케어를 중심으로 의료산업의 품질 개선과 비용 감소(Agarwal et al., 2010), 빅데이터를 통한 예방 및 관리 중심의 의료 서비스가 가능할 전망이다.(지대범 외, 2018) 기술기반 셀프서비스는 고객과 종업원의 상호작용이 아닌 기술과 고객의 상호작용을 통한 서비스 창출(Meuter et al., 2000)로 ICT기반의 매체를 통해 고객이 직접 서비스를 창출·소비하는 것이다. 웨어러블 기기 같은 스마트 헬스케어 제품들은 이미 기술기반 셀프서비스의 매체로 분류 되고 있으나, 셀프서비스 관점에서 스마트 헬스케어를 분석한 실증연구는 연구 미진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ICT 기술력을 기반으로 하는 ICT 융합 서비스에 해당하는 스마트 헬스케어를 기술기반 셀프서비스의 세부 분야로 분류하고, 둘째, 스마트 헬스케어에 대한 고객의 기대 품질을 정의하고, 마지막으로 스마트 헬스케어 수용 여부 및 이용 의도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Venkatesh의 확장된 통합기술수용모형(UTAUT2)모형을 활용하여 기술기반 셀프서비스 관점에서 바라본 스마트 헬스케어 이용자의 사용의도에 관한 실증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기대효과
첫째, 학술적 시사점으로 스마트 헬스케어를 고객 서비스 관점에서 수용 및 평가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ICT기반 헬스케어 서비스를 기술기반 셀프서비스의 영역에서 측정 평가 할 수 있다면, 기존의 서비스 제공자 중심이었던 스마트 헬스케어의 평가 방식에서 벗어 ...
첫째, 학술적 시사점으로 스마트 헬스케어를 고객 서비스 관점에서 수용 및 평가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ICT기반 헬스케어 서비스를 기술기반 셀프서비스의 영역에서 측정 평가 할 수 있다면, 기존의 서비스 제공자 중심이었던 스마트 헬스케어의 평가 방식에서 벗어나 이용자 중심 즉, 고객 서비스 관점에서의 접근이 가능해 질 것으로 기대된다. 두 번째,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 설계 및 관리를 위한 고객의 니즈를 파악할 수 있다. 고객의 서비스 선택 및 이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기대 품질과 확장된 통합기술수용모델을 통해 확인한다. 이를 통해 학술적으로 스마트 헬스케어의 기대 품질 및 이용의도 간의 관계를 측정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고, 실무적으로는 서비스 제공자는 이용자가 중요시 하는 요소 통해 서비스 품질 수준의 향상 및 차세대 서비스 개발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마지막으로 서비스 제공자 뿐 아니라 스마트 헬스케어 이용자를 위한 서비스 환경 및 품질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요약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해 기술기반 셀프서비스 관점에서의 스마트 헬스케어를 정의한다. 둘째, 스마트 헬스케어의 정의 및 기대 품질 요소를 확인하고 확장된 통합기술수용 모형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한다. 셋째, 문헌 연구를 토대로 측정 척도 개발한다. 스마트 헬스케어 ...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해 기술기반 셀프서비스 관점에서의 스마트 헬스케어를 정의한다. 둘째, 스마트 헬스케어의 정의 및 기대 품질 요소를 확인하고 확장된 통합기술수용 모형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한다. 셋째, 문헌 연구를 토대로 측정 척도 개발한다. 스마트 헬스케어 관심을 가지고 있는 만18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예비설문 및 설문 조사를 실시한다. 넷째,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표본의 특성을 확인하고, 변수들의 타당성과 신뢰성 검증, 측정 변수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상관관계 분석과, 집중타당도 및 판별타당도를 확인하고,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하고, 연구 가설의 검증을 통해 변수들 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한다. 다섯째, 연구 결과를 통해 연구의 요약과 분석에 대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연구의 한계 점과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의 품질을 확인하고, 서비스 품질과 기술수용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하여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한 주관적인 서비스 품질을 확인하고, 서비스에 대한 기대 요인과 태도가 이용의도의 관계를 확장된 통합기술수용모형(UT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의 품질을 확인하고, 서비스 품질과 기술수용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하여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한 주관적인 서비스 품질을 확인하고, 서비스에 대한 기대 요인과 태도가 이용의도의 관계를 확장된 통합기술수용모형(UTAUT2)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스마트 헬스케어의 서비스 품질과 이용의도를 분석한 결과 스마트 헬스케어에 대한 기대와 동기가 높을수록 이용의도가 증가하였으며, 스마트 헬스케어를 이용할 때 서비스가 유용할수록 그리고 개인정보의 안정성이 보증될 때 이용의도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의 데이터와 연구 수행 결과는 국내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에 참여하는 다양한 주체에게 서비스 품질 개선 및 개발 전략 관점에서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This descriptive research was conducted on Expected quality and usage intention of smart healthcare from a technology-based self-service perspective, and as a result, the main quality of smart healthcare service was confirmed. In addition, the influen ...
This descriptive research was conducted on Expected quality and usage intention of smart healthcare from a technology-based self-service perspective, and as a result, the main quality of smart healthcare service was confirmed. In additio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was analyzed. I interpret the results as the evidence that empirical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expectancy and motivation for smart healthcare services had a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users' behavioral intention increased when smart healthcare provided usability and information protection assuranc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helpful for service quality improvement and development strategies in the healthcare market.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4차 산업혁명시대 ICT기술발달에 힘입어 점진적인 시장 확대를 보이던 기술기반 셀프서비스는 COVID-19 확산 이후 비대면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된 서비스 시장에 중심으로 떠올랐다. 의료분야 역시 ICT결합을 통한 스마트 헬스케어를 중심으로 의료산업의 품질 개선과 비 ...
4차 산업혁명시대 ICT기술발달에 힘입어 점진적인 시장 확대를 보이던 기술기반 셀프서비스는 COVID-19 확산 이후 비대면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된 서비스 시장에 중심으로 떠올랐다. 의료분야 역시 ICT결합을 통한 스마트 헬스케어를 중심으로 의료산업의 품질 개선과 비용 감소(Agarwal et al., 2010), 빅데이터를 통한 예방 및 관리 중심의 의료 서비스가 가능할 전망이다.(지대범 외, 2018) 기술기반 셀프서비스는 고객과 종업원의 상호작용이 아닌 기술과 고객의 상호작용을 통한 서비스 창출(Meuter et al., 2000)로 ICT기반의 매체를 통해 고객이 직접 서비스를 창출·소비하는 것이다. 웨어러블 기기 같은 스마트 헬스케어 제품들이 기술기반 셀프서비스의 매체로 분류 되고 있으나, 셀프서비스 관점에서 스마트 헬스케어를 분석한 실증연구는 연구 미진한 상태이다. 코로나19로 인한 의료 서비스 제공 환경의 급격한 변화는(김승환·정득영, 2020) 늘어난 의료서비스 수요와 부족한 의료 인력에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기술기반 셀프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로 연결되었으며, 스마트 헬스케어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ICT 기반의 헬스케어 서비스는 상시로 건강상태를 확인하고, 언제 어디서나 서비스가 제공되는 일상화된 헬스케어 서비스로 변화하고 있다.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어플리케이션을 비롯해 지능화된 진단과 미래 건강 예측을 통한 예측 의료서비스, 자동화된 의료서비스 등 새로운 혁신적인 형태의 헬스케어 서비스로 발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ICT 기술력을 기반으로 하는 ICT 융합 서비스에 해당하는 스마트 헬스케어를 기술기반 셀프서비스의 세부 분야로 분류하고, 둘째, 스마트 헬스케어에 대한 고객의 기대 품질을 정의하고, 마지막으로 스마트 헬스케어 수용 여부 및 이용 의도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Venkatesh의 확장된 통합기술수용모형을 활용하여 기술기반 셀프서비스 관점에서 바라본 스마트 헬스케어 이용자의 사용의도에 관한 실증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기존의 스마트 헬스케어 연구를 살펴보면 서비스 제공자 관점의 개발 및 관리의 연구가 주류를 이뤄 왔다. 하지만 기술의 발달과 COVID-19으로 인한 셀프 헬스케어를 위한 스마트 헬스케어 시장의 변화는 서비스 보편화에 기여하고, 서비스 확산 단계에서 중요시 되는 소비자 관점에서의 서비스 품질 및 서비스 수용에 관여하는 요소를 확인함으로써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스마트 헬스케어 연구들은 서비스 제공자 관점의 개발 및 관리의 연구가 주류를 이뤄 왔다. 하지만 기술의 발달과 COVID-19으로 인한 셀프 헬스케어를 위한 스마트 헬스케어 시장의 변화는 서비스 보편화에 기여하고, 서비스 확산 단계에서 중요시 되는 소비자 관점에서의 ...
스마트 헬스케어 연구들은 서비스 제공자 관점의 개발 및 관리의 연구가 주류를 이뤄 왔다. 하지만 기술의 발달과 COVID-19으로 인한 셀프 헬스케어를 위한 스마트 헬스케어 시장의 변화는 서비스 보편화에 기여하고, 서비스 확산 단계에서 중요시 되는 소비자 관점에서의 서비스 품질 및 서비스 수용에 관여하는 요소를 확인함으로써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