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일제강점기 여성잡지의 일본어 음운 한글 표기 연구 -『우리의 가뎡』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Korean notation of Japanese Phonics in Women's Magazines of Japanese colonial era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B유형)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연구과제번호 2021S1A5B5A17055483
선정년도 2021 년
연구기간 1 년 (2021년 09월 01일 ~ 2022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허지애
연구수행기관 부산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1910년대 조선에서 발행된 유일한 여성잡지인『우리의 가뎡』을 자료로 하여 일본어 음운 한글 표기 분석을 통해 당시의 일본어 발음 교육과 표기상의 특징을 살펴 한국어와 일본어의 음성 및 음운론적 연구 자료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일본어 학습용 예문의 일본어 어휘를 분석하여『우리의 가뎡』의 독자인 가정부인을 대상으로 한 일본어 학습의 어휘 목록도 정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개화기 이전부터 이어져 온 한국어와 일본어 간의 대조 연구를 위한 한국어 음운사 및 일본어 음운사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젠더 연구의 측면에서 여성을 대상으로 한 일본어 학습용 예문의 어휘 목록 정리를 통해 당시의 학습자로서의 여성의 위상을 규명할 수 있다.
  • 기대효과
  • 1) 연구대상으로서 일제강점기 여성잡지 텍스트의 발견을 도모한다.
    본 연구의 기본 자료인『우리의 가뎡』뿐만 아니라 1910년대 창간의 『女子界』를 비롯하여 일제강점기에 발행된 여성잡지를 대상으로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여 ‘일본어 학습’을 다룬 새로운 텍스트를 발견할 수 있다.
    2) 한국어와 일본어의 음운론 연구의 기초 자료를 마련한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일본어 음운 한글 표기 대응 규칙을 통해 1910년대의 한국어와 일본어의 음성 및 음운론 연구의 기초 자료를 마련할 수 있다.
    3) 여성을 대상으로 한 일본어 교육용 어휘의 목록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여성, 특히 가정부인으로 대상으로 한 일본어 교육에서 다루어진 어휘 목록을 정리함으로써 근대초기 한국 여성 대상 교육용 일본어 어휘 목록에 대한 연구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4) 1910년대의 여성잡지인 『우리의 가뎡』을 기본 자료로 하여 진행한 연구를 일제강점기에 발행된 여성잡지를 대상으로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여 연구를 이어갈 수 있다.
    5) 본 연구에서 다룬 ‘일본어 음운 한글 표기’를 일본어학과 한국어학의 연구에서 음운사, 표기사, 어학 교육 등에 대한 비교연구를 이어갈 수 있다.
    6) 본 연구의 성과물로 제시되는 여성을 대상으로 한 일본어 교육용 어휘의 목록을 바탕으로 하여 일제강점기 여학교에서 사용한 일본어 교재의 어휘 목록을 작성할 수 있다.
  • 연구요약
  • 1910년대 여성잡지『우리의 가뎡』의 <국어 ᄇᆡ호ᄂᆞᆫ 법>에 제시된 일본어 예문을 자료로 하여 일본어 음운의 한글 표기 분석을 통해 당시에 일본어 발음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살펴보고 한일 양언어의 음운 대응 규칙을 도출한다. 또한 일본어 예문에 사용된 어휘를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여성 대상 일본어 학습에서 어떤 어휘가 교수되었는지 목록을 마련한다.
    본 연구는 『우리의 가뎡』이 발간된 1910년대의 출판물에 보이는 일본어 음운 한글 표기를 기본 연구 범위로 한다. 공시적 연구를 위해서는 1910년대에 발행된 여성잡지 및 조선어 학습서와 일본어 학습서를 연구 대상으로 한다. 통시적 연구를 위해서는 일제강점기에 발행된 여성잡지 및 조선어 학습서와 일본어 학습서를 대상으로 한다.『아단문고 비공개 자료 총서 2014』에 수록되어 있는 일제강점기의 여성잡지를 비롯하여 현재 보존되어 있는 일제 강점기의 여성잡지를 일본어 어휘 및 예문 비교 자료로 활용한다.
    ① <국어 ᄇᆡ호ᄂᆞᆫ 법>의 일본어 음운 한글 표기 분석을 위해 먼저 본문의 일본어가나(假名) 문자를 한 글자씩 한글 토와 함께 Excel에 입력한다. 그리고 본문의 일본어 어휘를 가나 문자별로 쪼개어 한글 토와 함께 입력한다. 창간호에 제시된 가나 문자의 발음 교육을 위한 한글 토를 기준으로 하여, 제11호까지의 일본어 음운의 한글 표기 방식을 살필 수 있다.
    ② 여성 대상 일본어 학습 어휘 목록 정리를 위해 <국어 ᄇᆡ호ᄂᆞᆫ 법> 본문의 일본어 어휘를 다음의 3개의 기준으로 나누어 Excel에 입력한다. 첫째, 제1호부터 제11호까지 각 호의 일본어 학습의 주제별로 정리하여 주제와 사용된 어휘간의 연관성을 찾아낸다. 둘째, 어휘를 의미 범주로 나누어 정리하여 의미별 어휘 분포 및 사용빈도를 파악한다. 셋째, 『우리의 가뎡』목차의 상위 항목인 <가정의 규범> <가정의 위생> <가정의 학술>로 분류하여 한국어 기사에서 동일한 의미의 어휘가 얼마나 노출되는지를 분석한다. 이러한 분류와 분석을 통해 <국어 ᄇᆡ호ᄂᆞᆫ 법>에서 어떤 의도로 일본어 어휘를 사용하고 일본어 예문을 구성하였는지를 규명할 수 있을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1910년대 여성잡지의 일본어 발음 교육과 표기상의 특징을 살피기 위해 먼저 『우리의 가뎡』의 일본어 학습란인 <국어 뵈호ᄂᆞᆫ 법>의 일본어 가나 문자와 한글 토의 대조표를 작성하였다.
    『우리의 가뎡』 창간호의 일본어 학습란 「국어 배호​​ 것」 제1회에서는 다음과 같이 문자 및 발음 교육을 하고 있다. 제1회의 제1장에서 ‘대강 뜻을 의논한 것’이라 하여 가타가나를 오십음도 순으로 한글 독음과 대조하여 소개하였다. 특징적인 것은 [u] 모음을 갖는 가타가나에 대한 발음 표기인데 자음자에 따라 ‘우/으’ 두 개의 모음자를 사용하여 표기하였다. 또한 글자의 크기를 달리하여 일본어의 발음이 ‘우’ 모음에 가깝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현대일본어에서는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글자도 발음과 함께 소개하고 있는데 이도 모두 입력하였다. 당시의 일본어는 역사적 철자법을 사용하던 과도기로 현대일본어와는 다른 표기를 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가나문자의 기본자인 오십음도 외에도 탁음을 전탁음과 반탁음으로 구분하여 소개하였는데, 현대일본어 교재의 한글 독음과는 다른 발음이다. 창간호에서 「ガ」는 [ㅇ가]로 표기하였는데, 현대일본어 교재에서는 [가]로 표기한다. 「ザ」, 「ダ」, 「バ」는 현대한국어로 표기할 경우 [자, 다, 바]이지만 『우리의 가뎡』 창간호의 일본어 학습란 「국어 배호​​ 것」에서는 [짜, 따, 빠]에 해당하는 당시의 표기를 하고 있다.
    이 외에도 가나 문자 두세 자를 조합하여 한 음으로 발음하는 글자를 소개하였다. 일본어의 경우 모음자가 [a, i, u, e, o]의 다섯 자에 불과하다 보니 모음자를 겹쳐 다른 소리를 표기한다. 가나 문자 두 자를 조합하여 이중모음을 표기하거나 세 자를 조합하여 장음을 표기한다. 발음 교육을 위해 일본어 음운의 한글 표기에 – 를 사용하여 모음자를 나누어 발음하지 않고 앞 모음을 길게 발음하도록 표기하였다. 현대일본어에는 외국어 및 외래어를 표기하기 위해 더 많은 표기자가 있다. 현대일본어와 다른 표기가 나타나는 것은 당시에 역사적 철자법을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撥音 「ン」을 한국어의 받침과 마찬가지로 발음은 ‘-ㄴ, -ㅇ’과 같다고 설명하였다. 현대일본어에는 촉음이라 하여 「ツ」자를 작게 쓰는 「ッ」음이 있으나 1910년대에는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역사적 철자법을 사용하고 있어 『우리의 가뎡』 창간호의 일본어 학습란 「국어 배호​​ 것」에는 그에 대한 설명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본문에 사용된 일본어 어휘를 품사별-명사, 동사, 형용사, 조사 등으로 분류하여 액셀에 입력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일본어 어휘에 한글 토를 입력하였고 한글 토가 없는 경우는 빈칸으로 처리하였다. 동일한 일본어 어휘에 대하여 한글 표기가 다르게 나타나거나 오자 표기가 있는 경우는 개별 어휘로 취급하여 입력하였다.

    회화 본문 표기
    1) ヨガスコシミジカクナリマシタ
    요아스고시미지각구나리마시다
    2) ハヤクネマセウ
    하야구네마세오
    3) オヤスミナサイ
    오야스미나샤이
    음운 표기표 기준 교정
    1) ヨガスコシミジカクナリマシタ
    요ㅇ가스고시미지가구나리마시다
    2) ハヤクネマセウ
    하야구네마세오
    3) オヤスミナサイ
    오야스미나사이




    가나 문자의 한글 표기를 기준으로 일본어 어휘의 한글 표기를 대조 분석하여 『우리의 가뎡』의 일본어 학습란 <국어 뵈호ᄂᆞᆫ 법>에 나타난 일본어 음운의 한글 표기 및 기재 오류를 찾아낼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일본어 음운의 한글 표기의 통일성 및 차이를 파악하여 일정한 대응 규칙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표6의 <회화 본문 표기>와 <음운 표기표 기준 교정>의 표기에 차이가 나타나는 이유는 다양하게 나타났다. 먼저 1)의 경우 현실발음에 가깝게 읽을 수 있도록 [ㅇ가]를 [가]로 [가구]를 [각구]로 표기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우리의 가뎡』 창간호의 일본어 학습란 「국어 배호​​ 것」 제1회의 가나 문자별 한글 독음을 바탕으로 1910년대 여성잡지 『우리의 가뎡』에 사용된 일본어 음운 한글 표기 기준표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일본어 발음 교육을 위해 사용한 특수한 표기법도 밝혀내었다.
  • 영문
  • In order to examine the Japanese pronunciation educ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Japanese pronunciation of women's magazines in the 1910s, a comparison table was first prepared with the Japanese characters and Hangeul discussions in the Japanese learning column of Our Family.
    In the first issue of Our Family, the Japanese language learning column provides text and pronunciation education as follows. In Chapter 1 of the first session, Katagana was introduced by contrasting it with Korean reading in the order of fifty syllables. The characteristic is the pronunciation notation for Katagana with [u] vowels, which were marked using two vowels '우/으' depending on the consonant. It was also explained that the pronunciation of Japanese was close to the '우' vowel by varying the size of the letters.
    In addition, letters that are no longer used in modern Japanese are introduced along with pronunciation, but all of these are entered. This is because Japanese at that time was different from modern Japanese due to the transition period when historical spelling was used.
    In addition to the fifty notes, which are the basis of Katagana characters, Tak-eum was introduced by dividing it into Jeontak-eum and Bantak-eum,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Korean reading of modern Japanese textbooks. In the first issue, "カ" was marked as [ㅇ가], but in modern Japanese textbooks, it is marked as [가]. 「ザ」, 「ダ」, 「バ」 are written in modern Korean, but in the Japanese learning column of "Our Family", they are written at the time corresponding to "짜, 따, 빠".
    In addition, two or three kana characters were combined to introduce letters that are pronounced with one sound. In the case of Japanese, since the vowel is only five letters of [a, i, u, e, o], the vowel letters are overlapped to indicate different sounds. A double vowel is written by combining two kana characters, or a long vowel is written by combining three characters. For pronunciation education, - was used in the Korean notation of Japanese phonics to pronounce the first vowel long without dividing the vowels. Modern Japanese has more notation for foreign languages and foreign languages. Different notation appears from modern Japanese because historical spelling was used at the time. It was explained that the pronunciation of 「ン」 sound is the same as '-ㄴ, -ㅇ'' as the Korean consonant. In modern Japanese, there is a "ッ" sound that uses the small letter "ツ" as a tactile sound, but in the 1910s, historical spelling is used as mentioned earlier, so it seems that there is no explanation for it in the Japanese learning column in the first issue of "Our Family"
    Next, the Japanese vocabulary used in the text was classified into part-nouns, verbs, adjectives, and surveys and entered into the accelerator. In addition, Korean To was entered in each Japanese vocabulary, and if there was no Korean To, it was treated as a blank. For the same Japanese vocabulary, if the Korean notation appears differently or if there is a typographical notation, it was treated as an individual vocabulary and entered.

    the text of a conversation
    1) ヨガスコシミジカクナリマシタ
    요아스고시미지각구나리마시다
    2) ハヤクネマセウ
    하야구네마세오
    3) オヤスミナサイ
    오야스미나샤이
    phonetic notation calibration of standards
    1) ヨガスコシミジカクナリマシタ
    요ㅇ가스고시미지가구나리마시다
    2) ハヤクネマセウ
    하야구네마세오
    3) オヤスミナサイ
    오야스미나사이

    By contrasting and analyzing the Korean notation of Japanese vocabulary based on the Korean notation of the Ghanaian alphabet, we were able to find errors in the Korean notation and description of Japanese phonemes in the Japanese learning column of Our Family.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derive certain response rules by grasping the uniformity and differences in the Korean notation of Japanese phonemes. There are various reasons why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notation of <the text of a conversation> and <phonetic notation calibration of standards>. First, in the case of 1) it seems that [ㅇ가] is marked as [가] and [가구] as [각구] so that it can be read close to real pronunciation.
    In this way, the Japanese language learning column in the first issue of "Our Family" was based on the first Korean reading by Ghanaian characters, and the Japanese phonetic Korean notation table used in the women's magazine "Our Family" in the 1910s was prepared. I also revealed the special notation used for Japanese pronunciation educ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1910년대 조선에서 발행된 유일한 여성잡지인『우리의 가뎡』을 자료로 하여 일본어 음운 한글 표기 분석을 통해 당시의 일본어 발음 교육과 표기상의 특징을 살펴 한국어와 일본어의 음성 및 음운론적 연구 자료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리의 가뎡』은 ‘한문을 모르는 동포 자매를 위해’ 한글로 발간한 여성잡지이다. 전체 12호가 발행되었으나 일본어 학습란 <국어 뵈호ᄂᆞᆫ 법>은 제1호부터 제11호까지 총 11회에 걸쳐 게재되었다. 창간호의 축사도 ‘본래는 순한문으로 지은 글인데 원고는 본사에 보관하고 순언문으로 번역하여 등재하니 가정에서 보기에 편리함을 위함이라’하며, 잡지 기사도 한글 표기를 우선으로 하고 단어에 따라 ( )안에 한자를 병기하였다. 이는 일본어 학습란 「국어 배호​​ 것」에도 반영되어 일본어 어휘와 예문에서 한자에는 가타가나로 독음을 달고, 다시 그 발음을 한글 기재하였다.
    일본어 음운 한글 표기 분석을 위해 먼저 『우리의 가뎡』의 일본어 학습란인 <국어 뵈호ᄂᆞᆫ 법>의 제1회에 제시된 가나 문자와 그 발음 교육을 위한 한글 토를 기준으로 하여 제11호의 제11회까지 일본어 어휘와 예문에 달린 한글 토를 가나 문자별로 입력하여 일본어 가나의 한글 표기를 정리하였다. 먼저 창간호에 제시된 일본어 발음 교육을 위한 50음도의 한글 토를 바탕으로 가나 문자의 한글 표기 기준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일본어 학습란이 구성된 제1호부터 제11호까지 총 11회차의 <국어 뵈호ᄂᆞᆫ 법>의 일본어 가나 문자의 한글 표기를 입력하였다. 이에 따라 『우리의 가뎡』에서 사용한 일본어 음운에 대한 한글 표기의 기준을 마련하고 일본어 발음 교육을 위한 특수한 한글 표기법을 살펴볼 수 있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한국어와 일본어의 음운 및 표기 연구의 기초자료 마련
    본 연구에서 1910년대의 출판물에서 일본어의 발음을 어떻게 인지하고 어떻게 한글로 표기하였는지를 공시적, 통시적으로 고찰하여 한국어사와 일본어사에 유의미한 자료로 제시할 수 있다.
    일본어 관련 학회에서 여성잡지 『우리의 가뎡』에 보이는 일본어의 한글 표기를 통해 당시의 일본어 발음 교육 및 현대일본어 교재의 발음 교육에 대해 논의할 수 있다. 한국어 관련 학회에서 『우리의 가뎡』의 일본어의 한글 표기에 나타나는 한국어 음운사적 연구 결과물과 한글맞춤법의 변천 및 적용에 대한 연구 결과물을 함께 논의할 수 있다.

    2) 일제강점기 식민지 여성 교육 연구
    본 연구에서 수집 정리한 일본어 학습 예문을 통해 1910년대 조선 여성을 대상으로 한 교육 내용을 분석할 수 있다. 연구 진행 중 발견한 일제강점기 여성잡지 텍스트를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기본 자료인 『우리의 가뎡』 뿐만 아니라 1930년대의 여성잡지 『家庭之友』, 1940년대의 여성잡지 『日本婦人(朝鮮版)』에도 일본어 학습란이 있다. 『家庭之友』는 조선금융조합연합회에서 발간한 농촌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관변 잡지로 「國語講座」라는 일본어 학습란이 있다. 『日本婦人(朝鮮版)』은 대일본부인회 조선지부에서 발행한 여성잡지로 「國語敎室」과 「國語會話」라는 일본어 학습란이 있다. 이상의 일제강점기 여성잡지를 텍스트로 하는 ‘조선 여성 대상의 일본어 교육’의 통시적 연구가 가능할 것이다. 이는 일제강점기에 여성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식민지 여성 교육의 일환으로 연구를 확장할 수 있다. 또한, 해방 이후에 발행된 여성잡지에서 일본어 교육 또는 외국어교육이 다루어지는지 조사하여 여성 계몽 및 언어 교육으로 연구의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 색인어
  • 일제강점기, 여성잡지, 일본어 학습, 일본어 음운, 한글 표기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